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필자는 지젝의 헤겔 변증법 해석의 타당성 여부를 그의 정치적 주체 및 행동 이론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 때 지젝의 여러 저서들을 연대기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7736
2014
Korean
지젝 ; 헤겔 ; 구체적 보편성 ; 변증법 ; 헤겔적 주체 ; 극소 차이 ; 실재 ; Žižek ; Hegel ; concrete Universality ; Dialectic ; hegelian Subject ; minimal Difference ; the Real
100
KCI등재
학술저널
207-238(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 필자는 지젝의 헤겔 변증법 해석의 타당성 여부를 그의 정치적 주체 및 행동 이론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 때 지젝의 여러 저서들을 연대기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
이 글에서 필자는 지젝의 헤겔 변증법 해석의 타당성 여부를 그의 정치적 주체 및 행동 이론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 때 지젝의 여러 저서들을 연대기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지젝 사상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의 서술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헤겔의 변증법과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새로운 이해가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몇 몇 저서를 중심으로 그의 헤겔 이해의 모습을 서술한다. (Ⅰ) 헤겔의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은 그의 주체성 이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지젝의 헤겔 주체성에 대한 재전유의 방식을 민주주의 비판과 새로운 공산주의 기획의 철학적 정당화와 연결하여 서술할 것이다.(Ⅱ)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는 지젝의 정치적 행동 이론의 특성과 그 문제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필자는 헤겔 변증법에 대한 지젝의 해석의 문제점을 간단하게 논증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지젝의 헤겔 해석의 불충분성이 어떻게 그의 정치적 기획의 모호성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Ⅲ)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thesis, the author organizes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through his theories on concrete universality. In the process, the author does not reorganize Žižek"s works in a chronological order. This is because it is not the go...
In the thesis, the author organizes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through his theories on concrete universality. In the process, the author does not reorganize Žižek"s works in a chronological order. This is because it is not the goal of this study to trace changes in Žižek"s philosophy. Instead, the author focuses on a number of Žižek"s works that systematically elaborates on Žižek"s new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and universality.(I)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universality is closely linked to his theory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author will elaborate on Žižek"s reappropriation of the Hegelian subject by explaining the criticisms against democracy and th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of planning a new type of communism.(Ⅱ) At the end of the thesis, the author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Žižek"s political action theory and its problems. The author will briefly explain the problems in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In addition, the author will explore how Žižek"s insufficient interpretation of Hegel is related to the ambiguity found in his political ideas.(III)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비토리오 회슬레, "헤겔의 체계1" 한길사, 2007
2 나종석,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에코리브르, 2012
3 황설중, "헤겔 이론철학에 있어서 자기관계적 부정성의 구조에 관하여" 철학연구 (45) : 241 ~ 264, 1999
4 슬라보예 지젝, "헤겔 레스토랑" 새물결, 2013
5 슬라보예 지젝,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1
6 슬라보예 지젝,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창비, 2010
7 나종석, "차이와 연대" 길, 2007
8 위르겐 하버마스, "진리와 정당화" 나남, 2008
9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2" 문학동, 2012
10 이안 파커, "지젝" 도서출판b, 2008
1 비토리오 회슬레, "헤겔의 체계1" 한길사, 2007
2 나종석,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에코리브르, 2012
3 황설중, "헤겔 이론철학에 있어서 자기관계적 부정성의 구조에 관하여" 철학연구 (45) : 241 ~ 264, 1999
4 슬라보예 지젝, "헤겔 레스토랑" 새물결, 2013
5 슬라보예 지젝,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1
6 슬라보예 지젝,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창비, 2010
7 나종석, "차이와 연대" 길, 2007
8 위르겐 하버마스, "진리와 정당화" 나남, 2008
9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2" 문학동, 2012
10 이안 파커, "지젝" 도서출판b, 2008
11 슬라보예 지젝, "죽은 신을 위하여" 길, 2007
12 헤겔, "정신철학" 울산대학교출판부, 2000
13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1" 한길사, 2006
14 슬라보예 지젝, "전체주의가 어쨌다구?" 새물결, 2008
15 슬라보예 지젝,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며" 그린비, 2009
16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17 슬라보예 지젝,주디스 버틀러,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 도서출판b, 2009
18 헤겔, "예나 체계기획 Ⅲ" 아카넷, 2012
19 슬라보예 지젝,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자음과모음, 2011
20 슬라보예 지젝, "신체 없는 기관" 도서출판b, 2006
21 슬라보예 지젝, "시차적 관점" 마티, 2009
22 홍준기,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의 포스트모던 문화 분석―문화적·정치적 무의식과 행위(환상을 통과하기)―" 철학과 현상학 연구 (22) : 195 ~ 224, 2004
23 사라 케이, "슬라보예 지젝" 경성대학교출판부, 2003
24 김현, "슬라보예 지젝(S. Zizek)의 정치적 주체 이론" 민주주의와 인권 10 (1) : 293 ~ 319, 2010
25 슬라보예 지젝,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도서출판b, 2007
26 자크 데리다, "법의 힘" 문학과지성사, 2004
27 테리 이글턴, "반대자의 초상" 이매진, 2010
28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박미선" 도서출판b, 2009
29 알렉스 캘리니코스, "레닌 재장전" 마티, 2010
30 슬라보예 지젝, "라캉 레스토랑" 새물결, 2013
31 마이클 하트, "들뢰즈 사상의 진화" 갈무리, 2004
32 나종석, "데리다의 절대적 타자 이론과 정치" 가톨릭철학 (19) : 167 ~ 198, 2012
33 토니 마이어스,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엘피, 2005
34 슬라보예 지젝, "까다로운 주체" 도서출판b, 2005
35 김현, "공백으로서의 부정성 — 지젝(S. Zizek)의 헤겔 독해를 중심으로" 헤겔연구 (25) : 255 ~ 276, 2009
36 슬라보예 지젝,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 환자" 인간사랑, 2013
37 G. W. F. Hegel, "Wissenschaft der Logik Ⅱ, Hegel Werke in zwanzig Bänden" 1969
38 F. Jameson, "The Hegel Variations" Verso, 2010
39 S. Žižek, "A Leftist Plea for a “Eurocentrism”" Cultural Inquiry 24 (4,) : 988 ~ 1009,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