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王守仁과 曺植의 知行合一의 실천적 성격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陽明 王守仁, 1472~1528) and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Firstly, this paper shows a common elements in a discipline way of the concept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The extreme reflection means that the discipline way that controls oneself strictly to preserve conscience and resist private greed. The various and individual desires can be inclined to break the operation of the conscience.
      The extreme reflection of Wang, Soo-In was a way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and the extreme reflection of Jo, Sik was a way of defeating the greed and preserving the divine principle. Wang, Soo-In attempted to achieve the extreme knowledge of conscience through the method of the extrem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the main structure of mind. Jo, Sik suggested a method of studying 'the loyalty of reverence'. The loyalty of reverenc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can be achieved by the reverence through the extreme reflection from reverence by training into mindfor 'the control human greed and seeking of divine principles'.
      Both of Wang, Soo-In and Jo, Sik had suggested the extreme reflection as a wa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Confucianism. And it shows the common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Yang Myung-knowledge. In addition, their studies of both can lead to a practical and existential direction. Although Wang, Soo-In and Jo, Sik have different backgrounds of study such as the Yang Myung-knowledg and Neo-Confucianism, they have commonalities of the extreme reflection. These commonalities not on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but also inspect and find out and remove the elements that are about to flow into the evil. They were worth comparing as the value of humanities in the meaning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in their though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陽明 王守仁, 1472~1528) and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Firstly, this paper shows a common elements in a discipline 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陽明 王守仁, 1472~1528) and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Firstly, this paper shows a common elements in a discipline way of the concept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The extreme reflection means that the discipline way that controls oneself strictly to preserve conscience and resist private greed. The various and individual desires can be inclined to break the operation of the conscience.
      The extreme reflection of Wang, Soo-In was a way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and the extreme reflection of Jo, Sik was a way of defeating the greed and preserving the divine principle. Wang, Soo-In attempted to achieve the extreme knowledge of conscience through the method of the extrem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the main structure of mind. Jo, Sik suggested a method of studying 'the loyalty of reverence'. The loyalty of reverenc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can be achieved by the reverence through the extreme reflection from reverence by training into mindfor 'the control human greed and seeking of divine principles'.
      Both of Wang, Soo-In and Jo, Sik had suggested the extreme reflection as a wa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Confucianism. And it shows the common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Yang Myung-knowledge. In addition, their studies of both can lead to a practical and existential direction. Although Wang, Soo-In and Jo, Sik have different backgrounds of study such as the Yang Myung-knowledg and Neo-Confucianism, they have commonalities of the extreme reflection. These commonalities not on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but also inspect and find out and remove the elements that are about to flow into the evil. They were worth comparing as the value of humanities in the meaning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in their thou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양명 왕수인(陽明 王守仁, 1472~1528)과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지행합일의 실천적 성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왕수인과 조식이 ‘省察克治’라는 개념의 수양법을 사용하는 데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省察克治’는 자신을 엄격히 다스려 良心을 보존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물리치는 수양법을 의미한다. 실제로 우리 마음속에는 양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욕망과 사심이 용솟음치면서 양심의 활동을 훼방하고 있다.
      왕수인의 省察克治는 良知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고, 조식의 省察克治는 人欲을 물리치고, 天理를 보존하는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었다. 즉, 왕수인은 본래 가지고 있는 心의 본체인 良知를 외부로 실현하는 과정에서 성찰극치라는 방법을 통해 致良知를 이루고자 했으며, 조식은 遏人欲存天理를 위한 내면의 敬공부에서 비롯하여 성찰극치 하여 敬을 지극히 한 후 義로써 知行合一하는 敬義 공부 방법을 제시하였다. 兩者는 儒學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省察克治를 제시하여 성리학과 양명학의 접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의 공부는 실천적이면서도 실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고 있다. 왕수인과 조식이 陽明學과 性理學이라는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공통점을 드러내는 점은 인문정신의 실천적 함양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일에 흐르려고 하거나 惡에 빠지려고 하는 요소를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뿌리째 뽑아내어 제거하려는 ‘성찰극치’에 있어 상호 비교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고는 양명 왕수인(陽明 王守仁, 1472~1528)과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지행합일의 실천적 성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왕수인과 조식이 ‘省察克治’라...

      본고는 양명 왕수인(陽明 王守仁, 1472~1528)과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지행합일의 실천적 성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왕수인과 조식이 ‘省察克治’라는 개념의 수양법을 사용하는 데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省察克治’는 자신을 엄격히 다스려 良心을 보존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물리치는 수양법을 의미한다. 실제로 우리 마음속에는 양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욕망과 사심이 용솟음치면서 양심의 활동을 훼방하고 있다.
      왕수인의 省察克治는 良知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고, 조식의 省察克治는 人欲을 물리치고, 天理를 보존하는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었다. 즉, 왕수인은 본래 가지고 있는 心의 본체인 良知를 외부로 실현하는 과정에서 성찰극치라는 방법을 통해 致良知를 이루고자 했으며, 조식은 遏人欲存天理를 위한 내면의 敬공부에서 비롯하여 성찰극치 하여 敬을 지극히 한 후 義로써 知行合一하는 敬義 공부 방법을 제시하였다. 兩者는 儒學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省察克治를 제시하여 성리학과 양명학의 접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의 공부는 실천적이면서도 실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고 있다. 왕수인과 조식이 陽明學과 性理學이라는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공통점을 드러내는 점은 인문정신의 실천적 함양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일에 흐르려고 하거나 惡에 빠지려고 하는 요소를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뿌리째 뽑아내어 제거하려는 ‘성찰극치’에 있어 상호 비교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금장태, "한국유학의 심설" 서울대 출판부 2002

      3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4 "한국고전번역원한국고전종합 DB"

      5 최재목, "퇴계 심학과 왕양명" 새문사 2010

      6 채인후, "채인후의 중국철학사" 동방의 빛 2019

      7 시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86

      8 김세정, "왕양명의 생명철학" 청계 2006

      9 정인재, "양명학의 정신" 세창출판사 2014

      10 진래, "양명철학" 예문서원 2005

      1 "論語"

      2 금장태, "한국유학의 심설" 서울대 출판부 2002

      3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4 "한국고전번역원한국고전종합 DB"

      5 최재목, "퇴계 심학과 왕양명" 새문사 2010

      6 채인후, "채인후의 중국철학사" 동방의 빛 2019

      7 시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86

      8 김세정, "왕양명의 생명철학" 청계 2006

      9 정인재, "양명학의 정신" 세창출판사 2014

      10 진래, "양명철학" 예문서원 2005

      11 최석기, "신명사도·신명사명에 대하여"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4 : 155-193, 1994

      12 김충렬, "신명사도·명의 새로운 고석"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11 : 1-41, 2002

      13 "성균관대학교한국경학자료시스템"

      14 김석진, "대산주역강의" 한길사 1999

      15 정우락,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한국학연구총서" 2009

      16 권인호, "남명학파와 양명학의 민본적 실천사상 연구" 유학연구소 29 : 1-23, 2013

      17 오이환, "남명집" 지만지 2008

      18 허권수, "남명의 한시선" 경인문화사 2006

      19 황금중, "남명의 공부론, 어떻게 주자학적인가?" 한국교육사학회 29 (29): 231-257, 2007

      20 김충렬, "남명 조식의 학문과 선비정신" 예문서원 2006

      21 허권수, "남명 그 위대한 일생"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22 최석기, "나의 남명학 읽기" 경인문화사 2007

      23 허권수, "국역남명집" 한길사 1995

      24 "退溪集"

      25 "莊子"

      26 "禮記"

      27 "王陽明全書"

      28 "朱子語類"

      29 "朝鮮王朝實錄"

      30 안재호, "宋明理學" 예문서원 1997

      31 "孟子"

      32 "大學或問"

      33 "大學"

      34 "呂氏春秋"

      35 이동희, "南冥의 韓國思想史的 위치"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4 : 9-35, 1994

      36 吳二煥, "南冥과 陸王學" 남명학연구원 8 : 3-30, 2000

      37 曺植, "南冥集"

      38 "南冥集"

      39 "傳習錄"

      40 "二程遺書"

      41 "中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