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과 마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의 문제는 심리철학, 형이상학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백도형의 『심신 문제』는 이 지난한 문제에 대한 돌파구를 찾아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몸과 마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의 문제는 심리철학, 형이상학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백도형의 『심신 문제』는 이 지난한 문제에 대한 돌파구를 찾아왔...
몸과 마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의 문제는 심리철학, 형이상학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백도형의 『심신 문제』는 이 지난한 문제에 대한 돌파구를 찾아왔던 그의 오랜 여정의 결과물이다. 이 저서에서 백도형은 종래의 심신 이론이 전제하고 있는 형이상학적 토대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대안적 입장으로서의 4차원 개별자론을 제안한다. 그의 4차원 개별자론은 심신 유명론의 관점에서 데이빗슨의 사건 개별자론을 발전,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 필자는 그의 유명론적 개별자론을 개괄하고 이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쟁점들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그의 개별자론이 어떤 점에서 그 자체로는 실질적 심신 이론이 되기에 부족해 보이는지가 논의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his recent book The Mind-body Problem, To-hyung Paik criticizes various extant theories of the mind-body relation, revealing their basic assumptions and commitments, and puts forward his own 4-dimensional, nominalist particularism about the mind. I...
In his recent book The Mind-body Problem, To-hyung Paik criticizes various extant theories of the mind-body relation, revealing their basic assumptions and commitments, and puts forward his own 4-dimensional, nominalist particularism about the mind. In this note, I briefly review his account and raise several questions. In particular, I discuss why his view is unsatisfying as a substantive, explanatory account of the mind-body rel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도형, "심신 문제" 아카넷 2014
2 Honderich, T., "The Argument for Anomalous Monism" 42 : 59-64, 1982
3 Dretske, F., "Reasons and Causes" 3 : 1-15, 1989
4 Kim, J.,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5 Kim, J., "Mind in a Physical World" The MIT Press 1998
6 Davidson, D., "Essays on Actions and Ev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7-225, 1980
7 Kim, J., "Epiphenomenal and Supervenient Causation" IX : 257-270, 1984
1 백도형, "심신 문제" 아카넷 2014
2 Honderich, T., "The Argument for Anomalous Monism" 42 : 59-64, 1982
3 Dretske, F., "Reasons and Causes" 3 : 1-15, 1989
4 Kim, J.,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5 Kim, J., "Mind in a Physical World" The MIT Press 1998
6 Davidson, D., "Essays on Actions and Ev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7-225, 1980
7 Kim, J., "Epiphenomenal and Supervenient Causation" IX : 257-270, 1984
속성은 정말 술어일까?: 백도형의 『심신 문제』에 대한 후험적 물리주의자의 응답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알파고: 나는 자연종 인간과 둔 바둑을 이겼다 -로봇종 인간의 의식론 서설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3 | 1.116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