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60-1970년대 노동총연맹의 이주노동자 인식과 이미지 생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2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배제의 논리에 맞서 생산시스템 속에서 그들의 실제 역할을 강조했다. 즉 노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이 프랑스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 존재가 아니라, 사람들이 외면하는 위험하고 고된 일을 대신 맡아서 해주는 노동계급의 일원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이주노동자들을 실업률 상승의 주범으로 간주하는 인종주의적 시각과 대조되는 것이었다. 노동총연맹은 ‘하나의 노동계급’이라는 전통적인 시각을 통해 이주노동자와 프랑스노동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있었다. 이것은 국경을 넘어온 이주노동자의 특수성 보다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자로서의 동질성과 보편성을 강조하는 구호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단일한 노동계급’ 노선은 노동운동에서 지배적인 담론을 형성하고 있었다. 양자 모두 자본주의적 생산시스템의 동일한 피해자라는 관점이었다. 그러나 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의 특수한 현실을 알고 있었다. 특수성에 대한 실제 인식과 단일한 계급을 지향하는 선언적 구호의 차이는 역설적이게도 모순된 이미지 생산으로 귀결되었다. ‘하나의 노동계급’이라는 구호아래 함께 일하고, 함께 투쟁하며, 함께 생활하는 이주노동자와 프랑스 노동자의 모습이 아니라 외국인들을 타자화된 대상으로 묘사하는 이미지들이 만들어지고 재생산 되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노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배제의 논리에 맞서 생산시스템 속에서 그들의 실제 역할을 강조했다. 즉 노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이 프랑스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 존재가 아니라, ...

      노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배제의 논리에 맞서 생산시스템 속에서 그들의 실제 역할을 강조했다. 즉 노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이 프랑스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 존재가 아니라, 사람들이 외면하는 위험하고 고된 일을 대신 맡아서 해주는 노동계급의 일원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이주노동자들을 실업률 상승의 주범으로 간주하는 인종주의적 시각과 대조되는 것이었다. 노동총연맹은 ‘하나의 노동계급’이라는 전통적인 시각을 통해 이주노동자와 프랑스노동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있었다. 이것은 국경을 넘어온 이주노동자의 특수성 보다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자로서의 동질성과 보편성을 강조하는 구호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단일한 노동계급’ 노선은 노동운동에서 지배적인 담론을 형성하고 있었다. 양자 모두 자본주의적 생산시스템의 동일한 피해자라는 관점이었다. 그러나 동총연맹은 이주노동자들의 특수한 현실을 알고 있었다. 특수성에 대한 실제 인식과 단일한 계급을 지향하는 선언적 구호의 차이는 역설적이게도 모순된 이미지 생산으로 귀결되었다. ‘하나의 노동계급’이라는 구호아래 함께 일하고, 함께 투쟁하며, 함께 생활하는 이주노동자와 프랑스 노동자의 모습이 아니라 외국인들을 타자화된 대상으로 묘사하는 이미지들이 만들어지고 재생산 되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G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s to socialize migrant workers. This french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opposes the logic of exclusion and points out the role migrant workers play in the production systems. CGT doesn"t consider them as a factor increasing the unemployment rate, but as the part of working class. Thus the CGT establishes the relation between french workers and migrant workers under the influence of slogan “one sole working class”. Ignor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s, this slogan highlights homogeneity and universality as victims of capitalism. However, the CGT perceives special situations of migrant workers. Their labor conditions and living environment are particularly bad and worse obviously than those of french workers. This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special situation and slogan aiming one sole working class leads to produce several type of paradoxial images. Under the slogan of “one sole working class”, images which the CGT produce in La Vie ouvriere in 1960s and 1970s, describe migrant workers as otherized body.
      번역하기

      CG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s to socialize migrant workers. This french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opposes the logic of exclusion and points out the role migrant workers play in the production systems. CGT doesn"t consider them as ...

      CG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s to socialize migrant workers. This french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opposes the logic of exclusion and points out the role migrant workers play in the production systems. CGT doesn"t consider them as a factor increasing the unemployment rate, but as the part of working class. Thus the CGT establishes the relation between french workers and migrant workers under the influence of slogan “one sole working class”. Ignor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s, this slogan highlights homogeneity and universality as victims of capitalism. However, the CGT perceives special situations of migrant workers. Their labor conditions and living environment are particularly bad and worse obviously than those of french workers. This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special situation and slogan aiming one sole working class leads to produce several type of paradoxial images. Under the slogan of “one sole working class”, images which the CGT produce in La Vie ouvriere in 1960s and 1970s, describe migrant workers as otherized bo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노동총연맹의 이주노동자 인식
      • 3. 『노동자의 삶』을 통해 본 1960-1970년대 이주노동자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노동총연맹의 이주노동자 인식
      • 3. 『노동자의 삶』을 통해 본 1960-1970년대 이주노동자
      • 4.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티엔 발리바르, "정치체에 관한 권리" 후마니타스 2011

      2 손영우, "공존의 기술" 그린비 2007

      3 신동규, "공존의 기술" 그린비 332-, 2007

      4 "Lettre ouverte à Georges Séguy, supplément du Peuple, n° 860, 15 février 1975"

      5 "La vie ouvrière"

      6 Michel Dreyfus, "Histoire de la CGT" Editions Complexe 128-,

      7 Laure Pitti, "Grèves ouvrières versus luttes de l’immigration: une controverse entre historiens" 31 : 467-, 2001

      8 Tract, "CGT Renault Billancourt, 3 mai 1983, archives de l’Institut d’histoire sociale-CGT (105 CFD 20)"

      9 신동규, "1980년대 프랑스 자동차 산업의 이주노동자와 신인종주의: 계급과 인종 사이" 이주사학회 7 : 36-54, 2013

      1 에티엔 발리바르, "정치체에 관한 권리" 후마니타스 2011

      2 손영우, "공존의 기술" 그린비 2007

      3 신동규, "공존의 기술" 그린비 332-, 2007

      4 "Lettre ouverte à Georges Séguy, supplément du Peuple, n° 860, 15 février 1975"

      5 "La vie ouvrière"

      6 Michel Dreyfus, "Histoire de la CGT" Editions Complexe 128-,

      7 Laure Pitti, "Grèves ouvrières versus luttes de l’immigration: une controverse entre historiens" 31 : 467-, 2001

      8 Tract, "CGT Renault Billancourt, 3 mai 1983, archives de l’Institut d’histoire sociale-CGT (105 CFD 20)"

      9 신동규, "1980년대 프랑스 자동차 산업의 이주노동자와 신인종주의: 계급과 인종 사이" 이주사학회 7 : 36-5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민인종연구회 -> 이주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and Ethnicity Studies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Histo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