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이후부터 가격이나 기능과 같은 제품 구매조건보다는 '환경을 고려한 제품의 특질'(Environment factor)이 제품선택의 중요 기준으로 대두되고 있다. 즉 제품의 성능, 품질, 가격 등으로 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90년대 이후부터 가격이나 기능과 같은 제품 구매조건보다는 '환경을 고려한 제품의 특질'(Environment factor)이 제품선택의 중요 기준으로 대두되고 있다. 즉 제품의 성능, 품질, 가격 등으로 디...
90년대 이후부터 가격이나 기능과 같은 제품 구매조건보다는 '환경을 고려한 제품의 특질'(Environment factor)이 제품선택의 중요 기준으로 대두되고 있다. 즉 제품의 성능, 품질, 가격 등으로 디자인의 우수성을 판단하던 종래의 평가 기준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한 디자인'이 우수한 디자인의 판단 기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에코디자인의 개념 정립을 위해 ‘환경 친화적 디자인’ ‘그린디자인’ ‘생태적 디자인’ ‘자연디자인’ ‘지속가능한 디자인’등과 같은 유사한 경향들을 고찰한 후 이들 경향들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에코디자인의 핵심인 3R(Reduce, Recycle, Reuse)의 하위 구성요소에 입각해 에코디자인 패키지 평가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에코패키지 디자인의 평가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다양한 지표들과 가이드라인을 점검해보고 패키지디자인 개발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에코패키지 디자인 평가양식(Check List)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1차적으로 에코디자인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을 위해 우선 에코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에코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이론 모델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이론 모델에 근거해 전과정 비용평가(Life Cycle Cost Assessment)나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와 같은 평가방법론들을 고찰한 후 에코패키지 디자인의 평가 프로세스 및 모델을 정립하고 이에 근거한 구체적인 평가기준들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기준들을 실제 에코패키지 우수사례 평가에 대입하여 제시한 결과값들을 에코패키지디자인 가이드라인 사이트(http://www.edpi.kr)에 제시하였다. 에코디자인 패키지 평가 요소는 1차적으로는 기본적인 패키지의 기능적, 감성적 요소를 평가하는 필수요소(Essential category)와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에코요소(Eco category)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희, "환경친화기술-에코디자인과 지속가능한 발전" 12 (12): 1999
2 전종찬, "제춤디자인에 나타난 에코디자인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261-271, 2004
3 김미자, "에코패키지의 현황 및 최근 기술 동향" 27 : 2010
4 황현택, "버내큘러적 포장디자인의 가치평가 연구" 20 : 2009
5 Wang Yongchao, "녹색제품 원칙 탐색" 중국기계디자인 출판사 1999
6 박혜련, "그린환경을 위한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포장디자인의 관점에서" (11) : 2002
7 이혜주, "20세기에 나타난 에코디자인의 개념적 특성에 관한 연구" 23 : 2004
1 이동희, "환경친화기술-에코디자인과 지속가능한 발전" 12 (12): 1999
2 전종찬, "제춤디자인에 나타난 에코디자인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261-271, 2004
3 김미자, "에코패키지의 현황 및 최근 기술 동향" 27 : 2010
4 황현택, "버내큘러적 포장디자인의 가치평가 연구" 20 : 2009
5 Wang Yongchao, "녹색제품 원칙 탐색" 중국기계디자인 출판사 1999
6 박혜련, "그린환경을 위한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포장디자인의 관점에서" (11) : 2002
7 이혜주, "20세기에 나타난 에코디자인의 개념적 특성에 관한 연구" 23 : 2004
가톨릭교회의 화훼디자인 작품을 중심으로 한 색채와 의미 분석 연구 - 최근 1년 내 한국의 전례력 작품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