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 첨가 가래떡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Enriched with Mealworm (Tenebrio molitor)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4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alworm is the most widely used edible insect in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aedduk containing different proportions of powdered mealworm (0%, 3%, 6%, 9%, and 12%) were evaluated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mealworm. The results revealed that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pH and starch elu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Furthermore, the amount of total amino acids, essential amino acids,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Regarding chromaticity, the L value decreased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ealworm increased. The addition of 6% mealworm showed slight differences in the pore size and surface smoothness as compared to plain Garaedduk. Textur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increased, but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The preference test evaluating the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howed that 6% mealworm additive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ewly developed Garae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In conclusion, Garaedduk enriched with 6% mealworm showed promising results for developing rice cake with improved nutr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excellent overall preference and quality.
      번역하기

      Mealworm is the most widely used edible insect in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aedduk containing different proportions of powdered mealworm (0%, 3%, 6%, 9%, and 12%) were evaluated ...

      Mealworm is the most widely used edible insect in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aedduk containing different proportions of powdered mealworm (0%, 3%, 6%, 9%, and 12%) were evaluated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mealworm. The results revealed that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pH and starch elu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Furthermore, the amount of total amino acids, essential amino acids,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Regarding chromaticity, the L value decreased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ealworm increased. The addition of 6% mealworm showed slight differences in the pore size and surface smoothness as compared to plain Garaedduk. Textur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increased, but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The preference test evaluating the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howed that 6% mealworm additive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ewly developed Garae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In conclusion, Garaedduk enriched with 6% mealworm showed promising results for developing rice cake with improved nutr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excellent overall preference and qu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선, "흑미 첨가량을 달리한 떡볶이 떡의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194-203, 2016

      2 최현정, "홍삼 추출물과 아미노산 복합제가 정상 Rat의 지구력 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40 (40): 1136-1144, 2019

      3 송가영, "호박잎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노화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5 (45): 1792-1798, 2016

      4 김시연, "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특성,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4 (34): 493-503, 2018

      5 현영희, "표고버섯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0 (30): 11-21, 2014

      6 정경임, "파래분말을 첨가한 떡볶이 떡의 품질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29 (29): 588-595, 2019

      7 정유정,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찰떡파이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4 (34): 504-511, 2018

      8 신승미,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523-530, 2019

      9 최은희, "탈지 미강 첨가량에 따른 가래떡의 품질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30-141, 2013

      10 김도연, "탄수화물 간식류 식품 및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지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23, 2015

      1 신동선, "흑미 첨가량을 달리한 떡볶이 떡의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194-203, 2016

      2 최현정, "홍삼 추출물과 아미노산 복합제가 정상 Rat의 지구력 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40 (40): 1136-1144, 2019

      3 송가영, "호박잎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노화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5 (45): 1792-1798, 2016

      4 김시연, "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특성,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4 (34): 493-503, 2018

      5 현영희, "표고버섯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0 (30): 11-21, 2014

      6 정경임, "파래분말을 첨가한 떡볶이 떡의 품질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29 (29): 588-595, 2019

      7 정유정,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찰떡파이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4 (34): 504-511, 2018

      8 신승미,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523-530, 2019

      9 최은희, "탈지 미강 첨가량에 따른 가래떡의 품질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30-141, 2013

      10 김도연, "탄수화물 간식류 식품 및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지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23, 2015

      11 우진호, "제조 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차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6 (26): 179-184, 2019

      12 이준경, "전두부를 첨가하여 제조한 떡볶이용 떡의 저장시간에 따른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111-121, 2012

      13 이준경, "인삼분말을 첨가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426-434, 2011

      14 배정숙, "압출성형 횟수가 떡국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2 (32): 449-457, 2016

      15 조선영, "압출성형 공정변수가 갈색거저리 애벌레(mealworm) 첨가 쌀 팽화 스낵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9 (49): 444-452, 2017

      16 서민철, "알칼리 법으로 추출한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의 항염증 효능" 한국생명과학회 29 (29): 854-860, 2019

      17 김영균, "식용곤충(갈색거저리 유충)을 첨가한 닭가슴살 소시지 개발" (사)한국조리학회 25 (25): 81-87, 2019

      18 우민주, "송기가래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2 (32): 27-43, 2016

      19 이서은, "솔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3-58, 2013

      20 이현정, "손바닥 선인장 열매 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610-617, 2009

      21 최은희, "생미강 첨가량에 따른 가래떡의 품질 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5 (15): 94-104, 2009

      22 백민희, "새로운 식품원료로 등록된 식용곤충의 영양성분 비교 분석" 한국생명과학회 27 (27): 334-338, 2017

      23 정화빈, "산침지와 가열 살균이 떡볶이 떡의 형상 변화와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31 (31): 737-750, 2018

      24 박영경, "사과박 식이섬유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노화억제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400-408, 2011

      25 홍승연, "비만과 근위축비만이 한국고령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8 (8): 256-264, 2008

      26 전아름, "밀웜(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양갱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3 (33): 169-175, 2018

      27 황수영, "밀웜(갈색거저리)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사)한국조리학회 21 (21): 104-115, 2015

      28 이선미, "밀웜 분말 첨가 들깨강정의 품질 평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7 (17): 187-197, 2019

      29 신동선, "멥쌀 비율에 따른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853-859, 2010

      30 최희원, "머위 분말 첨가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4 (34): 1-14, 2021

      31 이경희, "로스팅 온도에 따른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675-681, 2014

      32 김상숙, "떡의 노화 억제에 대한 밀가루 첨가의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185-191, 2009

      33 정화빈, "떡의 가수량 및 산침지액의 산 농도에 따른 산침지 시간이떡볶이 떡의 침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2 (22): 264-271, 2018

      34 강호진, "떡볶이떡 품질 개선에 자몽종자 추출물과 산도 조절제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948-956, 2013

      35 천희순, "떡볶이 떡의 미생물 안전성 및 식감 향상을 위한 유기산과 증숙 처리" 한국식품과학회 49 (49): 502-506, 2017

      36 강호진, "대두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688-695, 2012

      37 유정미,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249-254, 2013

      38 김수희,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파스타의 품질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0 (10): 55-64, 2014

      39 김성현,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식사 섭취에 따른 영양 섭취 및 영양상태 변화: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대한영양사협회 22 (22): 292-309, 2016

      40 김소영,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냉장 저장 중 산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1 (31): 62-71, 2015

      41 김유경,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253-259, 2019

      42 김형미,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이용한 패티 제조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8 (28): 813-820, 2015

      43 민경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이용한 쿠키 제조 및 품질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 29 (29): 12-18, 2016

      44 유미희,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6 (46): 435-441, 2017

      45 강호진, "가수량을 달리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561-565, 2012

      46 김희선, "가래떡 노화억제에 대한 밀가루첨가의 효과"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1-6, 2014

      47 Song TH, "Understanding Culinary Science" Kyomunsa 126-134, 2011

      48 Yun EY, "Status and prospect for development of insect foods" 49 : 31-39, 2016

      49 Kim HY, "Properties of rice flour prepared with roll mill and pin mill after tempering" 6 : 313-318, 1999

      50 Chung MY,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powder of Tenebrio molitor for using as a novel food ingredient" 51 : 9-14, 2013

      5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Korean Food Standards Codex"

      52 Marklund S,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9-474, 1974

      53 Wu HC,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as related to antioxidant properties in protein hydrolysates of mackerel(Scomber austriasicus)" 36 : 949-957, 2003

      54 Kim SK, "Food industrial applications of chitin and chitosan" 2 : 43-59, 1997

      5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Food Nutrient DB"

      56 Shimomura Y, "Exercise promotes BCAA catabolism : Effects of BCAA supplementation on skeletal muscle during exercise" 134 : 1583S-1587S, 2004

      57 Baek MH, "Effect of water activit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during storage" 27 : 532-536, 1995

      58 Yıldırım A,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49 : 4083-4089, 2001

      59 Rumpold BA, "Comparison of volumetric and surface decontamination techniques for innovative processing of mealworm larvae(Tenebrio molitor)" 26 : 232-241, 2014

      60 정우석, "BCAA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피로물질, 근 손상 물질 및 에너지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61 김상숙, "Avrami Kinetics에 작용한 트레할로스와 변성 전분 혼합 사용 떡의 노화 억제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39-44, 2010

      6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63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Fosterage and support of the insect industry"

      64 Lee JW,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nd hydrolysed Tenebrio molitor larvae for liquefied flavoring material application" Seoul National Univ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