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수지 퇴적토 코어의 깊이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ediment Cores with Dep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3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수지의 퇴적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저수지퇴적토 코어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준설작업이 시행된 적이 없는 세 곳의 저수지에서 채취한 퇴적토 코어에 대하여 깊이에 따른 가비중, 유기물량, 평균입자크기, 모래의 비율 변화를 연중 일강수량 50㎜이상일 때의 강수량 을 합산한 연강수량(AP50) 변화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저수지의 퇴적토 코어는 무기질 토양으로서 유기물은 육상식물의 잔재물로부터 기원하였으며, 유기물 함량이 10% 이하인 미사질양토 퇴적토에서 유기물 함량의 변화는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양입자크기의 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퇴적토 코어의 입자크기 및 모래 비율의 급격한 변동은 강수량의 증감과 관계가 있었으며, 저수지의 수위 변화와 유속이 저수지의 퇴적토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AP50의 연간 변동 자료를 기초로 추정하였을 때, 10년 이내의 짧은 기간 동안 약 30㎝ 이상의 퇴적토가 쌓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에서 짧은 시간 동안 쌓여서 형성된 퇴적토에도 유역에서 발생한 인위적 또는 자연적 사건들이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들에 반영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저수지의 퇴적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저수지퇴적토 코어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준설작업이 시행된 적이 없는 세 곳의 저수지...

      본 연구는 저수지의 퇴적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저수지퇴적토 코어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준설작업이 시행된 적이 없는 세 곳의 저수지에서 채취한 퇴적토 코어에 대하여 깊이에 따른 가비중, 유기물량, 평균입자크기, 모래의 비율 변화를 연중 일강수량 50㎜이상일 때의 강수량 을 합산한 연강수량(AP50) 변화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저수지의 퇴적토 코어는 무기질 토양으로서 유기물은 육상식물의 잔재물로부터 기원하였으며, 유기물 함량이 10% 이하인 미사질양토 퇴적토에서 유기물 함량의 변화는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양입자크기의 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퇴적토 코어의 입자크기 및 모래 비율의 급격한 변동은 강수량의 증감과 관계가 있었으며, 저수지의 수위 변화와 유속이 저수지의 퇴적토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AP50의 연간 변동 자료를 기초로 추정하였을 때, 10년 이내의 짧은 기간 동안 약 30㎝ 이상의 퇴적토가 쌓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에서 짧은 시간 동안 쌓여서 형성된 퇴적토에도 유역에서 발생한 인위적 또는 자연적 사건들이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들에 반영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대상지 및 퇴적토 코어 채취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대상지 및 퇴적토 코어 채취
      • 2.2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과 기상자료 분석
      • 3. 결과 및 고찰
      • 3.1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
      • 3.2깊이에 따른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 변화
      • 3.3 퇴적토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퇴적환경의 변화
      • 4. 결론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보이엔씨, "적누지구 지질조사보고서" 진보이엔씨 2007

      2 Mitsch W. J., "Wetlands" Wiley 2000

      3 Kashiwaya, K., "Tree ring information and rainfall characteristic for landslide in the Kobe District, Japan" 14 : 63-71, 1989

      4 Shotbolt, L., "Sediment stratigraphy and heavy metal fluxes to reservoirs in the southern Pennine Uplands, UK" 35 : 305-322, 2006

      5 Valero-Garcés, B. L., "Sediment sources and siltation in mountain reservoirs: a case study from the Central Spanish Pyrenees" 28 : 23-41, 1999

      6 Kaushal, S., "Relationship between C:N ratios of lake sediments, organic matter sources, and historical deforestation in Lake Pleasant, Massachusetts, USA" 22 : 439-442, 1999

      7 Brown, S., "Reconstructing lake and drainage basin history using terrestrial sediment layers: analysis of cores from a post-glacial lake in New England, USA" 28 : 219-236, 2002

      8 한미희,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stics of Sediments at Bam Island in Seoul, Korea" 한국생태학회 29 (29): 389-398, 2006

      9 Brenner, M., "Paleolimnological evaluation of historical trophic state conditions in hypereutrophic Lake Thonotosassa" 331 : 143-152, 1996

      10 Harden, C. P., "Land use, soil erosion, and reservoir sedimentation in an Andean drainage basin in Ecuador" 13 : 177-184, 1993

      1 진보이엔씨, "적누지구 지질조사보고서" 진보이엔씨 2007

      2 Mitsch W. J., "Wetlands" Wiley 2000

      3 Kashiwaya, K., "Tree ring information and rainfall characteristic for landslide in the Kobe District, Japan" 14 : 63-71, 1989

      4 Shotbolt, L., "Sediment stratigraphy and heavy metal fluxes to reservoirs in the southern Pennine Uplands, UK" 35 : 305-322, 2006

      5 Valero-Garcés, B. L., "Sediment sources and siltation in mountain reservoirs: a case study from the Central Spanish Pyrenees" 28 : 23-41, 1999

      6 Kaushal, S., "Relationship between C:N ratios of lake sediments, organic matter sources, and historical deforestation in Lake Pleasant, Massachusetts, USA" 22 : 439-442, 1999

      7 Brown, S., "Reconstructing lake and drainage basin history using terrestrial sediment layers: analysis of cores from a post-glacial lake in New England, USA" 28 : 219-236, 2002

      8 한미희,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stics of Sediments at Bam Island in Seoul, Korea" 한국생태학회 29 (29): 389-398, 2006

      9 Brenner, M., "Paleolimnological evaluation of historical trophic state conditions in hypereutrophic Lake Thonotosassa" 331 : 143-152, 1996

      10 Harden, C. P., "Land use, soil erosion, and reservoir sedimentation in an Andean drainage basin in Ecuador" 13 : 177-184, 1993

      11 Enters, D.,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deposition and 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Frickenhauser See, northern Bavaria, Germany" 369 : 178-187, 2006

      12 Kim, J. G., "Assessment of recent industrialization in wetlands near Ulsan, Korea" 33 : 433-444, 2005

      13 Boyle, J., "A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estimating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sediments" 31 : 125-127, 2004

      14 Nahm, W.-H., "A 60-year record of rainfall from the sediments of Jinheung Pond, Jeongeup" 43 : 489-498, 2010

      15 Arnason, J. G., "A 40+ year record of Cd, Hg, Pb, and U deposition in sediments of Patroon Reservoir, Albany County" 123 : 383-391, 2003

      16 Kim, H., "A 2000-year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Upo Wetland on the Korean Peninsula" 44 : 189-202,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