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대학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참여 결정요인 유형 및 특성연구 = Major facto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academic engagement among local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57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한 지방대학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참여 결정요인 유형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과정은 K지역의 3개 대학 9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한 지방대학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참여 결정요인 유형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과정은 K지역의 3개 대학 9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지를 실시하여 수집된 191개의 진
      술문을 바탕으로 최종 47개의 Q표본을 확정하였다. 3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47개의 카드를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11점 척도의 정규 분포표에 분류하게 하였고 분류후 개별적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제1 유형은, 미래의 꿈을 이루기 위해 목표 지향적 태도를 보이는 목표지향형, 제 2유형은 열심히 노력하지만 뚜렷한 학습목표가 부재한 주변중시형, 제 3유형은 학습 후 느끼는 성취경험과 이로 인한 인정과 칭찬의 보상을 중시하는 성공
      경험 중심형, 제 4유형은 승부욕, 환경조성 등의 학습동기유발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동기유발 중심형, 그리고 제 5유형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배움의 즐거움을 중시하는 의미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형별 분류를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참여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향후 이들을 위한 학습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ing Q-methodology was to distinguish types and characters for self-directed academic engagement among local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the focus group interview,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llected 191 statem...

      This study using Q-methodology was to distinguish types and characters for self-directed academic engagement among local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the focus group interview,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llected 191 statement through 98 college students at 3 different colleges in Kwang-Ju, and finally
      47 Q-statements were collect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place statements on a rank-ordered 11-point continuum and then follow-up interviewed for the Q-sorting with 30 participants using 1: 1 interview. As a result, 5 types of self-directed engagement types came out; the first type was defined as ‘Goal-centered’ who is future-oriented in
      order to achieve future dream, the second type was defined as ‘environment/others-centered’ who is effective learner without concrete goals for learning, the third type was defined as ‘achievement experience-centered’ who is
      focused on achievem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fter studying, the fourth type was defined as ‘motivation-centered’ competitive environment makes this type to study more and the fifth type was defined as ‘meaning-centered’ to study because of fun and joy from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ly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data to develop academic achievement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 의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 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재량, "창의적 학습 경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기초요인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145-159, 2013

      2 송준미,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3 김경화,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영향요인과대학헌신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43-565, 2015

      4 신경일, "중년기 성인의 죽음불안 이해: Q방법론적 접근"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6) : 69-90, 2017

      5 구병두,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2, 2013

      6 임병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827-853, 2011

      7 김성은, "자기주도학습과 관련 변인 분석- 전문대학 비서관련학과 졸업예정자들을 중심으로 -" 한국비서학회 15 (15): 5-29, 2006

      8 백경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32 (32): 77-95, 2011

      9 양애경,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61-82, 2009

      10 배예선,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3005-3012, 2014

      1 고재량, "창의적 학습 경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기초요인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145-159, 2013

      2 송준미,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3 김경화,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영향요인과대학헌신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43-565, 2015

      4 신경일, "중년기 성인의 죽음불안 이해: Q방법론적 접근"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6) : 69-90, 2017

      5 구병두,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2, 2013

      6 임병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827-853, 2011

      7 김성은, "자기주도학습과 관련 변인 분석- 전문대학 비서관련학과 졸업예정자들을 중심으로 -" 한국비서학회 15 (15): 5-29, 2006

      8 백경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32 (32): 77-95, 2011

      9 양애경,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61-82, 2009

      10 배예선,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3005-3012, 2014

      11 Lawerence, G. D., "성격유형과 학습스타일" 한국심리검사연구소 2000

      12 신영애, "성격유형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13 : 25-44, 2006

      13 김소희,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79-106, 2007

      14 박성익, "블렌디드 러닝에서 효과적 온/오프라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17-45, 2007

      15 이은철, "복합구조 모형을 토대로 한 대학생 자기주도학습 측정 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82-392, 2016

      16 김동일, "메타분석을 통한 학습전략의 효과연구" 교육연구소 3 (3): 71-94, 2002

      17 김진영, "대학서열과 임금격차 변화,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I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18 라영안, "대학생의 학업참여에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혼합모형 분석" 한국상담학회 17 (17): 369-390, 2016

      19 김희정,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 대학 몰입의 경로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40-50, 2017

      20 최임숙, "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교직관 변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649-677, 2015

      21 장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아분화,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진로탐색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22 배성아,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09-827, 2016

      23 윤정선,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119-141, 2014

      24 김성훈, "대학생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습동기, 자아인식, 학습전략, 학습상황에 미치는 영향" 5 (5): 71-93, 2015

      25 성은모, "대학교육에서 성적 우수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2 (32): 427-452, 2016

      26 이혜정, "대학교육에서 대학생 중심의 교수설계를 위한 최우수 학습자의 학습특성 및 학습전략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1-35, 2011

      27 서화정,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28 박형근, "내적귀인성향, 본질동기, 학습노력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49-66, 2015

      29 성은모, "고등학생 성적 우수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 탐색" 교육연구소 17 (17): 215-237, 2016

      30 김흥규, "[단행본] Q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1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32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s" Association Press 1975

      33 Long, H. B.,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elf-directed learning"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Education 9-24, 1992

      34 조대현, "Q방법론을 통한 직장인의 직무효능감 영향요인분석" 백석대학교 2016

      35 백평구, "Q방법론 연구의 실행, 이론 방법 해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6 김헌수, "Q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37 백평구, "Q모집단으로부터 Q표본 구성 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1996∼2014)"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0) : 103-130, 2015

      38 김순은, "Q 방법론과 사회과학" 도서출판 금정 2007

      39 조은주, "PBL을 활용한 교양수업이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33-51, 2016

      40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ion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50, 1990

      41 Driscoll, M. P., "Motivation and slef-regulation in learning,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piration" Allyn and Bacon 2000

      42 Renninger, K. A.,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earch for optimal motivation and performance" Academic Press 373-404, 2000

      43 Havinghurst, R. J., "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 D. McKay, Co 1972

      44 Zimmerman, B. 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d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 614-628, 1986

      45 반신환, "(인지과정 중심의) 자기주도 학습법" 시그마프레스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