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선호시설의 영역성에 관한 고찰: 보라매 적환장을 사례로 = Territoriality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The Case of Boramae Waste Transfer S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amine the territoriality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using a case study of Boramae waste transfer station (BWTS). Previous studies on locally unwanted facilities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conflicts over location of facilities as they are often trapped into a methodological territorialism that perceives a territory as being self-closed and fixed. Through considering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proposed by Joe Painter, we argue that conflicts over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rough constant changes in the network among various actors under the specific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The territory of BWTS was produced by engagement between Gwanak-gu and Dongjak-gu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wast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owever, faced with complaints from nearby residents, Dongjak-gu made connections to other actors, leading to subsequent reterritorializ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bate on the geography of waste and locally unwanted facilities through analyzing the territoriality of BWTS in the perspective of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번역하기

      We examine the territoriality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using a case study of Boramae waste transfer station (BWTS). Previous studies on locally unwanted facilities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conflicts over location of facilities ...

      We examine the territoriality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using a case study of Boramae waste transfer station (BWTS). Previous studies on locally unwanted facilities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conflicts over location of facilities as they are often trapped into a methodological territorialism that perceives a territory as being self-closed and fixed. Through considering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proposed by Joe Painter, we argue that conflicts over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rough constant changes in the network among various actors under the specific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The territory of BWTS was produced by engagement between Gwanak-gu and Dongjak-gu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wast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owever, faced with complaints from nearby residents, Dongjak-gu made connections to other actors, leading to subsequent reterritorializ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bate on the geography of waste and locally unwanted facilities through analyzing the territoriality of BWTS in the perspective of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연수, "혐오시설입지가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원구 쓰레기소각장을 대상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9 (9): 87-98, 2003

      2 한상진, "핵 발전소 입지를 둘러싼 지방 레짐의 형성과 시민사회 거버넌스의 대응― 울산광역시 울주군 신고리 원전의 유치 사례"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45-68, 2012

      3 박배균,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 47 (47): 37-59, 2012

      4 "한국폐기물협회"

      5 서울연구원, "폐기물처리시설 실태분석 및 관리방안 자료집(관리카드)"

      6 이 신, "폐기물 소각-에너지화 사업" 서울정책아카이브 2017

      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폐기물 관리체계의경제성·환경성 평가 및 개선방안" 1997

      8 파이낸셜뉴스, "최영수 서울시의원, ”관악구클린센터 이전해야"

      9 박배균, "짧은 지리학 개론 시리즈: 영역" 시그마프레스 2013

      10 동작구의회, "제249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제2차정례회) 제3차 본회의회의록"

      1 정연수, "혐오시설입지가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원구 쓰레기소각장을 대상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9 (9): 87-98, 2003

      2 한상진, "핵 발전소 입지를 둘러싼 지방 레짐의 형성과 시민사회 거버넌스의 대응― 울산광역시 울주군 신고리 원전의 유치 사례"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45-68, 2012

      3 박배균,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 47 (47): 37-59, 2012

      4 "한국폐기물협회"

      5 서울연구원, "폐기물처리시설 실태분석 및 관리방안 자료집(관리카드)"

      6 이 신, "폐기물 소각-에너지화 사업" 서울정책아카이브 2017

      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폐기물 관리체계의경제성·환경성 평가 및 개선방안" 1997

      8 파이낸셜뉴스, "최영수 서울시의원, ”관악구클린센터 이전해야"

      9 박배균, "짧은 지리학 개론 시리즈: 영역" 시그마프레스 2013

      10 동작구의회, "제249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제2차정례회) 제3차 본회의회의록"

      11 동작구의회, "제246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임시회)제2차 본회의회의록"

      12 관악구의회, "제246회 관악구의회 제1차 보건복지위원회"

      13 관악구의회, "제226회 관악구의회 제1차 보건복지위원회"

      14 관악구의회, "제225회 관악구의회 제4차 보건복지위원회"

      15 동작구의회, "제218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제2차정례회) 제3차 본회의회의록"

      16 동작구의회, "제213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제1차정례회) 제3차 본회의회의록"

      17 동작구의회, "제211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임시회)제3차 본회의회의록"

      18 관악구의회, "제1회 관악구의회(임시회) 본회의회의록"

      19 동작구의회, "제176회 서울특별시 동작구의회(제2차 정례회) 복지건설위원회 제1차 행정사무감사회의록"

      20 관악구의회, "제107회 서울특별시 관악구의회 제3차본회의회의록"

      21 경향신문, "우리 구, 우리 동, 새해살림동작"

      22 경향신문, "옛 공사터에 주상단지"

      23 동아일보, "옛 공사자리 관악, 동작, 어느구 땅인가"

      24 경향신문, "쓰레기를 자원으로 재활용키위한 분리수거제"

      25 경향신문, "쓰레기 분리수거제 88년안에 전면 실시"

      26 경향신문, "쓰레기 구 단위 적환장 만든다"

      27 노중국, "시민을 위한 서울역사 2000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28 동작신문, "스티로폼 감용기 사용 즉각중단하라-보라매쓰레기집하장 이전 추진 대책위, 관악구청 앞에서 항의집회 이어가"

      29 정원욱, "수도권매립지 입지갈등의 전개: 네트워크 효과로서의 영역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1 (51): 541-558, 2016

      30 "서울특별시 자원회수시설"

      31 동작신문, "서울시와 관악구는 장애인보행로 즉각 설치하라! 동작구 장애인계 보라매쓰레기장 보행로 쟁취 가두행진"

      32 유기영, "서울시 폐기물관리체계 A부터 Z까지" 서울연구원 2014

      33 서울시의회, "서울시 악취물질 저감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2015

      34 최운섭, "서울시 쓰레기 수거의 공간조직" 29 : 131-162, 1997

      35 매일경제, "서울시 신대방동에 보라매공원"

      36 유기영, "서울시 생활폐기물 적환장 운영실태 분석 및 제언" 유기성자원학회 24 (24): 21-29, 2016

      37 서울특별시, "서울시 보라매 적환장 개선 T/F 구성·운영 계획" 2014

      38 동아일보, "서울시 86예산안 주요사업"

      39 "서울사진아카이브"

      40 한상진, "삼척시 원전 유치 도시 레짐을 둘러싼 반핵운동의 대응과 환경정의: 스케일 관점에서 본 원전 레짐과 탈핵" 비판사회학회 (98) : 77-105, 2013

      41 최화식, "비선호시설의 유형별 입지갈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123-151, 2012

      42 임정빈, "비선호시설의 공급체계 분석을 통한 광역화 방안 연구: 폐기물처리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2 (12): 145-173, 2008

      43 김병조, "비선호시설로서의 울산시 온산쓰레기매립장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161-175, 2012

      44 남창우, "비선호시설 지역주민의 갈등과 피해유형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시 장사시설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4 (14): 151-172, 2010

      45 박길용, "비선호시설 입지선정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7 (17): 147-176, 2007

      46 전주상,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노원·목동·강남 쓰레기소각장 건설사례의 비교분석" 11 (11): 275-295, 2000

      47 이순철, "비선호시설 입지갈등 과정의 메타거버넌스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67-94, 2012

      48 임정빈, "비선호시설 설치를 둘러싼 지방정부간 갈등 연구: 청주·청원광역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291-318, 2004

      49 김지수, "비선호 시설 입지지역의지역 특성 분석" 341-362, 2015

      50 한상연,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통합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쓰레기 적환장 선정을 중심으로" 3 (3): 157-171, 1993

      51 중앙일보, "봉천천 폐천부지에 쓰레기 중간집하장"

      52 동작뉴스닷컴, "보라매쓰레기집하장이전 합의 관악구청 일방적 파기"

      53 아시아경제, "보라매쓰레기집하장(관악클린센터) 이전 합의"

      54 동작신문, "보라매쓰레기집하장 이전협상 타결"

      55 동아일보, "보라매공원일대 ‘주상복합타운’ 탈바꿈"

      56 서울특별시, "보라매공원 광역적환장 조성 타당성 조사보고서" 2016

      57 경향신문, "대방동에 ‘보라매공원’"

      58 류효은, "대도시 쓰레기문제와 쓰레기 관리공간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생활쓰레기 처리과정과 그 관리공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9 경향신문, "달라지는 우리동네(4) 옛 空士터 주상복합빌딩 건립 활발"

      60 박배균, "네트워크의 지리학" 푸른길 261-279, 2015

      61 임은옥, "기피시설 입지에 관한 로컬거버넌스 정립 방향: 방사능폐기장의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23 (23): 211-235, 2019

      62 매일경제, "금천·관악·은평 ‘쓰레기 대란’ 위기"

      63 경향신문, "군부대·시설 이적지 개발 대부분 공원·아파트 단지로"

      64 한국경제, "관악구 봉천천 복개도로 내달 완전정비...간선도로 활용"

      65 동아일보, "‘어린이날 만세’ 기념잔치 푸짐"

      66 Howell, J., "Waste governance and ecological identity in Maui, Hawaii, USA" 79 : 81-89, 2017

      67 Jessop, B., "Theorizing sociospatial relations" 26 (26): 389-401, 2008

      68 Agnew, J.,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eory" s1 (s1): 53-80, 1994

      69 Jung, E., "The impact of the Gyeongui Line Park project on residential property values in Seoul, Korea" 58 : 108-117, 2016

      70 Lane, R., "The Waste Commons in an Emerging Resource Recovery Waste Regime: Contesting Property and Value in Melbourne’s Hard Rubbish Collections" 49 (49): 395-407, 2011

      71 Kunreuther, H, "The Social Response to Environmental Risk" Springer 151-186, 1992

      72 Painter, J., "Territory-network" 7-11, 2006

      73 Passi, A., "Territories, Boundaries, and Consciousness" John Wiley & Sons 1996

      74 Kirca, Ö., "Selecting transfer station locations for large solid waste systems" 35 (35): 339-349, 1988

      75 Painter, J., "Rethinking Territory" 42 (42): 1090-1118, 2010

      76 Kwon, Y., "Mapp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entrification near urban parks in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9 (9): 231-, 2017

      77 Sack, R. D, "Human Territoriality" CambridgeUniversity Press 1986

      78 Anguelovski, I., "From toxic sites to parks as (green)LULUs? New challenges of inequity, privilege, gentrification, and exclusion for urban environmental justice" 31 (31): 23-36, 2016

      79 Brion, D., "Essay on Lulu, Nimby, and the Problem of Distributive Justice" 15 : 437-, 1987

      80 Hwang, J. T., "Escaping the territorially trapped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thesis" 68 (68): 554-560, 2016

      81 Rokumaru, T, "Desirable Relation between theWaste Processing Facility and the Urban Planning –Case Study of Eco-Town Projects" 46 (46): 367-372, 2011

      82 Anguelovski, I., "Assessing green gentrification in historically disenfranchised neighborhoods: a longitudinal and spatial analysis of Barcelona" 39 (39): 458-491, 2018

      83 연합뉴스, "<당선자에게 듣는다>(23)문충실 동작구청장"

      8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쓰레기종량제 정책" 기획재정부 2012

      85 동아일보, "150년 쓸 쓰레기매립장 만든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1 1.26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