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의(金永毅, 1887-1951)는 국학(國學)에 있어서 중요한 자취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연구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얼마 전까지도 「천부경 주해」를 남긴 인물 정도로만 알려져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74327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김영의(金永毅, 1887-1951)는 국학(國學)에 있어서 중요한 자취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연구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얼마 전까지도 「천부경 주해」를 남긴 인물 정도로만 알려져 있...
김영의(金永毅, 1887-1951)는 국학(國學)에 있어서 중요한 자취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연구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얼마 전까지도 「천부경 주해」를 남긴 인물 정도로만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그의 저술과 대화록등이 수록된 문집이 발간되었는다. 여기에는 그동안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던 중요한 국학 자료가 실려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생애와 사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면서, 그의 저술 중에서 국학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 그 원문을 소개하고 그에 담긴 사상적 좌표와 의의를 분석했다.
김영의는 단군사상의 양축이라고 할 수 있는 「천부경」과 삼일신고를 깊이 연구해서 주석을 남겼는데, 그 사상적 특징은 주역을 중심으로 유학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에 처한 유학자로서 인재를 기르는데 힘쓰는 한편, 단군사상이나 한글의 원리를 연구하고 보급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매판적 친일유림과는 분명하게 구별되며, 그의 독창적인 사상은 앞으로도 충분한 연구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람"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2 이승호, "한국선도와 현대단학" 국학자료원 2015
3 포항시, "포항시사" 포항시사편찬위원회 1999
4 이찬구, "인부경81자집주" 동신출판사 1993
5 금장태, "속유학근백년" 여강출판사 1989
6 강천봉, "삼일신고 동경대전" 대양서적 1973
7 대종교총본사, "대종교한얼글" 대종교총본사 1990
8 대종교총본사, "대종교 중광60년사" 1971
9 조준희, "단재정훈모전집 1.2.3" 아라 2015
10 노주선생문집간행위원회, "노주선생문집" 1988
1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람"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2 이승호, "한국선도와 현대단학" 국학자료원 2015
3 포항시, "포항시사" 포항시사편찬위원회 1999
4 이찬구, "인부경81자집주" 동신출판사 1993
5 금장태, "속유학근백년" 여강출판사 1989
6 강천봉, "삼일신고 동경대전" 대양서적 1973
7 대종교총본사, "대종교한얼글" 대종교총본사 1990
8 대종교총본사, "대종교 중광60년사" 1971
9 조준희, "단재정훈모전집 1.2.3" 아라 2015
10 노주선생문집간행위원회, "노주선생문집" 1988
11 임채우, "계룡산 갑사 계곡 一中圖의 仙道的 해석 문제 : 王侯와 神仙, 그 이상과 현실의 거리" 한국도교문화학회 41 : 31-66, 2014
12 金剛道本部, "檀聖三一神誥 全" 金剛道本部 1959
13 "四冊合附" 大倧敎東道本司 1918
14 김교헌, "三一神誥" 大倧敎本司 1912
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주의집중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집중력과 기감과의 상관관계
근대 유교지식인의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박은식, 유교 가치에서 대종교 가치로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5-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04-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 |
2006-11-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2 | 0.996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