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습열처리 자색옥수수를 이용한 저맥아 맥주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Malt Beer Made with Moisturized and Heat Treated Purple Cor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r during fermentation and at the time of storage were investigated after saccharification by replacing the malt (20, 40, and 60%) with MH80/15 (purple corn that was moisturized and then heated at 80°C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r during fermentation and at the time of storage were investigated after saccharification by replacing the malt (20, 40, and 60%) with MH80/15 (purple corn that was moisturized and then heated at 80°C for 15 min).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of all samples of beer, the pH and number of yeast cells were at a level suitable for inducing fermentation. The value and the anthocyanin content of the beer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added purple corn. The content of glucose and malt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H20 sample, in which the malt was replaced with 20% of the MH80/15 in the sugar composition of the wort. Therefore, the alcohol content of the PH20 sample was the highest after fermentation. For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H20 sample and the other experimental samples in overall acceptability. Further, as the amount of purple corn was increased, then the score for the color preference was hig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80°C에서 15분간 습열 처리한 자색옥수수(MH80/15)로 맥아를 20%, 40%, 60% 대체하고 자색옥수수-맥아 맥주를 제조하였다. MH80/15를 이용하여 제조한 맥주 당화액의 pH는 5.46~5.89로 효�...

      본 연구에서는 80°C에서 15분간 습열 처리한 자색옥수수(MH80/15)로 맥아를 20%, 40%, 60% 대체하고 자색옥수수-맥아 맥주를 제조하였다. MH80/15를 이용하여 제조한 맥주 당화액의 pH는 5.46~5.89로 효모 생육과 효소의 작용에 적합하였고 발효 후 pH는 3.95~4.38로 일반적인 맥주의 pH와 유사하였다. 발효 기간 중 효모의 생육은 7.00 log CFU/mL를 유지하였다. 자색옥수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L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값은 자색옥수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b값은 자색옥수수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발효 기간에 초기 2.08~6.86에서 발효 5일 후 0.69~3.14로 감소하였으며 저장 기간에는 0.75~2.93으로 유지되었다. 자색옥수수-맥아 당화액의 환원당 함량과 가용성 고형분은 MH80/15로 맥아를 20% 대체한 PH20 당화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PLC를 이용한 당 분석에서도 주발효성 당인 maltose와 glucose가 PH20 당화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효 후 알코올 함량도 8.63%로 실험군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의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PH20과 다른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H80/15로 맥아를 20% 대체하여 제조했을 때 품질 및 발효 특성, 관능적 특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알코올과 안토시아닌이 향상된 맥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40%와 60% 대체군 또한 소규모 맥주산업의 제품 다양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영, "팥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777-784, 2013

      2 정수지, "전통누룩을 이용한 ale맥주 제조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9 (49): 132-140, 2017

      3 이춘영, "자색 옥수수 색소의 항산화효과 및 식품산업에 응용"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기연,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1 (31): 335-341, 2016

      5 김현주, "쌀맥주 가공에 적합한 품종선정을 위한 품질특성 평가" 한국작물학회 62 (62): 113-117, 2017

      6 이석기, "쌀 첨가비율에 따른 맥주의 품질 특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758-763, 2017

      7 현성기, "쌀 Adjunct를 첨가한 맥주의 품질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139-144, 2012

      8 하수정, "단양주 방법으로 제조된 막걸리의 발효과정 중 초고압 처리에 의한 미생물적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176-1181, 2012

      9 양하나, "고구마를 첨가한 저맥아 맥주의 양조와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491-500, 2017

      10 Budd JA, "Wort sugar uptake by brewer’s yeast" 3 : 267-272, 1977

      1 진영, "팥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777-784, 2013

      2 정수지, "전통누룩을 이용한 ale맥주 제조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9 (49): 132-140, 2017

      3 이춘영, "자색 옥수수 색소의 항산화효과 및 식품산업에 응용"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기연,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1 (31): 335-341, 2016

      5 김현주, "쌀맥주 가공에 적합한 품종선정을 위한 품질특성 평가" 한국작물학회 62 (62): 113-117, 2017

      6 이석기, "쌀 첨가비율에 따른 맥주의 품질 특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758-763, 2017

      7 현성기, "쌀 Adjunct를 첨가한 맥주의 품질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139-144, 2012

      8 하수정, "단양주 방법으로 제조된 막걸리의 발효과정 중 초고압 처리에 의한 미생물적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176-1181, 2012

      9 양하나, "고구마를 첨가한 저맥아 맥주의 양조와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491-500, 2017

      10 Budd JA, "Wort sugar uptake by brewer’s yeast" 3 : 267-272, 1977

      11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12 Glatthar J, "Unmalted triticale cultivars as brewing adjuncts : effects of enzyme activities and composition on beer wort quality" 85 : 647-654, 2005

      13 Ugboaja FC, "The technology and properties of beer produced from unmalted sorghum or maize grains" 7 : 225-230, 1991

      14 Kim BS, "The effect of Rubi Fructus on the ovulation and ovary in rats" 16 : 139-152, 2001

      15 Cevallos-Casals BA, "Stability of anthocyanin-based aqueous extracts of Andean purple corn and redfleshed sweet potato compared to synthetic and natural colorants" 86 : 69-77, 2004

      16 Money Today, "South Korea drunk with handmade beer"

      17 Jeong J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verage containing water extract from purple corn cob" Chung-Ang University 2015

      18 Lee WJ,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as brewing adjunct" 27 : 516-519, 1995

      19 Fernando Ramos-Escudero, "Purple Corn (Zea mays L.) Phenolic Compounds Profile and Its Assessment as an Agen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Isolated Mouse Organ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5 (15): 206-215, 2012

      20 Tsukamoto A,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low-malt beer using extremely fine potato starch" 56 : 281-286, 2009

      21 Ross RP, "Preservation and fermentation : past, present and future" 79 : 3-16, 2002

      22 Yoon JM,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29 : 211-217, 1997

      23 Diakabana P,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rew during the brewing corn malt in the production of maize beer in Congo" 5 : 671-677, 2013

      24 김기화, "Pale ale류에 속하는 맥주 신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5 (45): 142-147, 2013

      25 Smith MA,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s disease" 1502 : 139-144, 2000

      26 Kaneda H, "Influence of pH on flavour staling during beer storage" 103 : 21-23, 1997

      27 Coote N, "Factors responsible for the decrease in pH during beer fermentations" 82 : 149-153, 1976

      28 Daiber KH, "Enzyme inhibition by polyphenols of sorghum grain and malt" 26 : 1399-1411, 1975

      29 Gőssinger M, "Effects of processing parameters on colour stability of strawberry nectar from puree" 90 : 171-178, 2009

      30 Srivastava A,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of blueberry extract packed in glass bottles" 55 : 2705-2713, 2007

      31 Figueroa JDC, "Effect of sorghum endosperm type on the quality of adjuncts for the brewing industry" 53 : 5-9, 1995

      32 Tusda T, "Dietary cyanidin 3-O-β-D-glucoside-rich purple corn color prevents obesity and ameliorates hyperglycemia in mice" 133 : 2125-2130, 2003

      33 Mayer H, "Development of an all rice malt beer : a gluten free alternative" 67 : 67-73, 2016

      34 Lee J,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Collaborative Study" 88 : 1269-1278, 2005

      35 Pei SC, "Detection of aflatoxin B1 in corn, rice, and barley by ELISA, using a heavy-chain IgG2b isotype monoclonal antibody" 68 : 10-14, 2010

      36 Poreda A, "Corn grist adjunct-application and influence on the brewing process and beer quality" 120 : 77-81, 2014

      37 Coe Jr. EH, "Corn and Corn Improvement"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146-170, 1988

      38 Brányik T, "Continuous beer fermentation using immobilized yeast cell bioreactor systems" 21 : 653-663, 2005

      39 Fox PF, "Cheese: Chemistry, Physics and Microbiology" Chapman & Hall 1-36, 1993

      40 Han H, "Characteristics of beer produced from Korean six-row barley with the addition of adjuncts" 122 : 500-507, 2016

      41 Cheong C, "Brewing science" Kwangmoonkag 125-126, 2015

      42 Berlowska J, "Biodiversity of brewery yeast strains and their fermentative activities" 32 : 289-300, 2015

      43 Yook C, "Application of heat/moisture-treated rices for sikhe preparation" 28 : 1119-1125, 1996

      44 Moyer RA, "Anthocyanins,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diverse small fruits : vaccinium, rubus, and ribes" 50 : 519-52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