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고서] 경북지역 목판자료에 대한 조사 및 정리(중간/연차보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16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팀은 경상북도 지역에 현존하는 <목판>의 정확한 실태조사를 위해 경상북도를 북부, 서남부, 동부 지방의 3개 권역으로 나누어 3년에 걸쳐 현재 각 지역에 남아있는 목판의 현황...

      본 연구 팀은 경상북도 지역에 현존하는 <목판>의 정확한 실태조사를 위해 경상북도를 북부, 서남부, 동부 지방의 3개 권역으로 나누어 3년에 걸쳐 현재 각 지역에 남아있는 목판의 현황을 조사하여, 목판의 영구보존을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하였다.
      우선 1차 년도의 사업으로 경상북도 북부 권역의 8개 지역(안동, 예천, 영주, 상주, 문경, 봉화, 청송, 영양)의 조사를 완료하여 보고서를 발간하였고, 2차년도에는 경상북도 서남 권역의 8개 지역(고령, 구미, 군위, 김천, 대구, 성주, 의성, 칠곡)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 3차년도에는 7개지역(경산, 경주, 영덕, 영천, 울진, 청도, 포항)에 대한 조사 및 1차년도와 2차년도에 누락된 소장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보고서를 발간함으로써 연구과제 전체의 수행을 완료하였다.
      조사 방법은, 우선 각 지역 市 · 郡誌의 조사된 내용, 각 연구 기관에서 조사한 목판의 분포지역 등을 찾아 목록을 작성하고, 이어서 각 문중과 지역 문화원, 해당 지역의 지방사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방문조사를 통하여 목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였다.
      목판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조사를 위한 섭외를 거쳐 일정을 잡고, 조사단을 현장에 파견하여 목판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① 목판의 현재 위치 ② 목판의 소유자 및 관리자 ③ 목판 각인 형식 등 서지사항 ④ 현존 목판의 장별 상세 기록 및 결락(인쇄 간행된 문집과 대조) ⑤ 사진 촬영 ⑥ 간행물의 저자에 대한 조사 ⑦ 간행물에 대한 간략한 해제 ⑧ 목판의 보관 실태 ⑨ 조사한 내용의 기록, 정리 ⑩ 목록집 발간(1개년 계획이 끝난 후 발간) ⑪ 데이타베이스 구축(본 연구사업단의 소속기관 홈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예정) 등이다.
      조사한 목판 중 <한국국학진흥원>, 및 현지 박물관 등 공공기관에 보관중인 목판은 원 소장자의 이름과 주소를 밝혔으나, 개인 혹은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는 목판은 도난의 방지를 위하여 소장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주소와 소장자(혹 관리자)의 상세 내역 기재를 피하고, 주소, 성명의 일부만 보고서에 기입하였다.
      예) 소장자 성명 김○○ / 문중 김해 김씨 ○○문중 / 연락처 054-851-×××× / 010-1111-××××
      위와 같은 방법으로 1차년도에는 119개소 423종 35,446장을 조사하였고, 2차년도에는 86개소 243종 19,388장을 조사하였으며, 3차년도에는 3차대상지역 7개 시군 76개소 280종 13,630장과 1,2차년도 대상지역추가조사분 9개시군 46개소 109종 8,169장을 조사완료하였다. 이로써 3년간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조사완료한 목판은 330개소 1,055종 76,342장이다.
      1979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韓國冊版目錄總攬』에는 모두 4,220종의 책판 목록이 수록되어 있고, 이중 경상도 지역이 2,231종으로 전체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 지역이 1,613종에 달하고 있어 경상북도가 목판의 집중 분포 지역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문집류 외에 사찰소장분 14개소 92종 3,129장을 함께 조사하였으므로 이를 제외하더라고 1,000여종을 조사한 셈이므로 경북지역 잔존 목판의 대부분을 조사완료했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 경상북도 지역 전체에 산재한 목판은 대부분 보관에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상의 문집 목판이기 때문에 무조건 보관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소장만 하고 있을 뿐 관리가 되지 않는 곳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지방 자치 단체 혹은 정부 차원의 목판 보존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시급한 실정이며, 경상북도 각 지역에 산재한 목판의 경우 목판을 전문적으로 수장, 관리하는 <한국국학진흥원> 등 기관에 기탁, 보관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목판 보존을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간 보고서 □ 중간발표 내용 연차 보고서 Ⅰ. 연구개요(총괄) 1.연구목적 및 배경 2.연구내용,범위 및 방법 Ⅱ.연구내용 1.당초 연구계획(목적,방법,내용) 2.현재까...

      중간 보고서
      □ 중간발표 내용

      연차 보고서
      Ⅰ. 연구개요(총괄)
      1.연구목적 및 배경
      2.연구내용,범위 및 방법

      Ⅱ.연구내용
      1.당초 연구계획(목적,방법,내용)
      2.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
      1) 연구 대상
      2) 연구방법
      3) 연구 내용 및 결과
      4) 조사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해결 방안
      5) 연구 성과의 DB화 및 웹서비스

      Ⅲ.3차년도 연구계획
      1.연구의 목적
      1-1. 연구 목적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주제의 독창성 및 선행 연구와의 비교
      2.연구의 내용,범위 및 방법
      2-1.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2. 연구 방법
      2-3. 연구진행 일정 계획
      3.학문․사회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4.참고문헌
      1. 책판 목록
      2. 지리지, 읍지류
      3. 조선시대 지방사료
      4. 市史, 郡誌類
      5. 목판 관련 연구물
      6. 보고서, 해제류
      부록
      1.훼손 목판 관련자료
      2.목판조사분류표

      Ⅳ.연구비 신청
      1.기 집행액
      조사 자료(구미,김천,칠곡,대구,고령,의성,군위,성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