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상대도서관 소장 蔡龍臣의<至聖先師孔子像> 연구 = Study on the Portrait of Ultimate Sage and Foremost Teacher Confucius painted by Chae, Yong-Shin : Collection of KyeongSang University Libr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to analyze portrait of Ultimate Sage and Foremost Teacher Confucius, drown by Chae, Yong-Shin in 1913 after Dotongsa requested him to do. Dotongsa decided to make portraits of Confucius, Zhu Xi and An Hyang one after another to revive Confucianism which was on the verge of extinction after Western Powers invaded into Korean Peninsula. Chae, Yong-Shin reflected two kind of images of Confucius in the work. One image is of when Confucius served as Minister of Justice and the other is of teaching his disciples. The Painter produced a portrait of Confucius teaching his disciples wearing the hat of Justice Minister in which he combined two conflicted images of Confucius.
      The uniqueness of the portrait is as follows: Firstly, Chae, Yong-Shin only illustrated Confucius in the work omitting the image of Confucius teaching His Principle around Apricot Altar. Secondly, He portrayed Confucius frontal and sitting on a reed mat wearing ‘Sim-ui’(a traditional clothing of Confucian Scholar) on his knees. Chae, Yong-Shin tried to tell that the teaching of Confucius could be inherited down to younger students in Chosun who are eager to learn from Confucianism.
      번역하기

      The study is to analyze portrait of Ultimate Sage and Foremost Teacher Confucius, drown by Chae, Yong-Shin in 1913 after Dotongsa requested him to do. Dotongsa decided to make portraits of Confucius, Zhu Xi and An Hyang one after another to revive Con...

      The study is to analyze portrait of Ultimate Sage and Foremost Teacher Confucius, drown by Chae, Yong-Shin in 1913 after Dotongsa requested him to do. Dotongsa decided to make portraits of Confucius, Zhu Xi and An Hyang one after another to revive Confucianism which was on the verge of extinction after Western Powers invaded into Korean Peninsula. Chae, Yong-Shin reflected two kind of images of Confucius in the work. One image is of when Confucius served as Minister of Justice and the other is of teaching his disciples. The Painter produced a portrait of Confucius teaching his disciples wearing the hat of Justice Minister in which he combined two conflicted images of Confucius.
      The uniqueness of the portrait is as follows: Firstly, Chae, Yong-Shin only illustrated Confucius in the work omitting the image of Confucius teaching His Principle around Apricot Altar. Secondly, He portrayed Confucius frontal and sitting on a reed mat wearing ‘Sim-ui’(a traditional clothing of Confucian Scholar) on his knees. Chae, Yong-Shin tried to tell that the teaching of Confucius could be inherited down to younger students in Chosun who are eager to learn from Confucia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채용신이 1913년에 도통사의 의뢰를 받고 그린 <至聖先師孔子像>을 분석고찰하였다. 도통사는 열강의 침입으로 유교가 절멸하려 한때를 당하여 유교를 흥성시키고 주자성리학을 정학으로 받들기 위해 공자, 주자, 안자의 초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 채용신은 <지성선사공자상>을 제작하면서 주문자의 요구에 상응하는 공자의 이미지를 투영시켰는데 그것이 ‘정치가로서의 司寇 이미지’와 ‘萬世師表로서의 講學 이미지’였다. 채용신은 초상화에 양립시킬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결합시켜 ‘사구관을 쓴 만세사표 공자상’을 제작하였다.
      채용신은 <지성선사공자상>을 그리면서 제자들이 시립한 행단이라는 공간을 전부 생략하고 오로지 공자 한 사람만을 그림으로써 그 안에 강학하는 이미지를 전부 포함시킨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繼往聖 開來學’의 공자상을 형상화하면서 당시 그가 그린 유학자초상화와 마찬가지로 深衣를 걸치고 돗자리 위에 앉은 정면좌상의궤상으로 그려 공자의 가르침이 유교부흥운동과 출판사업을 펼치려는 도통사를 비롯해 조선의 후학들 그 누구에게라도 전달될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번 논문에서는 ‘정치가로서의 사구 이미지’와 ‘만세사표로서의 강학 이미지’가 어떤 전통에서 <지성선사공자상>에 투영되었는지 그 의미와 성과를 고찰해보고 의뢰자의 주문사항을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시키고 내재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채용신이 1913년에 도통사의 의뢰를 받고 그린 <至聖先師孔子像>을 분석고찰하였다. 도통사는 열강의 침입으로 유교가 절멸하려 한때를 당하여 유교를 흥성시키고 주자성리학...

      이 연구는 채용신이 1913년에 도통사의 의뢰를 받고 그린 <至聖先師孔子像>을 분석고찰하였다. 도통사는 열강의 침입으로 유교가 절멸하려 한때를 당하여 유교를 흥성시키고 주자성리학을 정학으로 받들기 위해 공자, 주자, 안자의 초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 채용신은 <지성선사공자상>을 제작하면서 주문자의 요구에 상응하는 공자의 이미지를 투영시켰는데 그것이 ‘정치가로서의 司寇 이미지’와 ‘萬世師表로서의 講學 이미지’였다. 채용신은 초상화에 양립시킬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결합시켜 ‘사구관을 쓴 만세사표 공자상’을 제작하였다.
      채용신은 <지성선사공자상>을 그리면서 제자들이 시립한 행단이라는 공간을 전부 생략하고 오로지 공자 한 사람만을 그림으로써 그 안에 강학하는 이미지를 전부 포함시킨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繼往聖 開來學’의 공자상을 형상화하면서 당시 그가 그린 유학자초상화와 마찬가지로 深衣를 걸치고 돗자리 위에 앉은 정면좌상의궤상으로 그려 공자의 가르침이 유교부흥운동과 출판사업을 펼치려는 도통사를 비롯해 조선의 후학들 그 누구에게라도 전달될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번 논문에서는 ‘정치가로서의 사구 이미지’와 ‘만세사표로서의 강학 이미지’가 어떤 전통에서 <지성선사공자상>에 투영되었는지 그 의미와 성과를 고찰해보고 의뢰자의 주문사항을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시키고 내재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李祥奎와 道統祠 孔敎支會" 대동문화연구원 (85) : 321-358, 2014

      2 공상림, "중국 공자문묘 연구" 동아시아 2018

      3 이혜경,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사회평론 49-74, 2014

      4 박종배,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명 · 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4 (34): 1-21, 2012

      5 김다은, "조선시대 深衣유형의 변천양상과 요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9

      6 박정애, "조선시대 朱子 崇慕熱과 그 이미지의 시각화 양상" 대동문화연구원 (93) : 199-242, 2016

      7 이승환, "조선 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460-484, 2011

      8 오이환, "일제시기의 덕천서원" 한국동양철학회 (32) : 171-205, 2009

      9 이정희, "일제시기 경남지역의 孔敎運動 연구 - 도통사 孔敎支會와 배산서당 朝鮮孔敎會를 중심으로 -" 경남문화연구원 (46) : 95-136, 2015

      10 심경보, "유학자, 관복을 벗다:2014 호서명현초상화 특별전" 대전시립박물관 162-171, 2014

      1 이종수, "李祥奎와 道統祠 孔敎支會" 대동문화연구원 (85) : 321-358, 2014

      2 공상림, "중국 공자문묘 연구" 동아시아 2018

      3 이혜경,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사회평론 49-74, 2014

      4 박종배,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명 · 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4 (34): 1-21, 2012

      5 김다은, "조선시대 深衣유형의 변천양상과 요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9

      6 박정애, "조선시대 朱子 崇慕熱과 그 이미지의 시각화 양상" 대동문화연구원 (93) : 199-242, 2016

      7 이승환, "조선 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460-484, 2011

      8 오이환, "일제시기의 덕천서원" 한국동양철학회 (32) : 171-205, 2009

      9 이정희, "일제시기 경남지역의 孔敎運動 연구 - 도통사 孔敎支會와 배산서당 朝鮮孔敎會를 중심으로 -" 경남문화연구원 (46) : 95-136, 2015

      10 심경보, "유학자, 관복을 벗다:2014 호서명현초상화 특별전" 대전시립박물관 162-171, 2014

      11 "유학자, 관복을 벗다:2014 호서명현초상화 특별전" 대전시립박물관 2014

      12 김혜영, "유학자, 관복을 벗다: 2014 호서명현초상화 특별전" 대전시립박물관 2014

      13 송희경, "왜관수도원 소장 정선《화첩》의 <행단고슬>" 미술사학연구회 (35) : 281-310, 2010

      14 탁승규, "역대군신도상(歷代君臣圖像)의 성립과 유통 양상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8

      15 박윤미, "심의고증" 민속원 2014

      16 이두희, "석지 채용신실기(석강실기)" 국학자료원 2004

      17 "석지 채용신, 붓으로 사람을 만나다" 국립전주박물관 2011

      18 "석지 채용신" 국립현대미술관 2001

      19 조선미, "석지 채용신" 국립현대미술관, 삶과꿈 26-59, 2001

      20 이기동, "서경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21 임태승, "논어의 형식미학" 삐투 2017

      22 조인수, "그림으로 읽는 역사인물사전" 아주문물학회 262-268, 2003

      23 "그림으로 읽는 역사인물사전" 아주문물학회 2006

      24 "규장각 그림을 펼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25 김세종, "국역 신간소왕사기(新刊素王事記)" 보고사 2008

      26 김기주, "공자성적도" 예문서원 2003

      27 安明植, "道統祠誌" 道統祠 1961

      28 王充, "論衡" 동아일보사 2016

      29 안휘준, "藏書閣所藏繪畵資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30 조정육, "萬世師表의 表象 <孔子行敎像>의 연원과 展開 과정" 동악미술사학회 (19) : 7-33, 2016

      31 "萬世師表 書畫中的孔子" 國立古宮博物院 2017

      32 "莊子"

      33 "東文選"

      34 문미진, "朝鮮에서 간행된 中國의 君臣圖像 - 朝鮮 中宗 命編 『歷代君臣圖像』 -" 중국연구소 60 : 103-127, 2014

      35 강정화, "晉州 道統祠의 출판 활동과 그 의의" 동양한문학회 43 (43): 5-29, 2016

      36 "新增東國輿地勝覽"

      37 박미라, "文廟 祭祀에서의 孔子 位相문제 - 先師⋅先聖⋅文宣王의 尊號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53) : 113-142, 2013

      38 "孟子"

      39 조선미, "孔子聖蹟圖 그림으로 보는 공자의 일생" 성균관대학교박물관 146-182, 2009

      40 "孔夫子聖蹟圖" 華城 闕里祠 1994

      41 "大山集"

      42 成百曉, "大學, 中庸集註"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6

      43 韓愈, "古文眞寶 後集" 을유문화사 2010

      44 최경훈, "人物 圖像 版畵 收錄 朝鮮本에 대한 一考察" 한국서지학회 (63) : 235-271, 2015

      45 "五洲衍文長箋散稿"

      46 杉原たく哉, "中華圖像遊覽" 大修館書店 2002

      47 鄭振鐸, "中國古代木刻畵史略" 상해서점출판사 2006

      48 김정기, "中國 道統人物論" 도서출판 책사랑 2012

      49 "『成宗實錄』『中宗實錄』"

      50 박광헌, "『孔夫子聖蹟圖』의 책판과 판본 연구" 한국서지학회 (78) : 69-90, 2019

      51 문미진, "『古先君臣圖鑑』 硏究" 중국학연구회 (68) : 383-404, 2014

      52 고연희, "‘浴沂章’에 대한 이해와 형상화의 전개" 한국유교학회 (66) : 397-422, 2016

      53 Julia K, Murray, "Portraits of Confucius:Icons and Iconoclasm" 47 (47): 17-28, 2001

      54 Julia K, Murray, "Illustrations of the life of confucius" 57 (57): 71-123,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