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Perceived Occupational and Clients' Natures by the Participants of the Long-term Care-services Providers' Edu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56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 인지와 요양보호서비스 대상자 인지 정도를 예측변인들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업의 전...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 인지와 요양보호서비스 대상자 인지 정도를 예측변인들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업의 전문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방법: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질문지법'을 이용하였고 불성실 응답 및 다문항 미기재 설문지를 제외한 총 2백8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관련요소들의 기술적 통계를 통해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한 인지 정도 및 서비스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인지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위 두 변수와 관련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떠한 요소가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한 인지 정도 및 서비스 대상자의 특성에 영향력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단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요양보호사 업무 인지에 관한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요양보호사는 전문직업이다(${\beta}$=.300)와 업무 특성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다(${\beta}$=.254)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서비스 대상자 특성에 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로 가족들의 지지(${\beta}$=.187)와 요양보호사 업무인지 정도(${\beta}$=.509)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한 인지정도 및 서비스 대상자 특성에 영향력을 갖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LTCP trainees' on their professional.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perceived occupational nature and perceived clients' nature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LTCP education ar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LTCP trainees' on their professional.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perceived occupational nature and perceived clients' nature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LTCP education are examined with the predicting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20 people who have completed the long-term care provider certificat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from 5 different long-term care provider licensing institution in the region of Gangdong-Gu, Seoul. Total of 32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2, 2008 to October 2, 2008 and 2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them 283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In this model, active family support and recognition of task characteristics for the LTCP were the significantly predicting with beta of .187 and .507. The effect from active family support was remained significantly as model progressed. The magnitude of F-value and R-square value were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scholars who have investigated on the LTC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s well as policy makers who have tried to supply dependable LTCP to the needy elderly and their families. In tur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empower constituents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and easily access, existing health and long-term care op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