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교도 성경 교육 : 로버트 에벗(Robert Abbot, 1588-1662)의 소요리 문답서에 대한 분석 = The Puritan Biblical Education: The Analysis of Robert Abbot(1588-1662)’s Catec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22, the negativ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has begun to settle down. In this situation, the church is forced to maintain both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he true nature of the gospel. Thus,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cern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catechism in the Reformed tradition, in terms that Reformed confessional documents and catechism played an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an evangelical perspective, and resulted in the rise of educational issues. Particularly, the Puritans attempted to provide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with the use of easy analogies, the practice of the biblical reading, and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ological topic for the purpose of theological education. The article argues that Robert Abbot’s catechism offers an effective model for the home education of the Bible. Abbot provided various concrete methods for the educators, emphasizing the true knowledge, by which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in a personal way. He also promoted the home education by facilitating interactive discussions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by the use of various analogy. Furthermore, his biblical exegesis provides an easy explanation of the biblical texts and the varied examples of the Bible, which prove highly significant in his dealing with the biblical doctrines. Quite in contrast to contemporary scholars who argues that catechism or doctrines are dry, this perspective sheds a fresh light on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biblical education at home.
      번역하기

      In 2022, the negativ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has begun to settle down. In this situation, the church is forced to maintain both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he true nature of the gospel. Thus,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cerns...

      In 2022, the negativ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has begun to settle down. In this situation, the church is forced to maintain both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he true nature of the gospel. Thus,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cern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catechism in the Reformed tradition, in terms that Reformed confessional documents and catechism played an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an evangelical perspective, and resulted in the rise of educational issues. Particularly, the Puritans attempted to provide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with the use of easy analogies, the practice of the biblical reading, and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ological topic for the purpose of theological education. The article argues that Robert Abbot’s catechism offers an effective model for the home education of the Bible. Abbot provided various concrete methods for the educators, emphasizing the true knowledge, by which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in a personal way. He also promoted the home education by facilitating interactive discussions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by the use of various analogy. Furthermore, his biblical exegesis provides an easy explanation of the biblical texts and the varied examples of the Bible, which prove highly significant in his dealing with the biblical doctrines. Quite in contrast to contemporary scholars who argues that catechism or doctrines are dry, this perspective sheds a fresh light on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biblical education at h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22년 코로나19의 여파가 진정국면에 접어든 요즘, 한국교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복음 신앙을 확고히 붙잡는 일일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개혁 전통의 교리 교육에 관해 살펴보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 종교개혁자들에 의한 교리 교육서들은 복음 신앙의 통일성을 확립하는데 매우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의 개발로 이어졌다. 특히, 청교도들은 효과적인 교리교수법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본고는 17세기 청교도 신학자인 로버트 에벗의 소요리 문답서를 분석함으로써 그의 작품이 가정에서의 효과적인 성경 교육의 모델을 제공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에벗은 성경 교육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인격적인 지식으로 승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교리교육 시행자와 참여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풍부한 비유를 사용하고, 성경적 논증과 근거 본문들을 해설하고 다수의 성경적 예시들을 제공함으로써, 교리 교육의 기초가 성경에 대한 믿음에 놓여있음을 강조했다. 그의 소요리 문답은 교리가 메마르거나 죽은 신학의 대변인이 아니라, 오히려 그리스도인의 삶에 구체적인 실천 방향과 적용점들을 반영한다.
      번역하기

      2022년 코로나19의 여파가 진정국면에 접어든 요즘, 한국교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복음 신앙을 확고히 붙잡는 일일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개혁 전통의 교리 교육...

      2022년 코로나19의 여파가 진정국면에 접어든 요즘, 한국교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복음 신앙을 확고히 붙잡는 일일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개혁 전통의 교리 교육에 관해 살펴보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 종교개혁자들에 의한 교리 교육서들은 복음 신앙의 통일성을 확립하는데 매우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의 개발로 이어졌다. 특히, 청교도들은 효과적인 교리교수법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본고는 17세기 청교도 신학자인 로버트 에벗의 소요리 문답서를 분석함으로써 그의 작품이 가정에서의 효과적인 성경 교육의 모델을 제공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에벗은 성경 교육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인격적인 지식으로 승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교리교육 시행자와 참여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풍부한 비유를 사용하고, 성경적 논증과 근거 본문들을 해설하고 다수의 성경적 예시들을 제공함으로써, 교리 교육의 기초가 성경에 대한 믿음에 놓여있음을 강조했다. 그의 소요리 문답은 교리가 메마르거나 죽은 신학의 대변인이 아니라, 오히려 그리스도인의 삶에 구체적인 실천 방향과 적용점들을 반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선, "한국장로교단들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의 수용" 한국개혁신학회 51 : 174-213, 2016

      2 김홍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40 : 8-39, 2013

      3 박찬호, "존 파이퍼의 “기독교 희락주의”: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1번과 관련하여" 개혁신학회 14 : 195-227, 2010

      4 존 헤셀링크, "존 칼빈의 제1차 신앙교육서: 그 본문과 신학적 해설" 기독교문서선교회 2019

      5 이윤석,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 담긴 성화의 의미에 대한 고찰" 한국조직신학회 (45) : 47-83, 2016

      6 이은규, "기독청소년을 위한 커리큘럼으로서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26) : 247-275, 2011

      7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개요"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6

      8 Muller, Richard A, "Toward the Pactum Salutis: Locating the Origins of a Concept" 18 : 11-65, 2007

      9 Eshelman, Nathan,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with Scripture Proofs" Crown & Covenant Publications 2019

      10 Keister, Lane, "The Sabbath Day and Recreations on the Sabbath: An Examination of the Sabbath and the Biblical Basis for the ‘No Recreation’ Clause in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21.8 and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117" 12 : 161-172, 2016

      1 이은선, "한국장로교단들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의 수용" 한국개혁신학회 51 : 174-213, 2016

      2 김홍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40 : 8-39, 2013

      3 박찬호, "존 파이퍼의 “기독교 희락주의”: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1번과 관련하여" 개혁신학회 14 : 195-227, 2010

      4 존 헤셀링크, "존 칼빈의 제1차 신앙교육서: 그 본문과 신학적 해설" 기독교문서선교회 2019

      5 이윤석,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 담긴 성화의 의미에 대한 고찰" 한국조직신학회 (45) : 47-83, 2016

      6 이은규, "기독청소년을 위한 커리큘럼으로서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26) : 247-275, 2011

      7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개요"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6

      8 Muller, Richard A, "Toward the Pactum Salutis: Locating the Origins of a Concept" 18 : 11-65, 2007

      9 Eshelman, Nathan,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with Scripture Proofs" Crown & Covenant Publications 2019

      10 Keister, Lane, "The Sabbath Day and Recreations on the Sabbath: An Examination of the Sabbath and the Biblical Basis for the ‘No Recreation’ Clause in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21.8 and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117" 12 : 161-172, 2016

      11 Ursinus, Zacharias,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T.P. Bucher 1851

      12 Stanton, Allen, "Seeds of Truth Planted in the Field of Memory: How to Utilize the Shorter Catechism" 6 (6): 270-283, 2014

      13 Muller, Richard A.,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The Rise and Development of Reformed Orthodoxy, ca. 1520 to ca. 1725, Vol. 1. Prolegomena to Theology" Baker Academic 2003

      14 Abbot, Robert, "Milk for Babes; or a Mother’s catechism for her children…Whereunto also annexed, three sermons, etc" 1646

      15 Abbot, Robert, "Milk for Babes; or a Mother’s catechism for her children… Whereunto also annexed, three sermons, etc" 1646

      16 Abbot, Robert, "Milk for Babes; or a Mother’s catechism for her children… Whereunto also annexed, three sermons, etc" 1646

      17 Abbot, Robert, "Milk for Babes; or a Mother’s catechism for her children... Whereunto also annexed, three sermons, etc" 1646

      18 Abbot, Robert, "Milk for Babes; or a Mother’s catechism for her childre n… Whereunto also annexed, three sermons, etc" 1646

      19 Thielman, Jacob, "John Wallis’s Brief and Easie Explanation in the Context of Catechesis in Early Modern England" 80 (80): 335-353, 2018

      20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Vol 1"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6

      21 Van Vliet, Jan, "Experiencing Our Only Comfort: A Post-Reformation Refocu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6 (6): 149-170, 2014

      22 Gamble, Whitney G., "Christ and the Law: Antinomianism at the Westminster Assembly"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8

      23 Manetsch, Scott M., "Calvin’s Company of Pastors: Pastoral Care and the Emerging Reformed Church, 1536-1609"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4 Muller, Richard A, "After Calvin: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 Theological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5 Gataker, Thomas, "A Mistake or Misconstruction, Removed…" 1646

      26 Milton, Anthony, "A Missing Dimension of European Influence on English Protestantism: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Church of England, 1563-1663" 20 (20): 235-248, 2018

      27 Watson, Thomas, "A Body of Practical Divinity Consisting of Above One Hundred and Seventy Six Sermons on the Lesser Catechism Composed by the Reverend Assembly of Divines at Westminster:with a Supplement of Some Sermons on Several Texts of Scripture" Thomas Parkurst 16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