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및 일본 동양학의 특징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내 영문 동양학 장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itish and Japanese Oriental Studies Reflected in the History Books in English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ok collection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consisted of books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but imported through the imperial university system of Japan. Thus, the characteristics evident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riental studies in Britain and Japan and the accompanying views on the other “orients” were overlapped in the collection. This research primarily aims to demonstrate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oriental collection of the library and also analyze the importation of Western knowledge into colonial university libraries and its transformation. Britain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Westernized system of politics and the initial stage of imperial expansion in Japan. In this context, Japanese oriental studies share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the Britain. However, the British political, diplomatic and academic influences on Japan do not explain how the unique features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were formed 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aspects of how Japanese studies were separated from oriental studies through the formational process of modern university system should be scrutinized. In this period, oriental studies in Japan served as an academic tool to intensify self-identity by othering other Asian nations. How we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affected the formation of Japanese views on other “orients,” reflected in the collection of the Japanese university library? Analytical study on books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reveals universal culturalism which other Western imperial institutes also pursued. However, universal culturalism affects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library collection unevenly. Japanese intellectuals imported books on ancient civilizations when it came to the Middle East and India, as many Western scholars did. However, they showed more complicated attitudes toward China, Mongolia and Indochina that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cause of Japanese imperial expansionism. Japanese intellectuals imported many books on practical knowledge, like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of those areas but also collected documents which reflected Western orientalism and used them to project Japanese superior image over other Asian countries.
      번역하기

      The book collection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consisted of books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but imported through the imperial university system of Japan. Thus, the characteristics evident in t...

      The book collection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consisted of books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but imported through the imperial university system of Japan. Thus, the characteristics evident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riental studies in Britain and Japan and the accompanying views on the other “orients” were overlapped in the collection. This research primarily aims to demonstrate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oriental collection of the library and also analyze the importation of Western knowledge into colonial university libraries and its transformation. Britain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Westernized system of politics and the initial stage of imperial expansion in Japan. In this context, Japanese oriental studies share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the Britain. However, the British political, diplomatic and academic influences on Japan do not explain how the unique features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were formed 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aspects of how Japanese studies were separated from oriental studies through the formational process of modern university system should be scrutinized. In this period, oriental studies in Japan served as an academic tool to intensify self-identity by othering other Asian nations. How we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affected the formation of Japanese views on other “orients,” reflected in the collection of the Japanese university library? Analytical study on books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reveals universal culturalism which other Western imperial institutes also pursued. However, universal culturalism affects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library collection unevenly. Japanese intellectuals imported books on ancient civilizations when it came to the Middle East and India, as many Western scholars did. However, they showed more complicated attitudes toward China, Mongolia and Indochina that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cause of Japanese imperial expansionism. Japanese intellectuals imported many books on practical knowledge, like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of those areas but also collected documents which reflected Western orientalism and used them to project Japanese superior image over other Asian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소장된 동양학 관련 영문서적들은 영어권에서 생산되었지만 일본 제국대학 시스템 안에서 수 입되었다. 그 결과 그 장서구성은 영국의 동양학 발전과정의 특징과, 일본이 동양을 바라보던 시각을 동시에 드려내고 있 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부속도서관 내 동양학 관련 장서의 구성내용과 특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나, 궁극적으 로는 이 장서구성이 투영하는 식민지 도서관에 수입된 지식의 수용과 변형과정을 분석하려 한다. 영국은 일본이 서구적 정치체제를 성립하고 제국주의적 팽창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일본 이 동양학에 대해 영국과 유사한 국가적 필요성을 공유하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영국이 일본에 영향을 끼친 정치, 외교, 사상적 요소들은 일본 동양학만의 고유한 특징까지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일본 동양학 발달의 내재 적 요소, 특히 근대 대학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자국학과 동양학이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일본이 타자를 통한 자기 정체성 강화의 수단으로서 동양학을 발달시키는 특징적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일본 동양학 발전의 외적·내적 요인들이 제국대학의 장서구성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경성 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영어 동양학 장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보편적 교양주의로 이는 당시 서구 대학의 교육방향과 일치한다. 그럼에도 이런 보편주의적 관심이 모든 지역에 균등했던 것은 아니다. 일본 지식인들은 중동, 인도 등 자국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거리가 있는 지역은 이들 지역의 고대 문명에 대한 서적을 주로 수집하였다. 그러나 아시아 중에서도 중국, 몽골, 만주, 인도차이나 등 제국주의적 팽창과 관련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좀 더 복잡한 일본의 관심사항이 드러났다. 일차적으로 일본은 제국 운영에 필요한 언어, 사회, 문화와 관련된 서적을 구입하였지만, 동시에 서구가 비서구 를 타자화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책들을 다수 보유하였다. 이는 동아시아를 대상화해서 자신을 다른 동양국가보다 우월한 위치에 두려는 일본 동양학의 또 다른 특징을 반영하는 지점이다.
      번역하기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소장된 동양학 관련 영문서적들은 영어권에서 생산되었지만 일본 제국대학 시스템 안에서 수 입되었다. 그 결과 그 장서구성은 영국의 동양학 발전과정의 특징...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소장된 동양학 관련 영문서적들은 영어권에서 생산되었지만 일본 제국대학 시스템 안에서 수 입되었다. 그 결과 그 장서구성은 영국의 동양학 발전과정의 특징과, 일본이 동양을 바라보던 시각을 동시에 드려내고 있 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부속도서관 내 동양학 관련 장서의 구성내용과 특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나, 궁극적으 로는 이 장서구성이 투영하는 식민지 도서관에 수입된 지식의 수용과 변형과정을 분석하려 한다. 영국은 일본이 서구적 정치체제를 성립하고 제국주의적 팽창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일본 이 동양학에 대해 영국과 유사한 국가적 필요성을 공유하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영국이 일본에 영향을 끼친 정치, 외교, 사상적 요소들은 일본 동양학만의 고유한 특징까지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일본 동양학 발달의 내재 적 요소, 특히 근대 대학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자국학과 동양학이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일본이 타자를 통한 자기 정체성 강화의 수단으로서 동양학을 발달시키는 특징적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일본 동양학 발전의 외적·내적 요인들이 제국대학의 장서구성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경성 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영어 동양학 장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보편적 교양주의로 이는 당시 서구 대학의 교육방향과 일치한다. 그럼에도 이런 보편주의적 관심이 모든 지역에 균등했던 것은 아니다. 일본 지식인들은 중동, 인도 등 자국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거리가 있는 지역은 이들 지역의 고대 문명에 대한 서적을 주로 수집하였다. 그러나 아시아 중에서도 중국, 몽골, 만주, 인도차이나 등 제국주의적 팽창과 관련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좀 더 복잡한 일본의 관심사항이 드러났다. 일차적으로 일본은 제국 운영에 필요한 언어, 사회, 문화와 관련된 서적을 구입하였지만, 동시에 서구가 비서구 를 타자화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책들을 다수 보유하였다. 이는 동아시아를 대상화해서 자신을 다른 동양국가보다 우월한 위치에 두려는 일본 동양학의 또 다른 특징을 반영하는 지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준영, "제국일본의 도서관체제와 경성제대 도서관" 한국사회사학회 (105) : 111-145, 2015

      2 권윤경, "식민지도서관과 이식된 근대 -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프랑스어 장서 및 역사서 분석" 한국사회사학회 (105) : 209-241, 2015

      3 로스뚜노프, "러일전쟁사"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4 정준영,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헤게모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5 정선이, "경성제국대학 연구" 문음사 2002

      6 정근식,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형성과 운영 제도이식론과 권력의 재현 사이에서" 한국사회사학회 (87) : 39-85, 2010

      7 윤영휘,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내 영문 역사장서의 구성분석 연구" 역사실학회 (59) : 421-468, 2016

      8 江上波夫, "東洋學の系譜" 大修館書店 1992

      9 東京大学創立百年の記念事業, "東京大學百年史 通史 1. 10 vols" 東京大學 1987

      10 岸本美緖, "帝國日本の學知 · 東洋學の磁場" 岩波書店 2006

      1 정준영, "제국일본의 도서관체제와 경성제대 도서관" 한국사회사학회 (105) : 111-145, 2015

      2 권윤경, "식민지도서관과 이식된 근대 -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프랑스어 장서 및 역사서 분석" 한국사회사학회 (105) : 209-241, 2015

      3 로스뚜노프, "러일전쟁사"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4 정준영,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헤게모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5 정선이, "경성제국대학 연구" 문음사 2002

      6 정근식,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형성과 운영 제도이식론과 권력의 재현 사이에서" 한국사회사학회 (87) : 39-85, 2010

      7 윤영휘,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내 영문 역사장서의 구성분석 연구" 역사실학회 (59) : 421-468, 2016

      8 江上波夫, "東洋學の系譜" 大修館書店 1992

      9 東京大学創立百年の記念事業, "東京大學百年史 通史 1. 10 vols" 東京大學 1987

      10 岸本美緖, "帝國日本の學知 · 東洋學の磁場" 岩波書店 2006

      11 Hane, Mikiso, "the Source of English Liberal Concepts in Early Meiji Japan" 24 (24): 259-272, 1969

      12 Morris. J., "What Will Japan Do? [s.n.]"

      13 Brown, Ian,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Imperial Training and the Expansion of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4 Hartog, P. J, "The Origins of the School of Oriental Studies" 1 : 5-22, 1917

      15 Zenkoku Daigaku Kyōju Renmei, "The Japan China Conflict and the Attitude of Japan. [s.n.]"

      16 Latourette, Kenneth Scott, "The Chinese, Their History and Culture" Macmillan 1934

      17 Hourani, A. H., "The British Society for Middle Eastern Studies" 1 : 3-4, 1974

      18 Daniels, Gordon, "The British Role in the Meiji Restoration: A Re-Interpretive Note" 2 : 291-313, 1968

      19 Japanese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The Anglo-Japanese Alliance, January 30,1902"

      20 The Reay Committee, "Report of the Committee appointed by the Lords Commissioners of His Majesty’s Treasury to consider the Organisation of Oriental Studies in London" HMSO 1909

      21 Turner, R. L,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in Great Britain" 19 : 284-287, 1948

      22 Mossman, Samuel, "New Japan, the Land of the Rising Sun. [s.n.]"

      23 Bidwell, Robin L., "Middle Eastern Studies in British Universities" 1 : 84-92, 1975

      24 Sadria, Modjtaba, "Middle East Studies in Japan: From One East to the Other, Middle East Report" Middle East Studies Networks 25-26, 1997

      25 Eijira, Kawai, "Meiji shisō shi no ichi danmen: Kanai Noburu o chūshin to shite" Nihon Hyōronsha 1941

      26 Yoshino, Sakuzō, "Meiji bunka zenshu XVI (24 vols)" Nihon Hyoron Shinsha 1930

      27 Royal African Society, "London School of Oriental Studies" 13 : 423-429, 1914

      28 Davis, Christina L., "Linkage Diplomacy: Economic and Security Bargaining in the Anglo-Japanese Alliance, 1902-1923" 33 : 143-179, 2009

      29 Tanaka, Stefan, "Japan’s Orient: Rendering Pasts into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30 Sansom, "George Bailey"

      31 Yukichi, Fukuzawa, "Fukuzawa senshū, zoku VII (7 vols)" Iwanami 1934

      32 Hudson, G. F., "Europe & China. [s.n.]"

      33 Schmidt, Nathaniel, "Early Oriental Studies in Europe and the Work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842-1922" 43 : 1-14, 1923

      34 Duncan, Chesney, "Corea and the Powers. [s.n.]"

      35 Matera, Marc, "Colonial Subjects: Black Intellectuals and the Development of Colonial Studies in Britain" 49 : 388-418, 2010

      36 Reynolds, Douglas R, "Chinese Area Studies in Prewar China: Japan’s Tōa Dōbun Shoin in Shanghai, 1900-1945" 45 : 945-970, 1986

      37 Bland, J. O. P., "China, Japan and Korea. [s.n.]"

      38 Soothill, William Edward, "China and the West" Oxford University Press 1925

      39 Chang, Elizabeth Hope, "Britain’s Chinese Eye, Literature, Empire, and Aesthetics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40 윤영도, "20세기 초 아시아 관련 학제(學制) 및 학지(學知) 형성 고찰-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과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을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46) : 157-179, 2010

      41 류준필, "19C말 일본 대학의 학과 편제와 國學ㆍ漢學ㆍ東洋學의 위상" 인문학연구소 65 : 199-23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