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 =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42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취약함이란 그들 자신의 이익을 스스로 보호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응급의료에서의 취약함도 이와 다르지 않으며 특히 선택가능하지 않으나 환자의 경과나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라고 가정한다. 응급의료에서 취약함의 요인들은 많으나 여기에서는 3가지를 논할 것인데, 관계적 자율성을 지지할 수 있는 가족의 부재, 응급대불제도의 불완전성, 의사결정능력의 결여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요인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과 제도, 개념을 간단히 기술하면서 해당 사례에 적용을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요인들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을 것이다. 해당 요인에 영향을 받는 환자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의학적 이익을 보호받기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번역하기

      취약함이란 그들 자신의 이익을 스스로 보호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응급의료에서의 취약함도 이와 다르지 않으며 특히 선택가능하지 않으나 환자의 경과나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

      취약함이란 그들 자신의 이익을 스스로 보호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응급의료에서의 취약함도 이와 다르지 않으며 특히 선택가능하지 않으나 환자의 경과나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라고 가정한다. 응급의료에서 취약함의 요인들은 많으나 여기에서는 3가지를 논할 것인데, 관계적 자율성을 지지할 수 있는 가족의 부재, 응급대불제도의 불완전성, 의사결정능력의 결여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요인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과 제도, 개념을 간단히 기술하면서 해당 사례에 적용을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요인들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을 것이다. 해당 요인에 영향을 받는 환자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의학적 이익을 보호받기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ulnerability population cannot protect their interest themselves.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is not different. We assum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tient’s course or patient’s outcome badly. We will discuss three factors of the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Those are the family without relational autonomy, the incompleteness of emergency subrogation payment system, and a lack of decision making capacity. We will describe theory, concepts, systems related factors and then apply them to our case. The factors are not independent. We discuss things to be made up for the autonomy and medical interest of the vulnerable patients that influenced by factors.
      번역하기

      Vulnerability population cannot protect their interest themselves.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is not different. We assum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tient’s course or patient’s outcome badly. We will discuss three factors of the vul...

      Vulnerability population cannot protect their interest themselves.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is not different. We assum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tient’s course or patient’s outcome badly. We will discuss three factors of the vulnerability in emergency medicine. Those are the family without relational autonomy, the incompleteness of emergency subrogation payment system, and a lack of decision making capacity. We will describe theory, concepts, systems related factors and then apply them to our case. The factors are not independent. We discuss things to be made up for the autonomy and medical interest of the vulnerable patients that influenced by fa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경, "의학적 의사결정과정에서 실천적 덕의 토대로써 중용(中庸)" 새한철학회 63 (63): 229-247, 2011

      2 강요한, "응급환자 대불제도의 분석 및 향후 운영방안" 보건복지가족부 90-115, 2009

      3 정석관, "응급환자 대불제도의 분석 및 향후 운영방안" 보건복지가족부 116-333, 2009

      4 최선혜, "우리나라 성인의 미충족 의료현황" 7 (7): 197-200, 2014

      5 Shi L, "Vulnerability and unmet health care needs, the influence of multiple risk factors" 20 (20): 148-154, 2005

      6 Anita Ho, "Relational autonomy of undue pressure? Family’s role in medical decision-making" 22 (22): 128-135, 2008

      7 Sun BC, "Predictors and outcomes of frequent emergency department users" 10 (10): 320-328, 2003

      8 Pope TM, "Legal briefing: the unbefriended: making healthcare decisions for patients without surrogates (part 1)" 23 (23): 84-96, 2012

      9 Majesko A, "Identifying family members who may struggle in the role of surrogate decision maker" 40 (40): 2281-2286, 2012

      10 Gilvar R, "Family involvement, independence, and patient autonomy in practice" 19 (19): 192-234, 2011

      1 김진경, "의학적 의사결정과정에서 실천적 덕의 토대로써 중용(中庸)" 새한철학회 63 (63): 229-247, 2011

      2 강요한, "응급환자 대불제도의 분석 및 향후 운영방안" 보건복지가족부 90-115, 2009

      3 정석관, "응급환자 대불제도의 분석 및 향후 운영방안" 보건복지가족부 116-333, 2009

      4 최선혜, "우리나라 성인의 미충족 의료현황" 7 (7): 197-200, 2014

      5 Shi L, "Vulnerability and unmet health care needs, the influence of multiple risk factors" 20 (20): 148-154, 2005

      6 Anita Ho, "Relational autonomy of undue pressure? Family’s role in medical decision-making" 22 (22): 128-135, 2008

      7 Sun BC, "Predictors and outcomes of frequent emergency department users" 10 (10): 320-328, 2003

      8 Pope TM, "Legal briefing: the unbefriended: making healthcare decisions for patients without surrogates (part 1)" 23 (23): 84-96, 2012

      9 Majesko A, "Identifying family members who may struggle in the role of surrogate decision maker" 40 (40): 2281-2286, 2012

      10 Gilvar R, "Family involvement, independence, and patient autonomy in practice" 19 (19): 192-234, 2011

      11 Quest T, "Ethics seminars: vulnerable populations in emergency medicine research" 10 (10): 1294-1298, 2003

      12 Iserson KV, "Ethics in Emergency Medicine" Galen Press 1995

      13 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 "Ethical and Policy Issues in Research Invoving Human Participants" 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 2001

      14 Larkin GL, "Emergency determination of decision-making capacity: balancing autonomy and benefici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8 (8): 282-28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8-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 한국의료윤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KCI등재
      2009-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5 0.9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