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Making My School with Play” project, which was planned together by the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 non-profit organization named ‘Save the Children’. The project aims to let children to have a right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Making My School with Play” project, which was planned together by the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 non-profit organization named ‘Save the Children’. The project aims to let children to have a right ...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Making My School with Play” project, which was planned together by the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 non-profit organization named ‘Save the Children’. The project aims to let children to have a right to play and to design their own playground. During the 4 workshops, two architects and the 30 students of the D elementary school cooperatively developed the ideas to build the unique playgroun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observed the entire four workshop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design process and how the initial ideas had developed into the final playground. The study is a non-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ince the researcher was not involved in the workshops and interviewed the two architects after the workshop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the architects tried to change the students’ thoughts about playground as a gatherings of toy equipment into the design of playing space. During the four workshops, the architects encouraged the students to find their own needs regarding the ways of playing and converted them into space design. In order to develop the students’ ideas, the architects provided many different art materials which resembled architectural materials and introduced ‘pattern’ as a way of creating 3 D spaces. The entire workshops wer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and the final design was characterized as a site-specific art, which reflected the contexts of the D elementary school community.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이라는 구호기관과 서울 D초등학교가 협력한 “잘 노는 우리학교 만들기”의 일환으로 학습자와 건축가의 놀이터 디자인 워크숍을 대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이라는 구호기관과 서울 D초등학교가 협력한 “잘 노는 우리학교 만들기”의 일환으로 학습자와 건축가의 놀이터 디자인 워크숍을 대상으로 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영역인 놀이터를 건축 설계자와 함께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와 건축 설계자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그 상호작용이 조형 디자인으로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비참여형 실행연구로서 수업과 워크숍에 교사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추후 교수자인 건축가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4차의 워크숍의 내용은 학습자로 하여금 놀이터가 놀이시설물의 집합체라는 인식변화 과정이 공간디자인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들의 놀이 공간과 놀이의 방식을 스스로 알아가도록 하는 것이었다. 학습자의 평면디자인의 반응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읽어낸 건축가들은 3차원의 모형과 패턴이 될 수 있는 재료들을 제시하여 아동들이 자신의 요구를 3차원의 시각 형태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협력 학습의 방식으로 발전된 아이디어는 전문가의 해석과 분석을 통해 놀이터 디자인이 된 것이다. 이 워크숍을 통해 디자인 된 놀이터는 지역사회의 요구를 담아내는 환경미술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숙, "환경회화(Site-Specific Art)를 적용한 학교환경 개선방안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137-152, 2012
2 Doris, S., "학습매체로서의 유아놀이" 창지사 1991
3 전성수, "최고의 공부법 : 유대인 하브루타의 비밀" 경향 BP 2014
4 Leong, D., "정신의 도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8
5 권미원, "장소 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2013
6 장혜순, "유아놀이에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7 곽정인, "유아교육에서 놀이와 학습과의 역동성"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43-164, 2009
8 윤재국, "어린이 놀이터를 위한 공공미술 개념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41-50, 2010
9 세이브더칠드런, "세이브더칠드런 “잘 노는 우리학교 만들기” 리서치 결과보고서" 세이브 더 칠드런 2016
10 이성도, "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예경 2013
1 박지숙, "환경회화(Site-Specific Art)를 적용한 학교환경 개선방안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137-152, 2012
2 Doris, S., "학습매체로서의 유아놀이" 창지사 1991
3 전성수, "최고의 공부법 : 유대인 하브루타의 비밀" 경향 BP 2014
4 Leong, D., "정신의 도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8
5 권미원, "장소 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2013
6 장혜순, "유아놀이에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7 곽정인, "유아교육에서 놀이와 학습과의 역동성"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43-164, 2009
8 윤재국, "어린이 놀이터를 위한 공공미술 개념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41-50, 2010
9 세이브더칠드런, "세이브더칠드런 “잘 노는 우리학교 만들기” 리서치 결과보고서" 세이브 더 칠드런 2016
10 이성도, "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예경 2013
11 지정우, "놀이가 아이를 바꾼다" 시사일본어사 2016
12 이종희, "놀이= Children`s Play" 30 (30): 309-321, 2009
13 Serra, R., "Tilted Art Destroyed" 77 (77): 34-47, 1989
14 Szekely, G., "The learner-directed classroom: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skills through art" Teachers College Press 64-76, 2011
15 Katz, L, G.,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 아카데미프레스 2013
16 강성보, "21세기 인성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한국연구재단 2005
17 김태준, "21세기 글로벌 교육개혁 동향 분석연구 :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한국교육개발원 2014
18 교육부, "2015 개정교유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어린 시절의 순수 기억이 예술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The Dream of Keys: From Magritte To Digital Photograph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2 | 0.82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5 | 0.897 | 0.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