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 현황 분석 = Analysis of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5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lan. It also proposed a method to find and improve problems in assessment plan stage. Assessment plans for the first semesters were surveyed among 5th and 6th graders of 130 schools in Jeonju and northern Seoul. Survey results conducted on 189 teachers were then analyzed. As a result, main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were confusion of areas and terms, unbiased assessment of specificcontents, and lack of concrete evaluation criteria. Teachers were struggling in providing assessments with appropriate feedback for students and linking them to actual context. Teachers also found that it was hard to execute the assessment plan writte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at lacked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templates with various examples and develop integrated evaluation tasks that link elements of various curriculum standards with an analytical rubric..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lan. It also proposed a method to find and improve problems in assessment plan stage. Assessment plans for the first semesters were surveyed among 5th and...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lan. It also proposed a method to find and improve problems in assessment plan stage. Assessment plans for the first semesters were surveyed among 5th and 6th graders of 130 schools in Jeonju and northern Seoul. Survey results conducted on 189 teachers were then analyzed. As a result, main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were confusion of areas and terms, unbiased assessment of specificcontents, and lack of concrete evaluation criteria. Teachers were struggling in providing assessments with appropriate feedback for students and linking them to actual context. Teachers also found that it was hard to execute the assessment plan writte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at lacked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templates with various examples and develop integrated evaluation tasks that link elements of various curriculum standards with an analytical rubr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과 교사 인식을 분석하여 평가 계획 단계에서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주와 서울 북부지역에 있는 130개교의 5, 6학년 1학기 평가 계획을 조사하고, 현직 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 평가 계획에서는 영역 및 용어의 혼란, 특정 내용에 편중된 평가, 구체적인 평가 기준 부재가 주요 문제로 밝혀졌다. 교사들은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실제적 맥락과 연계된 평가를 추구하나, 학기 초에 완성해야 하는 부담감과 참고할만한 양질의 자료 부족 등으로 평가 계획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사회과 평가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시가 담긴 사회과 평가 템플릿과 분석적 루브릭을 갖춘 여러 사회과 성취기준의 요소를 연결한 통합적 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과 교사 인식을 분석하여 평가 계획 단계에서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주와 서울 북부지역에 있는 130개교의 5, 6...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과 교사 인식을 분석하여 평가 계획 단계에서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주와 서울 북부지역에 있는 130개교의 5, 6학년 1학기 평가 계획을 조사하고, 현직 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 평가 계획에서는 영역 및 용어의 혼란, 특정 내용에 편중된 평가, 구체적인 평가 기준 부재가 주요 문제로 밝혀졌다. 교사들은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실제적 맥락과 연계된 평가를 추구하나, 학기 초에 완성해야 하는 부담감과 참고할만한 양질의 자료 부족 등으로 평가 계획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사회과 평가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시가 담긴 사회과 평가 템플릿과 분석적 루브릭을 갖춘 여러 사회과 성취기준의 요소를 연결한 통합적 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자,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의미와 그 개혁 전략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13 (13): 157-184, 1999

      2 김소영,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9-153, 2009

      3 조영기, "초등학교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개선방안-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77-99, 2007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홍서영,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53-72, 2017

      6 강대중, "초등학교 6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18, 2015

      7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지침" 전라북도교육청 2019

      8 노철현,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65-87, 2009

      9 김선,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표개발" 도서출판 AMEC 2017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확대 실시에 따른 주요 쟁점과 과제" 2016

      1 김경자,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의미와 그 개혁 전략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13 (13): 157-184, 1999

      2 김소영,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9-153, 2009

      3 조영기, "초등학교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개선방안-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77-99, 2007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홍서영,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53-72, 2017

      6 강대중, "초등학교 6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18, 2015

      7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지침" 전라북도교육청 2019

      8 노철현,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65-87, 2009

      9 김선,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표개발" 도서출판 AMEC 2017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확대 실시에 따른 주요 쟁점과 과제" 2016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행평가 내실화, 무엇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 2017

      12 김영천, "수행평가 : 이론과 설계" 아카데미프레스 2016

      13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14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14

      15 임은진, "사회과 활동 중심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 교육과학사 2018

      16 박영석,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61-82, 2010

      17 배화순, "사회과 평가 방향의 변화에 따른 대안적 평가 방안 탐색: 사회과 실제적 평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25-445, 2018

      18 김혜진,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 포커스 그룹(Focus Group)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57-70, 2016

      19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20 교육부, "사회 6-1 교사용 지도서" 2019

      21 교육부, "사회 5-1 교사용 지도서" 2019

      22 Isecke, H., "백워드 설계와 수업 전문성" 학지사 2016

      23 Wiggins, G.,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Ⅱ)" 교육과학사 2015

      24 김정덕, "루브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평가 실행과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159-173, 2009

      25 성태제,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14

      26 McMillan, J. H.,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육과학사 2015

      27 김성숙, "교수, 학습과 하나 되는 형성평가" 학지사 2015

      28 이효녕, "과학 탐구 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145-171, 2017

      29 김정민,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39-859, 2018

      30 교육부,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초등" 2017

      31 Mathison, 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47-266, 2014

      32 Turner, T. M., "Essential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Routledge 2013

      33 Moore, R., "Basil Bernstein: the thinker and the field" Routledge 2013

      34 Newmann, F. M., "Authentic intellectual work : Common standards for teaching social studies" 73 (73): 43-49, 2009

      35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과정 중심 평가 운영 계획"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

      36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 지침"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

      37 반재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활성화를 위한 학생평가 모형 개발연구" 교육부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