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혈액투석 중 저혈압 환자에서 저온 투석액 사용과 나트륨 조절 투석이 혈역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ol Dialysate & Sodium Profiling on Hemodynamics in Patients with Intradialytic Hypote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8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re are methods to prevent intradialytic hypotension such as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but hemodynamic effects of these methods are not proved yet. We studied hemodynamic effects of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through brachial pulse monitoring which is simple and not invasive.
      Methods : Ten patients selected by single, blind, randomized study are enforced control phase, cool dialysate phase, and sodium profiling phase and checked brachial pulse for 10 minutes after dialysis and 10 minutes before finishing. Hemodynamics is checked by DynaPulse 5200A (Pulse metric, Inc. San Diego, CA, USA).
      Results : In control, central artery systolic blood pressure is decreased after dialysis. Brachial and central artery compliance is increased but brachial artery resistance is decreased. The central artery systolic pressure, brachial mean artery pressure, and brachial artery resistance is increased, but compliance is decreased in cool dialysate as compared with control dialysis. The comparison of intradialytic changes of hemodynamic parameters between control dialysis and sodium profiling shows that intradialytic changes of hemodynamic parameters are similar, but pre-hemodialytic weight is increased in sodium profiling. Number of episodes of symptomatic hypotension per dialysis treatment in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is decreased more than in control dialysis.
      Conclusion : Our study suggests changes of compliance and resistance are most important in hemodynamic parameters of intradialytic hypotension, especially changes of compliance and resistance of vessel in cool dialysate are useful in preventing intradialytic hypotension.
      번역하기

      Purpose : There are methods to prevent intradialytic hypotension such as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but hemodynamic effects of these methods are not proved yet. We studied hemodynamic effects of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through bra...

      Purpose : There are methods to prevent intradialytic hypotension such as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but hemodynamic effects of these methods are not proved yet. We studied hemodynamic effects of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through brachial pulse monitoring which is simple and not invasive.
      Methods : Ten patients selected by single, blind, randomized study are enforced control phase, cool dialysate phase, and sodium profiling phase and checked brachial pulse for 10 minutes after dialysis and 10 minutes before finishing. Hemodynamics is checked by DynaPulse 5200A (Pulse metric, Inc. San Diego, CA, USA).
      Results : In control, central artery systolic blood pressure is decreased after dialysis. Brachial and central artery compliance is increased but brachial artery resistance is decreased. The central artery systolic pressure, brachial mean artery pressure, and brachial artery resistance is increased, but compliance is decreased in cool dialysate as compared with control dialysis. The comparison of intradialytic changes of hemodynamic parameters between control dialysis and sodium profiling shows that intradialytic changes of hemodynamic parameters are similar, but pre-hemodialytic weight is increased in sodium profiling. Number of episodes of symptomatic hypotension per dialysis treatment in cool dialysate and sodium profiling is decreased more than in control dialysis.
      Conclusion : Our study suggests changes of compliance and resistance are most important in hemodynamic parameters of intradialytic hypotension, especially changes of compliance and resistance of vessel in cool dialysate are useful in preventing intradialytic hypot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혈액투석중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저온 투석액 사용과 나트륨 조절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치료법들이 심혈관계의 혈역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비침습적이며 시행이 간편하고 고혈압 및 심부전 환자에서 그 정확성과 재생성이 인정된 brachial pulse monitor를 통해 투석 중 저혈압 환자에 있어 투석 전, 후의 혈역학적 변수의 변화를 알아보고 저온 투석액 사용과 고나트륨 투석이 투석 전, 후의 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단일맹검법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조 투석 군, 저온 투석 군, 나트륨 조정 군으로 나누어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역학적 변화는 투석 후 10분, 투석 종료 10분 전에 DynaPulse 5200A (Pulse metric, Inc. San Diego, CA, USA)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조 투석에서 투석 후 중심동맥 수축기혈압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상완동맥과 중심동맥의 유순도는 투석 후 증가되어 있었으며 저항성은 상완동맥에서만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대조 투석과 저온 투석 의 투석 중 혈역학 인자들의 변화를 비교해 볼 때, 저온 투석에서는 중심동맥 수축기혈압, 상완동맥 평균혈압, 상완동맥 저항성은 대조 투석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유순도는 감소되어 있었다. 나트륨 조절 투석은 대조투석과 비교할 때 혈역학 인자들의 투석 전후의 변화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단지 나트륨 조절 투석을 시행 받는 환자군에서 투석 전 체중이 증가되어 있었다. 저온 투석액 사용과 나트륨 조절 투석 시에는 투석 간 저혈압 증상의 발생 빈도가 낮았다.
      결 론 : 혈관의 유순도와 저항성이 투석 중 저혈압에 가장 중요한 혈역학적 인자로 생각되며, 저온 투석액은 혈관의 유순도와 저항성을 유지시켜 혈액투석 중 저혈압을 예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목 적 : 혈액투석중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저온 투석액 사용과 나트륨 조절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치료법들이 심혈관계의 혈역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많지...

      목 적 : 혈액투석중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저온 투석액 사용과 나트륨 조절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치료법들이 심혈관계의 혈역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비침습적이며 시행이 간편하고 고혈압 및 심부전 환자에서 그 정확성과 재생성이 인정된 brachial pulse monitor를 통해 투석 중 저혈압 환자에 있어 투석 전, 후의 혈역학적 변수의 변화를 알아보고 저온 투석액 사용과 고나트륨 투석이 투석 전, 후의 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단일맹검법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조 투석 군, 저온 투석 군, 나트륨 조정 군으로 나누어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역학적 변화는 투석 후 10분, 투석 종료 10분 전에 DynaPulse 5200A (Pulse metric, Inc. San Diego, CA, USA)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조 투석에서 투석 후 중심동맥 수축기혈압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상완동맥과 중심동맥의 유순도는 투석 후 증가되어 있었으며 저항성은 상완동맥에서만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대조 투석과 저온 투석 의 투석 중 혈역학 인자들의 변화를 비교해 볼 때, 저온 투석에서는 중심동맥 수축기혈압, 상완동맥 평균혈압, 상완동맥 저항성은 대조 투석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유순도는 감소되어 있었다. 나트륨 조절 투석은 대조투석과 비교할 때 혈역학 인자들의 투석 전후의 변화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단지 나트륨 조절 투석을 시행 받는 환자군에서 투석 전 체중이 증가되어 있었다. 저온 투석액 사용과 나트륨 조절 투석 시에는 투석 간 저혈압 증상의 발생 빈도가 낮았다.
      결 론 : 혈관의 유순도와 저항성이 투석 중 저혈압에 가장 중요한 혈역학적 인자로 생각되며, 저온 투석액은 혈관의 유순도와 저항성을 유지시켜 혈액투석 중 저혈압을 예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아, "단계적 초여과법과 고나트륨 투석액이혈액투석 중의 부작용 감소에 미치는 효과" 대한신장학회 21 (21): 14-459, 2002

      2 Sherman RA, "The pathophysiologic basis for hemodialysis-related hypotension" 1 : 136-142, 1988

      3 Straver B, "The effect of profiled hemodialysis on intradialytic hemodynamics when a proper sodium balance is applied" 20 : 364-369, 2002

      4 Song HC, "The effect of high sodium dialysate (HSD) on blood pressure in hemodialysis" 17 : 104-109, 1998

      5 Van Stone JC, "The effect of dialysate sodium concentration on body fluid distribution during hemodialysis" 26 : 383-386, 1980

      6 Van Stone JC, "The effect of dialysate sodium concentration on body fluid compartment volume,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aldosterone concentration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2 : 58-64, 1982

      7 Henrich WL, "The chronic efficacy and safety of high sodium dialysate: double- blind, crossover study" 2 : 349-353, 1982

      8 Levin A, "The benefits and side effects of ramped hypertonic sodium dialysis" 7 : 242-246, 1996

      9 Sadowski RH, "Sodium modeling ameliorates intradialytic and interdialytic symptoms in young hemodialysis patients" 4 : 1192-1198, 1993

      10 Daugirdas JT, "Preventing and managing hypotension" 7 : 276-283, 1994

      1 김정아, "단계적 초여과법과 고나트륨 투석액이혈액투석 중의 부작용 감소에 미치는 효과" 대한신장학회 21 (21): 14-459, 2002

      2 Sherman RA, "The pathophysiologic basis for hemodialysis-related hypotension" 1 : 136-142, 1988

      3 Straver B, "The effect of profiled hemodialysis on intradialytic hemodynamics when a proper sodium balance is applied" 20 : 364-369, 2002

      4 Song HC, "The effect of high sodium dialysate (HSD) on blood pressure in hemodialysis" 17 : 104-109, 1998

      5 Van Stone JC, "The effect of dialysate sodium concentration on body fluid distribution during hemodialysis" 26 : 383-386, 1980

      6 Van Stone JC, "The effect of dialysate sodium concentration on body fluid compartment volume,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aldosterone concentration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2 : 58-64, 1982

      7 Henrich WL, "The chronic efficacy and safety of high sodium dialysate: double- blind, crossover study" 2 : 349-353, 1982

      8 Levin A, "The benefits and side effects of ramped hypertonic sodium dialysis" 7 : 242-246, 1996

      9 Sadowski RH, "Sodium modeling ameliorates intradialytic and interdialytic symptoms in young hemodialysis patients" 4 : 1192-1198, 1993

      10 Daugirdas JT, "Preventing and managing hypotension" 7 : 276-283, 1994

      11 Daugirdas JT, "Pathophysiology of dialysis hypotension: an update" 38 (38): S11-S17, 2001

      12 Converse RL Jr, "Paradoxical withdrawal of reflex vasoconstriction as a cause of hemodialysis-induced hypotension" 90 : 1657-1665, 1992

      13 Flynn JJ 3rd, "Midodrin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hemodialysis hypotension" 45 : 261-267, 1996

      14 Fang JT, "Midodrine hydrochloride in patients on hemodialysis with chronic hypotension" 18 : 253-260, 1996

      15 Blowey DL, "Midodrine efficacy and pharmacokinetics in a patient with recurrent intradialytic hypotension" 28 : 132-136, 1996

      16 Cruz DN, "Midodrine and cool dialysate are effective therapies for symptomatic intradialytic hypotension" 33 : 920-926, 1999

      17 Budoff MJ, "Measures of brachial artery distensibility in relation to coronary calcification" 16 : 350-355, 2003

      18 Kyriazis J, "Intradialytic and interdialytic effects of treatment with 1.25 and 1. 75 Mmol/L of calcium dialysate on arterial compliance in patients on hemodialysis" 35 : 1096-1103, 2000

      19 Hoeben H, "Hemodynamics in patients with intradialytic hypotension treated with cool dialysate or midodrine" 39 : 102-107, 2002

      20 Hampl H, "Hemodynamics during hemodialysis, sequential ultrafiltration and hemofiltration" 3 : 51-71, 1979

      21 Marcen R, "Hemodialysis with low-temperature dialysate: a long-term experience" 49 : 29-32, 1988

      22 Jost CM, "Effects of cooler temperature dialysate on hemodynamic stability in 'problem' dialysis patients" 44 : 606-612, 1993

      23 Mahida BH, "Effect of cooled dialysate on serum catecholamines and blood pressure stability" 29 : 384-389, 1983

      24 Seo HS, "Effect of cool dialysate in hemodialysis-associated hypotension" 38 : 37-41, 1990

      25 Brinton T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oninvasive method to determine arterial pressure and vascular compliance" 80 : 323-330, 1997

      26 Leypoldt JK, "Determination of circulating blood volume by continuously monitoring hematocrit during hemodialysis" 6 : 214-219, 1995

      27 Urbina EM, "Brachial artery distensibility and rel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ealthy young adults (The Bogalusa Heart Study)" 89 : 946-951, 2002

      28 Ma KA, "Blood volume change and side effects during various sodium ramping in hemodialysis" 18 : 436-444, 1999

      29 Brinton TJ, "Arterial compliance by cuff sphygmomanometer. Application to hypertension and early changes in subjects at genetic risk" 28 : 599-603, 1996

      30 Perazella MA, "Approach to patients with intradialytic hypotension: A focus on therapeutic options" 12 : 175-181, 1999

      31 Daugirdas JT, "A double-blind evaluation of sodium gradient hemodialysis" 5 : 163-168,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