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07학년도 공주교육대학교 편입생 실태조사 =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Transferred Students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47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transferred students in the Gong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 social
      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ity, valu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ward the Research and Service Center for
      Students. Among 20 transferred students, 19(95.0%) students replied to the
      investigation
      The result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ge distribution of
      students went down and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problems
      for a campus life.
      Second, they showed high expectations toward becoming a teacher and
      this can be explained as reflecting a sense of values for occupation in our
      society.
      Third, they considered peaceful home lif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our life and thought that sincerity and an effort ar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 in the society.
      Fourth, they revealed significant consideration about the family and
      self-centered problems in the society.
      Fift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ocial relationships but had more
      worries about proper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their career and a
      course after graduation.
      Therefore counseling or psychological support might be necessary for
      students to be adapted to a campus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transferred students in the Gong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 social 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transferred students in the Gong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 social
      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ity, valu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ward the Research and Service Center for
      Students. Among 20 transferred students, 19(95.0%) students replied to the
      investigation
      The result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ge distribution of
      students went down and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problems
      for a campus life.
      Second, they showed high expectations toward becoming a teacher and
      this can be explained as reflecting a sense of values for occupation in our
      society.
      Third, they considered peaceful home lif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our life and thought that sincerity and an effort ar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 in the society.
      Fourth, they revealed significant consideration about the family and
      self-centered problems in the society.
      Fift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ocial relationships but had more
      worries about proper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their career and a
      course after graduation.
      Therefore counseling or psychological support might be necessary for
      students to be adapted to a campus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편입생 실태조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편입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기
      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
      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등 총 7개영역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설문지 조사로 연구대상인 본교 2007학년도 20명의 편입생 중 19명이 응답하였고,
      응답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편입생의 평균 연령대는 25세 전후로 대
      부분 타 대학을 졸업하고 본교에 편입하였다. 둘째, 편입생들은 교사의 사회적 위상에
      높은 기대와 자부심을 보인다. 셋째, 편입생들은 행복한 가정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 보고, 사회적 성공요인으로는 성실•노력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넷째, 편입
      생들은 가정문제와 이기적 행동이 우라 사회의 윤리, 도덕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지각
      하고 있다. 다섯째, 편입생들은 자신의 대인관계를 원만하다고 인지하나, 교수와의 관계
      형성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취업 및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어 적절한 상담
      및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편입생 실태조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편입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기 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 생활연구소에 ...

      본 편입생 실태조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편입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기
      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
      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등 총 7개영역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설문지 조사로 연구대상인 본교 2007학년도 20명의 편입생 중 19명이 응답하였고,
      응답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편입생의 평균 연령대는 25세 전후로 대
      부분 타 대학을 졸업하고 본교에 편입하였다. 둘째, 편입생들은 교사의 사회적 위상에
      높은 기대와 자부심을 보인다. 셋째, 편입생들은 행복한 가정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 보고, 사회적 성공요인으로는 성실•노력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넷째, 편입
      생들은 가정문제와 이기적 행동이 우라 사회의 윤리, 도덕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지각
      하고 있다. 다섯째, 편입생들은 자신의 대인관계를 원만하다고 인지하나, 교수와의 관계
      형성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취업 및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어 적절한 상담
      및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연구목적 1
      • II. 연구방법 2
      • 1. 조사대상 2
      • 2. 조사도구 및 내용 3
      • 3. 조사처리 4
      • I. 연구목적 1
      • II. 연구방법 2
      • 1. 조사대상 2
      • 2. 조사도구 및 내용 3
      • 3. 조사처리 4
      • III. 결과 및 해석 4
      • 1. 응답자 기본정보 4
      • 2. 가정환경 7
      • 3. 경제적 환경 11
      • 4. 대학에 대한 태도 16
      • 5. 가치관 23
      • 6. 심리적 특성 27
      • 7.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29
      • IV. 요약 및 결론 32
      • 1. 요약 32
      • 2. 결론 34
      • 참고문헌 35
      • ABSTRACT 3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