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知의 전달 미디어 시점에서 보는『논어』주석서 출판의 사상사적 위상 고찰 -소라이학파의『논어』주석서와 회덕당 주자학의『논어』주석서 간행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知의 전달 미디어’의 시점에서 『논어』 주석서 출판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知의 전달’이란 인간의 지가 갖는 총체적인 지를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논어』주석이 갖는 의미와 소라이의 제자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 1680-1747)의『논어』주석에서는 어떻게 계승, 발전, 변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어서 이러한 소라이학파의 경서주석방법을 비판하면서 사상사에 등장하는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회덕당(懐徳堂) 지식인들의 『논어』주석서 간행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1년차에서는 오규 소라이의 학문은 다자이 슌다이에 의해 보다 완결된 형태로 완성된다는 점이 명확해졌으며 이를 통해 슌다이로 계승되는 소라이학의 지의전달이 갖는 의미도 보다 분명해진다고 할 수 있다. 2년차에서는 '천하의 부엌'이라 불리던 '오사카'라는 상업도시에서 탄생한 회덕당의 학문과 교육을 통해 발신하는 지의 내용을 주로 회덕당의 운영과 교육 및 학습, 그리고 사회 교화 차원에서 시행된 효자현창운동 등 회덕당이 오사카 서민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교육을 전달하려고 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3년차에서는 유교 프락시스(Confucian Praxis)라는 틀에서 회덕당 지식인들의 유교 실천(유교식 제사문제 등)과 『논어』 주석서를 분석하여 회덕당이 발신하려하는 학문지의 실체를 규명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知의 전달 미디어’의 시점에서 『논어』 주석서 출판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知의 전달’이란 인간의 지가 갖는 총체적인 지를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말...

      본 연구는 ‘知의 전달 미디어’의 시점에서 『논어』 주석서 출판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知의 전달’이란 인간의 지가 갖는 총체적인 지를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논어』주석이 갖는 의미와 소라이의 제자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 1680-1747)의『논어』주석에서는 어떻게 계승, 발전, 변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어서 이러한 소라이학파의 경서주석방법을 비판하면서 사상사에 등장하는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회덕당(懐徳堂) 지식인들의 『논어』주석서 간행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1년차에서는 오규 소라이의 학문은 다자이 슌다이에 의해 보다 완결된 형태로 완성된다는 점이 명확해졌으며 이를 통해 슌다이로 계승되는 소라이학의 지의전달이 갖는 의미도 보다 분명해진다고 할 수 있다. 2년차에서는 '천하의 부엌'이라 불리던 '오사카'라는 상업도시에서 탄생한 회덕당의 학문과 교육을 통해 발신하는 지의 내용을 주로 회덕당의 운영과 교육 및 학습, 그리고 사회 교화 차원에서 시행된 효자현창운동 등 회덕당이 오사카 서민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교육을 전달하려고 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3년차에서는 유교 프락시스(Confucian Praxis)라는 틀에서 회덕당 지식인들의 유교 실천(유교식 제사문제 등)과 『논어』 주석서를 분석하여 회덕당이 발신하려하는 학문지의 실체를 규명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ublishing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from the view of 'media to transmit knowledge(知)'. 'Media to communicate knowledge(知)' means to transmit human overall knowledge through media.
      Based on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 study reviewed meaning of annotation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written by Ogyū Sorai (荻生徂徠, 1666-1728). In addition, the author studied how annotation of Ogyū Sorai was transmitted, developed, and changed in annotation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written by Dazai Shundai(太宰春台, 1680-1747) who was a disciple of Sorai. The study also criticized such method of annotation for Confucian classic by Sorai school while investigated meaning of publishing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by intellectuals of Kaitokudo(懐徳堂) centered on Osaka appeared on history of thoughts.
      As the study result,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it became more clear that academic studies of Ogyū Sorai were completed in more complete form by Dazai Shundai. An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meaning that transmission of knowledge in Sorai school has becomes clear. Kaitokudo was born in the commercial city 'Osaka' called 'kitchen of the world. In the second year, the author proceeded with study focus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ublishing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from the view of 'media to transmit knowledge(知)'. 'Media to communicate knowledge(知)' means to transmit human overall knowledge thr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ublishing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from the view of 'media to transmit knowledge(知)'. 'Media to communicate knowledge(知)' means to transmit human overall knowledge through media.
      Based on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 study reviewed meaning of annotation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written by Ogyū Sorai (荻生徂徠, 1666-1728). In addition, the author studied how annotation of Ogyū Sorai was transmitted, developed, and changed in annotation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written by Dazai Shundai(太宰春台, 1680-1747) who was a disciple of Sorai. The study also criticized such method of annotation for Confucian classic by Sorai school while investigated meaning of publishing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by intellectuals of Kaitokudo(懐徳堂) centered on Osaka appeared on history of thoughts.
      As the study result,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it became more clear that academic studies of Ogyū Sorai were completed in more complete form by Dazai Shundai. An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meaning that transmission of knowledge in Sorai school has becomes clear. Kaitokudo was born in the commercial city 'Osaka' called 'kitchen of the world. In the second year, the author proceeded with study focus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