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은 도덕과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도덕적 덕이며, 관용적 태도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야 할 우리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태도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다문화 교육의 도덕적 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156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3-152(20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관용은 도덕과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도덕적 덕이며, 관용적 태도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야 할 우리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태도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다문화 교육의 도덕적 덕...
관용은 도덕과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도덕적 덕이며, 관용적 태도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야 할 우리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태도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다문화 교육의 도덕적 덕목의 중심은 바로 관용이어야 한다. 관용은 싫어하고 거부하는 것에 대해 자발적으로 부정적 행위를 하지 않는 행위이며, 이것은 소극적인 의미에서는 반대나 간섭을 하지 않는 것을(소극적 관용), 적극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관용되는 대상에 대해 권리를 인정해 주는 것(적극적 관용)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 권력의 위계 구조 하에서 행사되는 수직적 관용과, 상호주관적인 지평 하에서 행사되는 수평적 관용도 중요하다. 수직적 관용이 전통적인 의미의 관용이라면, 수평적 관용은 현대 사회에서 그리고 다문화 교육에서 요구되는 형태의 관용이라고 볼 수 있다. 관용교육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사회의 보편적 가치에서 추출한 교육의 핵심가치들에 대한 관용과 이러한 핵심가치들에 반하는 것들에 대한 불관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관용 교육에서 우선 관용의 영역을 구분해야한다. 예컨대 정치적 관용, 문화적 관용, 종교적 관용 등의 허용정도는 다를 수 있고, 또 달라야 한다. 두 번째는 도덕적 악을 참아야하는 것은 관용이 아니며, 관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불관용을 해야 하는 상황적 필연성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관용과 불관용의 경계설정의 문제가 관용의 본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작업이 된다. 결론적으로 관용은 힘과 도덕사이의 긴장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긴장관계에서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상호적 관용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lera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rdinal virtues not only in the moral education, but also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Tolerance defines itself as ‘not-doing-negative-action’ against something hated and refused, and is divided int...
Tolera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rdinal virtues not only in the moral education, but also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Tolerance defines itself as ‘not-doing-negative-action’ against something hated and refused, and is divided into, at first, negative and positive toleration, secondly, vertical and horizontal toleration. In the education of Tolerance we should teach the tolerance of cardinal virtues based on socially approved and accepted virtues and the intolerance of actions against these virtues. There are two methods, which is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tolerance. Firstly, the areas of tolerance should be distinguished. We should distinguish one area from another area of tolerance. For example, the political tolerance is distinguished from the cultural tolerance or the religious tolerance. If and if only the difference of areas of tolerance is approved, the essence of tolerance could be sustained. Secondly, we should accept the situational necessity of intolerance. So we draw the line between tolerance and intolerance. Reason and natural law are recommended as the criterion of that line. In conclusion, the tolerance comes from the tensions between power and moral, and we should try to focus the reciprocal tolerance in this strained rel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기제, "초등교육에서의 관용교육" (13) : 259-282, 2003
2 구승회, "차이의 문명화로서의 관용" (48) : 181-203, 2000
3 송규범, "존 로크의 관용론" 한국서양사학회 (78) : 81-109, 2003
4 강석찬, "민주주의의 정신적 조건으로서의 관용에 관한 연구" (31) : 175-192, 1992
5 추병완, "다문화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7) : 25-60, 2008
6 이경호, "다문화사회의 대두와 시민교육의 과제-관용성을 중심으로" 1997
7 김용환, "관용의 윤리: 철학적 기초와 적용영역들" 한국철학회 (87) : 65-90, 2006
8 목영혜, "관용의 교육에 대한 연구" (18) : 1997
9 김용환, "관용에 대한 철학적 분석" 91-116, 2005
10 송재우, "관용에 대하여" 미토 2004
1 조기제, "초등교육에서의 관용교육" (13) : 259-282, 2003
2 구승회, "차이의 문명화로서의 관용" (48) : 181-203, 2000
3 송규범, "존 로크의 관용론" 한국서양사학회 (78) : 81-109, 2003
4 강석찬, "민주주의의 정신적 조건으로서의 관용에 관한 연구" (31) : 175-192, 1992
5 추병완, "다문화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7) : 25-60, 2008
6 이경호, "다문화사회의 대두와 시민교육의 과제-관용성을 중심으로" 1997
7 김용환, "관용의 윤리: 철학적 기초와 적용영역들" 한국철학회 (87) : 65-90, 2006
8 목영혜, "관용의 교육에 대한 연구" (18) : 1997
9 김용환, "관용에 대한 철학적 분석" 91-116, 2005
10 송재우, "관용에 대하여" 미토 2004
11 송기형, "관용론" 한길사 2001
12 King, P, "Toleration" George Allen & Unwin 1976
13 Hellesnes, J, "Toleranz und Dissens. Diskurstheoretische Bemerkungen ueber Mill and Rorty. in: Zur Anwendung der Diskursethik in Politik" Suhrkamp 1993
14 Forst, Rainer, "Toleranz im Konflikt" Suhrkamp Verlag 2003
15 Forst, Rainer, "Toleranz" Campus Verlag GmbH 2000
16 Walzer, M, "On Toleration" Yale Univ. Press 1997
17 공진성, "17세기 유럽 관용론의 두 유형: 스피노자와 로크" 영국사학회 (17) : 83-107, 2007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통합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의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