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경자,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의미와 그 개혁 전략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13 (13): 157-184, 1999
2 김소영,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9-153, 2009
3 조영기, "초등학교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개선방안-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77-99, 2007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홍서영,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53-72, 2017
6 강대중, "초등학교 6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18, 2015
7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지침" 전라북도교육청 2019
8 노철현,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65-87, 2009
9 김선,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표개발" 도서출판 AMEC 2017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확대 실시에 따른 주요 쟁점과 과제" 2016
1 김경자,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의미와 그 개혁 전략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13 (13): 157-184, 1999
2 김소영,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9-153, 2009
3 조영기, "초등학교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개선방안-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77-99, 2007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홍서영,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53-72, 2017
6 강대중, "초등학교 6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18, 2015
7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지침" 전라북도교육청 2019
8 노철현,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65-87, 2009
9 김선,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표개발" 도서출판 AMEC 2017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확대 실시에 따른 주요 쟁점과 과제" 2016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내실화, 무엇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 2017
12 김영천, "수행평가 : 이론과 설계" 아카데미프레스 2016
13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14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14
15 임은진, "사회과 활동 중심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 교육과학사 2018
16 박영석,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61-82, 2010
17 배화순, "사회과 평가 방향의 변화에 따른 대안적 평가 방안 탐색: 사회과 실제적 평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25-445, 2018
18 김혜진,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 포커스 그룹(Focus Group)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57-70, 2016
19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20 교육부, "사회 6-1 교사용 지도서" 2019
21 교육부, "사회 5-1 교사용 지도서" 2019
22 Isecke, H., "백워드 설계와 수업 전문성" 학지사 2016
23 Wiggins, G.,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Ⅱ)" 교육과학사 2015
24 김정덕, "루브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평가 실행과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159-173, 2009
25 성태제,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14
26 McMillan, J. H.,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육과학사 2015
27 김성숙, "교수, 학습과 하나 되는 형성평가" 학지사 2015
28 이효녕, "과학 탐구 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145-171, 2017
29 김정민,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39-859, 2018
30 교육부,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초등" 2017
31 Mathison, 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47-266, 2014
32 Turner, T. M., "Essential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Routledge 2013
33 Moore, R., "Basil Bernstein: the thinker and the field" Routledge 2013
34 Newmann, F. M., "Authentic intellectual work : Common standards for teaching social studies" 73 (73): 43-49, 2009
35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과정 중심 평가 운영 계획"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
36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 지침"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
37 반재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활성화를 위한 학생평가 모형 개발연구" 교육부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