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토양인 용흥통의 분류 및 생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4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 남부 해안지대의 용암류대지에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주로 분포하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용흥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용흥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은 3.2∼3.4%로 andic 토양 특성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나, 인산보유능이 72.7∼84.5%로 85% 미만이며, 용적밀도가 1.21∼1.42 Mg m?³으로 0.90 Mg m?³ 이상이다. 따라서 용흥통은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BAt층에서 Bt4층 (15∼150 ㎝)까지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합)가 35% 미만이므로 Andisols, 또는 Alf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Argillic 층위의 상부 15 ㎝ 깊이에서 유기탄소 함량이 9 g ㎏?¹ 이상이므로 아목은 Humults로 분류된다.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 이내 깊이에 암석질이나 준암석질 접촉면 등이 없으며,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까지 깊이의 argillic 층위에서 점토함량이 최대치와 비교하여 20% 이상 감소되는 층위가 없으므로 대군은 Palehumults로 분류된다.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나 Ap층의 용적밀도가 1.21 Mg m?³으로 andic 아군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아군은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된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용흥통은 fine, mixed, the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가 아니라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층형 규산염 점토광물을 주광물로 하고 있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용흥통의 경우 강우량이 1,800 ㎜ 내외로 비교적 많은 제주도 남부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면서도 조면암, 조면암질 안산암 및 이들 암석에서 유래된 화산회를 모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non-Andisols 토양으로 생성 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용흥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염기 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이 생성되고, 기준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다. 그러나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 특성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Ultisols 중에서도 Humults로 생성발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제주도 남부 해안지대의 용암류대지에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주로 분포하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용흥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용흥통 대표단면의...

      제주도 남부 해안지대의 용암류대지에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주로 분포하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용흥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용흥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은 3.2∼3.4%로 andic 토양 특성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나, 인산보유능이 72.7∼84.5%로 85% 미만이며, 용적밀도가 1.21∼1.42 Mg m?³으로 0.90 Mg m?³ 이상이다. 따라서 용흥통은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BAt층에서 Bt4층 (15∼150 ㎝)까지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합)가 35% 미만이므로 Andisols, 또는 Alf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Argillic 층위의 상부 15 ㎝ 깊이에서 유기탄소 함량이 9 g ㎏?¹ 이상이므로 아목은 Humults로 분류된다.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 이내 깊이에 암석질이나 준암석질 접촉면 등이 없으며,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까지 깊이의 argillic 층위에서 점토함량이 최대치와 비교하여 20% 이상 감소되는 층위가 없으므로 대군은 Palehumults로 분류된다.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나 Ap층의 용적밀도가 1.21 Mg m?³으로 andic 아군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아군은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된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용흥통은 fine, mixed, the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가 아니라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층형 규산염 점토광물을 주광물로 하고 있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용흥통의 경우 강우량이 1,800 ㎜ 내외로 비교적 많은 제주도 남부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면서도 조면암, 조면암질 안산암 및 이들 암석에서 유래된 화산회를 모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non-Andisols 토양으로 생성 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용흥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염기 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이 생성되고, 기준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다. 그러나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 특성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Ultisols 중에서도 Humults로 생성발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Yonghe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Yonghe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3.2~3.4%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³.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15 to 15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or Alfisol. The typifying pedon has 0.9 %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 of the argillic horizon and accordingly,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has a clay distribution in which the percentage of clay does not decrese from its maximum amount by 20% or more within a depth of 150 ㎝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keys out as Palehum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Palehumult. That has 35 %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Yongheu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 not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 Most soil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Jeju island which have a humid climate are developed as Andisols. But Yongheung series distributed in this areas and derived from mainly trachyte, trachytic andesite, and volcanic ash are developed as Ultisol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Yonghe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Yonghe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Yonghe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Yonghe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3.2~3.4%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³.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15 to 15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or Alfisol. The typifying pedon has 0.9 %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 of the argillic horizon and accordingly,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has a clay distribution in which the percentage of clay does not decrese from its maximum amount by 20% or more within a depth of 150 ㎝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keys out as Palehum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Palehumult. That has 35 %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Yongheu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 not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 Most soil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Jeju island which have a humid climate are developed as Andisols. But Yongheung series distributed in this areas and derived from mainly trachyte, trachytic andesite, and volcanic ash are developed as Ultiso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관철, "흑색 화산회토인 남원통의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85-392, 2009

      2 송관철, "장호통의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30-335, 2009

      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Taxonomical classifiction of Korean soils"

      4 Dahlgren,R.A., "Soil-forming processes in Alic Melanudand under Japanese pampas grass and oak" 55 : 1049-1056, 1991

      5 USDA,NRCS, "Soil survey laborarory methods manual" USDA-NRCS 1996

      6 USDA,Soil Survey Staff,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Agric. Handbook 436"

      7 USDA,Soil Survey Staff,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2nd ed" USDA-NRCS. CRC Press 1999

      8 USDA,Soil Survey Division Staff, "Soil Survey Manual. Agricultural Handbook 18"

      9 Hunter,C.R., "Pedogenesis and surface charge of some Andic soil in Washington, U.S.A" 39 : 249-265, 1987

      10 USDA,Soil Survey Staff, "Keys to Soil Taxonomy. SMSS Technical Monograph No. 19, 4th ed"

      1 송관철, "흑색 화산회토인 남원통의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85-392, 2009

      2 송관철, "장호통의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30-335, 2009

      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Taxonomical classifiction of Korean soils"

      4 Dahlgren,R.A., "Soil-forming processes in Alic Melanudand under Japanese pampas grass and oak" 55 : 1049-1056, 1991

      5 USDA,NRCS, "Soil survey laborarory methods manual" USDA-NRCS 1996

      6 USDA,Soil Survey Staff,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Agric. Handbook 436"

      7 USDA,Soil Survey Staff,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2nd ed" USDA-NRCS. CRC Press 1999

      8 USDA,Soil Survey Division Staff, "Soil Survey Manual. Agricultural Handbook 18"

      9 Hunter,C.R., "Pedogenesis and surface charge of some Andic soil in Washington, U.S.A" 39 : 249-265, 1987

      10 USDA,Soil Survey Staff, "Keys to Soil Taxonomy. SMSS Technical Monograph No. 19, 4th ed"

      11 USDA,Soil Survey Staff, "Keys to Soil Taxonomy. 10th ed"

      12 Jeju Provincial Government(JPG), "Geologic report of the Seoguipo- Hahyori sheet. Scale 1;50,000"

      13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ASI), "General remarks of Korean soils"

      14 Parfitt,R.L., "Ferrrihydrite and allophane in four Andepts from Hawaii and implications for their classification" 41 : 223-241, 1988

      15 Song,K.C, "Distribution, and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in soils in Cheju Island" 10 (10): 26-45, 1997

      16 Parfitt,R.L.,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in soils" 53 : 971-977, 1989

      17 Jeju 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JARES), "Climatological report of mid-mountaineous area in Jeju Island"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1971-2000)"

      19 Mizota,C., "Clay mineralogy and chemistry of soils formed in volcanic material in diverse climatic regions. Soil Monograph 2"

      20 Song,K.C., "Classification and properties of Korean soils In Fruits and future prospects for soil survey in Korea"

      21 Mizota,C., "Characterization of some Andepts and Andic soils in Rwanda, Central Africa" 41 : 193-209, 1988

      22 Parfitt,R.L., "Andisols-The development of a new order in Soil Taxonomy" 49 : 181-198, 1991

      23 Song,K.C.,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III.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27 : 149-157, 1994

      24 Song,K.C.,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I. Characterization of volcanic ash soils by selective dissolution analysis" 24 : 86-94, 1991

      25 Song,K.C,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0

      26 Parfitt,R.L., "Allophane and humus aluminum in Spodsols and Andepts formed from the same volcanic ash beds in New Zealand" 139 : 149-255,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