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D 모델링을 활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미용실 공간 구현 연구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Beauty Salon Space Using 3D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8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modern society, a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ich insists ‘Let people enjoy a safe and equal life without any discrimination!’ has gradually expan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time to improve a beauty salon space by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Design for All People’, not for a specific group of people only).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people’s understanding of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by using 3D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by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in a safe and equal fashion. For this, based on the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veloped by the author (zoning, details, laws, recommendations), the space was divided into treatment, shampooing, waiting and counter zones and entrance. The specific universal design was sketched from November 10 to 15, 2022. Using Sketch-Up Pro 2022, Lumion, it was 3D-modeled and rendered, forming each space with universal design. The above results helped beauty service work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universal design and suggested a way to utilize in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improving diverse perceptions by granting beauty salon customers an equal right and perception of safety and making beauty service workers aware of human rights and diversity. Furthermore, it might be easy and convenient for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to visit a beauty salon provid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s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design.
      번역하기

      In a modern society, a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ich insists ‘Let people enjoy a safe and equal life without any discrimination!’ has gradually expan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time to improve a beauty salon space by applying the un...

      In a modern society, a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ich insists ‘Let people enjoy a safe and equal life without any discrimination!’ has gradually expan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time to improve a beauty salon space by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Design for All People’, not for a specific group of people only).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people’s understanding of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by using 3D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by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in a safe and equal fashion. For this, based on the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veloped by the author (zoning, details, laws, recommendations), the space was divided into treatment, shampooing, waiting and counter zones and entrance. The specific universal design was sketched from November 10 to 15, 2022. Using Sketch-Up Pro 2022, Lumion, it was 3D-modeled and rendered, forming each space with universal design. The above results helped beauty service work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universal design and suggested a way to utilize in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improving diverse perceptions by granting beauty salon customers an equal right and perception of safety and making beauty service workers aware of human rights and diversity. Furthermore, it might be easy and convenient for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to visit a beauty salon provid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s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desig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법률 제18332호)"

      2 이호숭, "유니버설디자인의 인지도와 가치판단에 대한 조사" 한국디자인학회 20 (20): 143-154, 2007

      3 이성태, "유니버설디자인 선행연구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 도입기부터 2003년까지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05

      4 오효준,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 의한 ATM 인터페이스 개발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5 유여훈,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본커피전문점의 공간 평가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5

      6 이연숙 ; 안소미 ; 현지원 ; 박재현, "아일랜드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사용자 혜택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73-82, 2017

      7 윤석준, "시뮬레이션과 시뮬레이터" 선학사 27-28, 2003

      8 홍다검, "미용현장 종사자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보조도구 개발 전선고정용 보조도구를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4 (24): 1-12, 2023

      9 김종문, "미용 프랜차이즈 마케팅과 컨슈머들의 이용실태 만족도 조사"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2

      10 장형남, "그린디자인의 미용실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1 보건복지부,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법률 제18332호)"

      2 이호숭, "유니버설디자인의 인지도와 가치판단에 대한 조사" 한국디자인학회 20 (20): 143-154, 2007

      3 이성태, "유니버설디자인 선행연구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 도입기부터 2003년까지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05

      4 오효준,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 의한 ATM 인터페이스 개발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5 유여훈,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본커피전문점의 공간 평가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5

      6 이연숙 ; 안소미 ; 현지원 ; 박재현, "아일랜드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사용자 혜택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73-82, 2017

      7 윤석준, "시뮬레이션과 시뮬레이터" 선학사 27-28, 2003

      8 홍다검, "미용현장 종사자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보조도구 개발 전선고정용 보조도구를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4 (24): 1-12, 2023

      9 김종문, "미용 프랜차이즈 마케팅과 컨슈머들의 이용실태 만족도 조사"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2

      10 장형남, "그린디자인의 미용실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11 申恩周, "室內 居住 環境에서의 行態解析에 관한 硏究: 大學寄宿舍의 行態 評價를 中心으로"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88

      12 "http://www.damandler.tistory.com"

      13 고수진 ; 김연아, "Analysis of 3D printing Nail Designs, Using the Inter-relational Features of Olafur Eliasson’s Artworks"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2 (22): 7-19, 2021

      14 문서영 ; 김연아 ; 이정현, "3D캐릭터 메이크업 커리큘럼 연구 - 메타휴먼 제작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3 (23): 7-23, 2022

      15 박범식, "3D 영상 합성을 위한 물체 모델링" (춘계) : 808-81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