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 교육의 오래된 미래: (불)가능한 자세히 읽기의 가능성을 찾아서 = Ancient Futures of Teaching Novels: In Search of the Possibility of the (Im)possible Close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4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a simple but difficult question: how do we teach novels in the midst of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current world. It has been a half century since the death of the novel was first declared; and now it is no longer news that literature courses―let alone novel reading classes―are rapidly disappearing from our university curriculum. In order to confront such a crisis, various analytical strategies have been suggested and tested in the recent literary studies, among which Franco Moretti’s timely proposal on “distant reading,” has become an attractive option for teaching novels. Handy summaries and video clips are flooding trendy high-tech university classrooms and subsequently drowning the old-fashioned method of traditional literary education. However, I would argue that the literary courses, in particular the fiction curriculum, ought to preserve the ancient methodology of close reading despite the unassailable pressure from the globally swiping neoliberal rat race. Close reading, as ancient it may sound, would let us see the novel futures of the novels as well as the novelty of the world.
      번역하기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a simple but difficult question: how do we teach novels in the midst of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current world. It has been a half century since the death of the novel was first declared; and now it is no longer...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a simple but difficult question: how do we teach novels in the midst of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current world. It has been a half century since the death of the novel was first declared; and now it is no longer news that literature courses―let alone novel reading classes―are rapidly disappearing from our university curriculum. In order to confront such a crisis, various analytical strategies have been suggested and tested in the recent literary studies, among which Franco Moretti’s timely proposal on “distant reading,” has become an attractive option for teaching novels. Handy summaries and video clips are flooding trendy high-tech university classrooms and subsequently drowning the old-fashioned method of traditional literary education. However, I would argue that the literary courses, in particular the fiction curriculum, ought to preserve the ancient methodology of close reading despite the unassailable pressure from the globally swiping neoliberal rat race. Close reading, as ancient it may sound, would let us see the novel futures of the novels as well as the novelty of the wor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셸리, 메리, "프랑켄슈타인" 문학동네 2012

      2 이상옥, "이론 시대의 승산 없는 싸움―‘자세히 읽기’를 위한 변명" 5 : 5-20, 2001

      3 강신영, "영화와 책으로 본 ‘채식주의자’"

      4 김경한, "영문학 교육의 새 방향―문화교육"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10 (10): 85-110, 2006

      5 최정선, "영국소설로 영국문화 가르치기"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3 (23): 231-262, 2019

      6 박인찬, "소설의 죽음 이후: 최근 미국 소설론"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8

      7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대서사문학의 형식들에 관한 역사철학적 시론" 문예출판사 2007

      8 박선화, "부커상과 영소설의 자취 50년" 동인 2019

      9 김정숙, "문화를 통한 문학교육(Ⅱ)- 영문학과 1, 2학년 영국문학사 강의의 한 모델"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6 (6): 41-61, 2002

      10 강태경, "문학텍스트 ‘또는’ 문화텍스트? 해석과 실천을 위한 강의요목"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7 (7): 41-56, 2003

      1 셸리, 메리, "프랑켄슈타인" 문학동네 2012

      2 이상옥, "이론 시대의 승산 없는 싸움―‘자세히 읽기’를 위한 변명" 5 : 5-20, 2001

      3 강신영, "영화와 책으로 본 ‘채식주의자’"

      4 김경한, "영문학 교육의 새 방향―문화교육"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10 (10): 85-110, 2006

      5 최정선, "영국소설로 영국문화 가르치기"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3 (23): 231-262, 2019

      6 박인찬, "소설의 죽음 이후: 최근 미국 소설론"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8

      7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대서사문학의 형식들에 관한 역사철학적 시론" 문예출판사 2007

      8 박선화, "부커상과 영소설의 자취 50년" 동인 2019

      9 김정숙, "문화를 통한 문학교육(Ⅱ)- 영문학과 1, 2학년 영국문학사 강의의 한 모델"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6 (6): 41-61, 2002

      10 강태경, "문학텍스트 ‘또는’ 문화텍스트? 해석과 실천을 위한 강의요목"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7 (7): 41-56, 2003

      11 모레티, "멀리서 읽기" 현암사 2021

      12 고진, 가라타니, "근대문학의 종언" 도서출판 b 2006

      13 모레티, "그래프, 지도 나무" 문학동네 2020

      14 마르크스, 카를, "공산당 선언" 펭귄코리아 2010

      15 "Which university courses boost graduates’ wages most?"

      16 Fiedler, "What was Literature?" Touchstone 64-72, 1982

      17 Fiedler, "Waiting for the End" Delta 170-178, 1964

      18 James, Henry, "The Tragic Muse" Macmillan 1-7, 1921

      19 Lyotard, Jean-Francois,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Manchester UP 2004

      20 Barth, John, "The Literature of Exhaustion" 220 : 29-34, 1967

      21 William, J. Gilmore-Lehne, "Reading Becomes a Necessity of Life" The U of Tennessee P 1989

      22 Shelley, P. B., "Preface (1818)" Penguin 11-12, 2003

      23 Bloom, Clive, "Literature, Politics and Intellectual Crisis in Britain Today" Palgrave 2001

      24 Federman, Raymond, "Fiction in America Today or the Unreality of Reality" 4 : 5-17, 1984

      25 "Biggest earners and biggest losers from degrees"

      26 "Background, subject, and university ‘all impact earnings’"

      27 이강석, "<채식주의자(2009)>를 통해 바라본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단상"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45-652, 2020

      28 윤지관, "'경쟁'하는 문학과 세계문학의 이념" 영미문학연구회 (29) : 34-54,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3 0.59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