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발 거골하관절 결합을 관찰하기 위한 촬영법의 연구 = The Study of Radiographic Method for Talocalcaneal Coalition Image in Foot Subtalar Joint in Foo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36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 중 거종 골 결합을 가진 환자는 CT나 MRI 영상으로 관상 면에서 거종 관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체중이 주어지지 못한 상태에서의 검사이기 때문에 족근골의 임상적인 증상을 보여주기에 충분치 못했다. 그러나 Harris-Beath view는 무게 중심이 실린 상태의 촬영한 사진으로 좀 더 실제적인 상황과 가깝고, 여러 사람을 촬영하여 비교할 때 촬영방법을 쉽게 표준화할 수 있는 거종관절 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므로, 체중을 부하를 하여 촬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관구 각도를 발뒤꿈치 중심 쪽으로 40°로 촬영하는 것이 한국 성인의 거종관절 상을 얻는 데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족근골 결합을 가진 환자의 거종관절을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 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발 중 거종 골 결합을 가진 환자는 CT나 MRI 영상으로 관상 면에서 거종 관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체중이 주어지지 못한 상태에서의 검사이기 때문에 족근골의 임상적인 증상을 보여...

      발 중 거종 골 결합을 가진 환자는 CT나 MRI 영상으로 관상 면에서 거종 관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체중이 주어지지 못한 상태에서의 검사이기 때문에 족근골의 임상적인 증상을 보여주기에 충분치 못했다. 그러나 Harris-Beath view는 무게 중심이 실린 상태의 촬영한 사진으로 좀 더 실제적인 상황과 가깝고, 여러 사람을 촬영하여 비교할 때 촬영방법을 쉽게 표준화할 수 있는 거종관절 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므로, 체중을 부하를 하여 촬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관구 각도를 발뒤꿈치 중심 쪽으로 40°로 촬영하는 것이 한국 성인의 거종관절 상을 얻는 데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족근골 결합을 가진 환자의 거종관절을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 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Foot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s are capable of demonstrating talocalcaneal joint, but these are not useful in the most clinical situations because the foot is imaged in a non-weight bearing position. But we can obtain talocalcaneal joint image which loaded the center of gravity by Harris-Beath view. We conclude that imaging with 40° trunk rotation angle with heel gives the best view of talocalcaneal coalition in Korean. Our results are very useful to get talocalcaneal joint imaging in clinical situations.
      번역하기

      Although Foot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s are capable of demonstrating talocalcaneal joint, but these are not useful in the most clinical situations because the foot is imaged in a non-weight bearing position. But we ...

      Although Foot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s are capable of demonstrating talocalcaneal joint, but these are not useful in the most clinical situations because the foot is imaged in a non-weight bearing position. But we can obtain talocalcaneal joint image which loaded the center of gravity by Harris-Beath view. We conclude that imaging with 40° trunk rotation angle with heel gives the best view of talocalcaneal coalition in Korean. Our results are very useful to get talocalcaneal joint imaging in clinical situ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Ⅲ. 결 과
      • IV. 고 찰
      • V. 결 론
      • Ⅰ. 서 론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Ⅲ. 결 과
      • IV. 고 찰
      • V.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