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삼국유사》 왕력에 반영된 기년인식의 배경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찬자는 《삼국사기》 ‘연표’의 즉위년칭원을 수용했지만, 재위기간 말년의 제외를 원칙으로 삼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97270
2014
Korean
王曆 ; 기초저본 ; 보조저본 ; 즉위년칭원 ; 유년칭원 ; 古記 ; Wangryeok(王曆) ; main text ; secondary text ; the first year-accession ; the second year-accession ; Gogi(古記)
KCI등재
학술저널
169-221(53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삼국유사》 왕력에 반영된 기년인식의 배경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찬자는 《삼국사기》 ‘연표’의 즉위년칭원을 수용했지만, 재위기간 말년의 제외를 원칙으로 삼아 ...
본고는 《삼국유사》 왕력에 반영된 기년인식의 배경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찬자는 《삼국사기》 ‘연표’의 즉위년칭원을 수용했지만, 재위기간 말년의 제외를 원칙으로 삼아 재위기간의 합과 왕조의 존속기간을 일치시키려했다. 그 결과 ‘연표’를 일부 보완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저본의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에 대한 정리의 일관성과 치밀도가 부족했다. 그 결과 연호와 재위기간에서 일부 누락, 중복, 침범, 오류가 발생했고, 말년 제외의 원칙도 적지 않게 무시되었다.
왕력은 ‘연표’를 기초저본으로 삼았으나, 여타 저본을 함께 활용했다. 다양한 기년 오류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왕력과 기이편의 기년이 적지 않게 다른 것은 저본의 상당 부분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왕력의 찬자는 기이편을 참고자료로 삼았을 것이다. 《역대연표》는 기재 요소와 내용에서 왕력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왕력의 찬자는 《역대연표》를 보조저본으로 삼았다고 판단된다.
여타 저본에서도 삼국의 왕대는 왕력과 대체로 유사했지만, 별도의 기년을 적용한 고기류도 왕력에서 활용되었다. 그 중에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을 사용한 자료가 공존했다. 신라에서는 원래 유년칭원법을 사용했는데, 9세기경부터 즉위년칭원이 사용되기 시작해 고려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가 고기류에서 칭원법과 기년의 불일치를 초래하였다. ‘연표’가 이를 즉위년칭원으로 비교적 일관되게 정리한 반면, 왕력 찬자는 기년정리의 일관성이 부족한 편이다. 결과적으로 왕력은 고기류 단계에서 이루어진 칭원법 변화를 오히려 원자료에 가깝에 담아낸 셈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source of chronological consciousness in 《Samgukyusa》 Wangryeok. The author accepted the first year-accession of 《Samguksagi(三國史記)》Yeonpyo(年表), but excluded the last year of the reign. As a resul...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source of chronological consciousness in 《Samgukyusa》 Wangryeok. The author accepted the first year-accession of 《Samguksagi(三國史記)》Yeonpyo(年表), but excluded the last year of the reign. As a result, some problems shown in Yeonpyo were complemented, but the author was unapt to describe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in the text coherently.
So those problems such as omission, duplication, trespass, and error occurred in the era name and the reign.
Yeonpyo was used as a main text in Wangryeok, but other secondary texts were also used. Many chronological errors were the result of this. The chronology of Wangryeok is different from the one applied in Giipyeon(紀異篇)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exts of two Chapters. However, the author of Wangnryeok used Giipyeon as a reference. 《Yeokdaeyeonpyo(歷代年表)》 is different from Wangnyeok in terms of contents, but it was utilized as an additional text by the author of Wangnyeok.
The number of the thrones of Three Kingdoms in other texts was generally similar to Wangnyeok, but Gogi(古記) based on the other chronology was also used. Among these are texts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had been used in The Silla Dynasty, but the first year-accession was used since ninth century approximately. These changes caused a chronological discrepancy among Gogi. Yeonpyo described the chronology coherently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while Wangnyeok lacked chronological coherence. But Wangnyeok kept the change of accession calculation method in Gogi close to the origina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휘옥, "해동고승전연구" 민족사 1991
2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Ⅰ" 집문당 1999
3 조경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간행 역주삼국유사 의성과와 문제점 Ⅰ"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센터 2014
4 이강래, "한국고대사를 위한 삼국유사의 독법" 일연학연구원 (창간) : 2005
5 김창겸, "최치원의 제왕연대력 에 대한 검토" 2 : 2004
6 박미선, "일연(一然)의 신라사 시기구분 인식 - 『삼국유사』 기이(紀異)편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70) : 143-170, 2008
7 최남선, "신정삼국유사" 경인문화사 2013
8 강인구,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9 이기백, "삼국유사 왕력편의 검토" 107 : 1985
10 김상현, "삼국유사 왕력편 검토-왕력 찬자에 대한 의문-" 15 : 1985
1 장휘옥, "해동고승전연구" 민족사 1991
2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Ⅰ" 집문당 1999
3 조경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간행 역주삼국유사 의성과와 문제점 Ⅰ"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센터 2014
4 이강래, "한국고대사를 위한 삼국유사의 독법" 일연학연구원 (창간) : 2005
5 김창겸, "최치원의 제왕연대력 에 대한 검토" 2 : 2004
6 박미선, "일연(一然)의 신라사 시기구분 인식 - 『삼국유사』 기이(紀異)편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70) : 143-170, 2008
7 최남선, "신정삼국유사" 경인문화사 2013
8 강인구,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9 이기백, "삼국유사 왕력편의 검토" 107 : 1985
10 김상현, "삼국유사 왕력편 검토-왕력 찬자에 대한 의문-" 15 : 1985
11 이근직, "삼국유사 왕력의 편찬성격과 시기" 101 : 1998
12 하정룡, "삼국유사 사료비판" 민족사 2005
13 김상현, "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국학연구원 (162) : 3-27, 2013
14 이강래, "삼국사기 전거론" 민족사 1996
15 이강래, "삼국사기 인식론" 일지사 2011
16 정운용,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의 연호" 5 : 1998
17 채상식,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18 이부오, "底本 수용의 맥락을 통해 본 ≪三國史記≫ 新羅本紀 초기 기사의 이해 방향" 신라사학회 (21) : 5-47, 2011
19 李崇智, "修訂本中國歷代年號考" 中華書局 2006
20 村上四男, "三國遺事解說(その一)" 99・100 : 1982
21 小田省吾, "三國史記の稱元法並に高麗以前稱元法の硏究 上" 10 (10): 1920
22 이효형, "『歷代年表』와『三國遺事』를 통해 본 一然의 발해인식" 동북아역사재단 18 (18): 183-215, 2007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삼국통일 관련 서술에 대한 비교 · 검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