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당면한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의 쟁점과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이러한 개혁과정의 주요 이해당사자인 국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실시 분석하여, 앞으로 추진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7033080
2010
-
300
KCI등재
학술저널
83-108(26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당면한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의 쟁점과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이러한 개혁과정의 주요 이해당사자인 국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실시 분석하여, 앞으로 추진될...
이 연구는 당면한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의 쟁점과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이러한 개혁과정의 주요 이해당사자인 국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실시 분석하여, 앞으로 추진될 공무원연금개혁과정에서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한 국민과 공무원의 인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공무원연금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일반 국민은 공무원연금도 국민연금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하나로 이해하는 것에 비해, 공무원은 공무원연금을 인사행정제도의 하나로서 공무원의 특수성에 따른 차별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공무원연금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이 신뢰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연금제도의 재정현황과 미래전망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토대로 한 공론화의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공무원연금의 개혁 논의를 위해서는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대표성 있는 논의기구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금제도개혁은 장기적인 실행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해관계 주체들간의 합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일관성을 가지고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연금제도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입장 차이가 작아서 어느 정도 협의가 가능한 것부터 시작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철, "「새인사행정론」개정4판" 대영문화사 2006
2 서원석, "한국 공무원연금제도의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7
3 한국개발연구원, "재정안정화와 제도선진화를 위한 공무원연금 정책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6
4 민문홍, "유럽연합의 공무원 연금제도: 공무원도 다른 회사원들처럼 월급쟁이인가?" 공무원연금관리공단 2005
5 이각희, "외국의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사례분석"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조사연구실 2004
6 배준호, "연금 이렇게 바꾸자" 한국경제연구원 2005
7 김신영, "서구 국가들의 공적 연금개혁:일반적 추세와 교훈" 91 : 107-115, 2005
8 김상호, "생애소득 관점에서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 제도 비교" 한국경제학회 56 (56): 171-194, 2008
9 Myles, John, "복지국가의 노년: 공적 연금의 정치경제학" 한울 아카데미 1992
10 김태일, "국민연금과의 비교를 통한 공무원연금의 형평성 분석" 한국행정학회 38 (38): 111-129, 2004
1 강성철, "「새인사행정론」개정4판" 대영문화사 2006
2 서원석, "한국 공무원연금제도의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7
3 한국개발연구원, "재정안정화와 제도선진화를 위한 공무원연금 정책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6
4 민문홍, "유럽연합의 공무원 연금제도: 공무원도 다른 회사원들처럼 월급쟁이인가?" 공무원연금관리공단 2005
5 이각희, "외국의 공무원연금제도 개혁사례분석"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조사연구실 2004
6 배준호, "연금 이렇게 바꾸자" 한국경제연구원 2005
7 김신영, "서구 국가들의 공적 연금개혁:일반적 추세와 교훈" 91 : 107-115, 2005
8 김상호, "생애소득 관점에서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 제도 비교" 한국경제학회 56 (56): 171-194, 2008
9 Myles, John, "복지국가의 노년: 공적 연금의 정치경제학" 한울 아카데미 1992
10 김태일, "국민연금과의 비교를 통한 공무원연금의 형평성 분석" 한국행정학회 38 (38): 111-129, 2004
11 이용하, "국민연금과 특수지역연금의 연계 조화 방안" 국민연금연구센터 2001
12 정홍원, "국민연금 제도개혁과 사회적 대화" 정부학연구소 14 (14): 135-160, 2008
13 권혁주, "공무원연금제도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글로벌 거버넌스와 사회발전연구센터 2005
14 최재식, "공무원연금제도의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정책대안 분석" 성균관대학교 2003
15 공무원연금제도발전위원회, "공무원연금제도의 재정개선 및 제도선진화를 위한 정책건의"
16 공무원연금제도발전위원회, "공무원연금제도 개선을 우한 정책건의안"
17 김중양, "공무원연금제도" 법우사 2004
18 권혁주, "공무원연금의 개혁과 정책적 쟁점" 한국정책학회 15 (15): 189-214, 2006
19 인태환, "공무원연금: 기금고갈사태에 대한 원인진단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34 (34): 159-178, 2000
20 최재식, "공무원연금 다층구조화에 따른 공무원편익・정부재정의 시뮬레이션분석" 공무원연금연구센터 2007
21 김재경, "공무원연금 개인적 형평성 연구" 공무원연금관리공단 2005
22 최재식, "공무원 정년연장이 개인후생과 정부재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무원연금관리공단 2005
23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개정 공무원연금법 안내" 공무원연금관리공단 2010
24 Bonoli, Giuliano, "The Politics of Pension Reform: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in West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5 Korpi, Walter, "The Democratic Class Struggle" Routledge & Kegan Paul 1983
26 Myles, John,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Pension Reform. in :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Oxford Unversity Press 2001
27 OECD, "Public Sector Pensions and the Challenge of an Ageing Public Service" OECD Working Papers on Public Governance 2007
28 Mitchell, Olivia S., "Pension in the Public Sector. Philadelphia" the University of Philadelphia Press 2000
29 Pinheiro, Vinicius Carvalho, "Pension Funds for Government Workers in OECD Countries" OECD 2005
30 Lehmbruch, G., "Liberal Corporatism and Party Government. in : Trends toward Corporatist Intermediation" Sage 1979
31 Reynaud, Emmanuel, "Introduction and summary. in : Social Dialogue and Pension Reform"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0
32 김상균, "Corporatism으로 본 2008 공무원연금 개혁" 436 : 2-19, 2009
33 World Bank, "Averting the Old Age Crisis: Policies to Protect the Old and Promote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4 Myles, John, "A new social contact for the elderly?. in : Why we need a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일본 국가공무원제도의 변혁 흐름: 하토야마 정권의 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해방이후 우리나라 중앙부처 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추세분석
국무회의록을 통해 살펴본 제1공화국 후기의 국가관리와 공무원 인사정책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7 | 1.47 | 1.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5 | 1.46 | 1.64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