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랑스 국적법 개정을 통해 본 프랑스 공화주의 이념의 적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2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프랑스 공화주의와 프랑스 국적법의 관계를 살펴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프랑스 공화주의는 공화국의 이념에 동조하고 자발적 의사로 공동체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이라면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과는 관련없이 공화국 시민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프랑스 국적법은 이러한 프랑스 공화주의의 이념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프랑스에 공화제가 정착된 이후 이루어졌던 프랑스 국적법 개정 중 주요한 세 차례의 국적법을 분석하였다.
      1889년 국적법과 1927년 국적법, 그리고 1993년 국적법은 모두 프랑스 공화주의를 이념적 바탕으로 두고 있었지만, 실제로 법이 적용된 결과는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다. 제3공화국의 공화주의자들이 왕당파와 교회 세력에 맞서 공화주의를 처음으로 구현하고자 했던 시기에 제정된 1889년 국적법과, 1차 대전을 경험한 프랑스가 새롭게 사회 구성원을 정의했던 1927년 국적법, 구 식민지 출신자들과의 프랑스 본국인 사이의 갈등으로 등장한 1993년 국적법은 모두 공화주의에 기반하고 있는 법안이었다. 그러나 이 법들이 실제로 프랑스인을 정의하고자 했던 방향과 결과는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세 국적법은 당시 프랑스가 처해 있던 상황 속에서 프랑스의 입장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제정되었다.
      이러한 국적법에 대한 분석은 프랑스의 공화주의가 하나의 고정불변의 이념이 아니라 다양한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이며, 실제로 프랑스의 공화주의는 당대 프랑스가 처해 있던 환경과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더욱 명확히 드러낼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프랑스 공화주의와 프랑스 국적법의 관계를 살펴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프랑스 공화주의는 공화국의 이념에 동조하고 자발적 의사로 공동체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이라면 개인...

      이 글은 프랑스 공화주의와 프랑스 국적법의 관계를 살펴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프랑스 공화주의는 공화국의 이념에 동조하고 자발적 의사로 공동체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이라면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과는 관련없이 공화국 시민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프랑스 국적법은 이러한 프랑스 공화주의의 이념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프랑스에 공화제가 정착된 이후 이루어졌던 프랑스 국적법 개정 중 주요한 세 차례의 국적법을 분석하였다.
      1889년 국적법과 1927년 국적법, 그리고 1993년 국적법은 모두 프랑스 공화주의를 이념적 바탕으로 두고 있었지만, 실제로 법이 적용된 결과는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다. 제3공화국의 공화주의자들이 왕당파와 교회 세력에 맞서 공화주의를 처음으로 구현하고자 했던 시기에 제정된 1889년 국적법과, 1차 대전을 경험한 프랑스가 새롭게 사회 구성원을 정의했던 1927년 국적법, 구 식민지 출신자들과의 프랑스 본국인 사이의 갈등으로 등장한 1993년 국적법은 모두 공화주의에 기반하고 있는 법안이었다. 그러나 이 법들이 실제로 프랑스인을 정의하고자 했던 방향과 결과는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세 국적법은 당시 프랑스가 처해 있던 상황 속에서 프랑스의 입장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제정되었다.
      이러한 국적법에 대한 분석은 프랑스의 공화주의가 하나의 고정불변의 이념이 아니라 다양한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이며, 실제로 프랑스의 공화주의는 당대 프랑스가 처해 있던 환경과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더욱 명확히 드러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ext is another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nch republicanism and the French Nationality law. French republicanism focuses on the key point that the citizens who agree to the republic’s ideology and try to participate in a community voluntarily can be accepted as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regardless of social, economic,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dividuals. The French nationality law can be the part which reveals this ideology of French republicanism clearly. This paper analyzed the three major cases of the French nationality law revised after the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as settled in France.
      The nationality law of 1889, 1927, and 1993 was based on the ideology of French republicanism. However, the results that the law actually applied to people have found to be all different. The nationality law of 1889 enacted when republicans of the French Third Republic first tried to realize republicanism against royalists and the church force, the nationality law of 1927 that France newly defined social members after experiencing the First World War, and the nationality law of 1993 which appeared due to conflicts between people of the former colonies and people of metropolitan France were all the bills based on republicanism. However, the directions and results that the French actually tried to define have found to be all different. And the three nationality laws were enacted by the ways which reflected French stance in the situation that France faced.
      The analysis of these national laws is the concept that French republicanism can be interpreted as various types, not a hard and fast ideology. And actually, French republicanism will reveal the fact that it reflects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s of the age more clearly.
      번역하기

      This text is another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nch republicanism and the French Nationality law. French republicanism focuses on the key point that the citizens who agree to the republic’s ideology and try to participate in a co...

      This text is another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nch republicanism and the French Nationality law. French republicanism focuses on the key point that the citizens who agree to the republic’s ideology and try to participate in a community voluntarily can be accepted as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regardless of social, economic,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dividuals. The French nationality law can be the part which reveals this ideology of French republicanism clearly. This paper analyzed the three major cases of the French nationality law revised after the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as settled in France.
      The nationality law of 1889, 1927, and 1993 was based on the ideology of French republicanism. However, the results that the law actually applied to people have found to be all different. The nationality law of 1889 enacted when republicans of the French Third Republic first tried to realize republicanism against royalists and the church force, the nationality law of 1927 that France newly defined social members after experiencing the First World War, and the nationality law of 1993 which appeared due to conflicts between people of the former colonies and people of metropolitan France were all the bills based on republicanism. However, the directions and results that the French actually tried to define have found to be all different. And the three nationality laws were enacted by the ways which reflected French stance in the situation that France faced.
      The analysis of these national laws is the concept that French republicanism can be interpreted as various types, not a hard and fast ideology. And actually, French republicanism will reveal the fact that it reflects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s of the age more clea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1889년 국적법과 프랑스 거주 외국인 문제
      • 3. 1927년 국적법과 유럽 이민자 문제
      • 4. 1993년 국적법과 무슬림 2세대 문제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1889년 국적법과 프랑스 거주 외국인 문제
      • 3. 1927년 국적법과 유럽 이민자 문제
      • 4. 1993년 국적법과 무슬림 2세대 문제
      • 5.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단, "현대서양사회와 이주민" 한성대출판부 37-, 2009

      2 지규철, "프랑스헌법에서의 라이시떼(laïcité, 비종교성) 원칙에 관한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35-63, 2009

      3 홍태영,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민주주의의 형성(1789-1884)" 한국정치학회 38 (38): 435-457, 2004

      4 Georges Dupeux, "프랑스 사회사 1789-1970" 동문선 2000

      5 "프랑스 법무부"

      6 한명숙, "프랑스 국적법 개정과 북아프리카 이민자 문제, 1986-1993" 한국프랑스사학회 (20) : 153-184, 2009

      7 김용우, "프랑스 공화주의 -전체주의를 넘어서-" 한국프랑스사학회 (21) : 173-189, 2009

      8 홍태영, "프랑스 공화주의 모델의 형성: 제 3공화국과 민주주의의 공고화(1885-1940)" 한국정치학회 39 (39): 58-82, 2005

      9 Joan Wallach Scott, "The Politics of the Veil" Princeton Univ. Press 117-, 2007

      10 Garner, "The New French Code of Nationality"

      1 박단, "현대서양사회와 이주민" 한성대출판부 37-, 2009

      2 지규철, "프랑스헌법에서의 라이시떼(laïcité, 비종교성) 원칙에 관한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35-63, 2009

      3 홍태영,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민주주의의 형성(1789-1884)" 한국정치학회 38 (38): 435-457, 2004

      4 Georges Dupeux, "프랑스 사회사 1789-1970" 동문선 2000

      5 "프랑스 법무부"

      6 한명숙, "프랑스 국적법 개정과 북아프리카 이민자 문제, 1986-1993" 한국프랑스사학회 (20) : 153-184, 2009

      7 김용우, "프랑스 공화주의 -전체주의를 넘어서-" 한국프랑스사학회 (21) : 173-189, 2009

      8 홍태영, "프랑스 공화주의 모델의 형성: 제 3공화국과 민주주의의 공고화(1885-1940)" 한국정치학회 39 (39): 58-82, 2005

      9 Joan Wallach Scott, "The Politics of the Veil" Princeton Univ. Press 117-, 2007

      10 Garner, "The New French Code of Nationality"

      11 Elisa Camiscioli, "Reproducing the French Race: Immigration, Intimacy, and Embodimen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uke University Press 156-, 2009

      12 Patrick Weil, "Qu’est-ce qu’un Français?"

      13 Haut Conseil à l’integration, "Pour un modèle français d’intégration" La Documentation française 1990

      14 Arzu Aktas, "L’acquisition et la perte de la nationalite française : 1804-1927" Université Paris-Est 143-, 2011

      15 "Loi sur la nationalité : Suivie des décrets et instructions relatifs à l’application de la loi du 10 août 1927" Bercer-levrault 1927

      16 Louis Le Sueur, "La nationalité : commentaire de la loi du 26 juin 1889" G. Pedone-Lauriel 1890

      17 Victor Leray, "La loi du 26 juin 1889 et la condition des étrangers: droit international privé" F. Mas 1891

      18 Victor Leray, "La loi du 26 juin 1889 et la condition des étrangers" F. Mas 1891

      19 Annie Crépin, "La conscription en débat ou le triple apprentissage de la Nation, de la Citoyenneté, de la République (1798-1889)" Artois Presses Université 9-, 1998

      20 J. Grévy, "La République des opportunistes 1870-1885" GF-Glammarion 30-, 1998

      21 Vincent Vict, "La France Immigrée: Construction d’une politique 1914-1997" Librairie Arthème Fayard 3-, 1998

      22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Français du 10 Janvier 1973 (loi n°73-42 du 9 janvier 1973)"

      23 Donald L. Horowitz, "Immigrants in Two Democracies: French and American Experience" Univ. Press 1992

      24 André-Clément Decouflé, "Historic elements of the politics of nationality in france, 1889-1989"

      25 Ralph Schor, "Histoire de l’immigration en France de la fin du XIX siècle à nos jours" Armand Colin/Masson 45-, 1996

      26 David Thomson, "France: Empire and Republic, 1850-1940 – Historical Documents" Harper & Row 246-247, 1968

      27 Lucien Gérardin, "De l’acquisition de la qualité de français par voie de déclaration : étude sur le bienfait de la loi" L. Larose 1896

      28 Lucien Gérardin, "De l’acquisition de la Qualité de Francais par voie de déclaration : étude sur le bienfait de la loi" Librairie de la société du recueil général des lois et des arrèts 1896

      29 "Comment devenir française? Loi du 10 août 1927 sur la nationalité" Sociéte générale d’immigration 1927

      30 "Code Civi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민인종연구회 -> 이주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and Ethnicity Studies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Histo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