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계의 렌즈로 들여다보기를 통한 교사의 사고 변화 = A change in the teacher's thinking by looking through the lens of relationshi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28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관계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시도된 김은희(2008)의 연구에 참여하였던 공동체 T유치원 교사들이 ‘관계의 렌즈로 들여다보기’를 통해 관계를 재개념화하고 관계형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반성, 사고와 실천의 변화를 가져오는 참여실천연구이다. 교사 11명과 본 연구자는 6주간 유치원 일과에서 참여관찰, 기록, 공유, 면담 과정을 거치면서 차원⋅요소(8×5)로 구성된 관계의 매트릭스에 근거하여 매주 차원별 요소별 관계의 상황과 내용 및 상호작용의 질을 반성하였다.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참여관찰기록, 면담자료, 일일⋅주간 저널, 교사 협의록, 교사저널을 참여관찰, 면담, 내용분석 방법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들로 하여금 관계의 의미를 알고 교실의 관계를 돌아보면서 부족한 관계형성의 내용과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을 의식적으로 시도하게끔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과정에서 교사들은 관계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고, 관계의 개념 및 역할 뿐 아니라 교사자신의 역할에 대한 사고가 변화됨을 볼 수 있었다. 관계형성을 위한 교사의 실천 또한 연령에 따라 차원별, 요소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령별 서로 다른 관계차원의 양상과 요소 간 관계를 지원하는 현장교사를 위한 실천 tip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관계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시도된 김은희(2008)의 연구에 참여하였던 공동체 T유치원 교사들이 ‘관계의 렌즈로 들여다보기’를 통해 관계를 재개념화하고 관계형성을 위...

      본 연구는 관계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시도된 김은희(2008)의 연구에 참여하였던 공동체 T유치원 교사들이 ‘관계의 렌즈로 들여다보기’를 통해 관계를 재개념화하고 관계형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반성, 사고와 실천의 변화를 가져오는 참여실천연구이다. 교사 11명과 본 연구자는 6주간 유치원 일과에서 참여관찰, 기록, 공유, 면담 과정을 거치면서 차원⋅요소(8×5)로 구성된 관계의 매트릭스에 근거하여 매주 차원별 요소별 관계의 상황과 내용 및 상호작용의 질을 반성하였다.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참여관찰기록, 면담자료, 일일⋅주간 저널, 교사 협의록, 교사저널을 참여관찰, 면담, 내용분석 방법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들로 하여금 관계의 의미를 알고 교실의 관계를 돌아보면서 부족한 관계형성의 내용과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을 의식적으로 시도하게끔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과정에서 교사들은 관계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고, 관계의 개념 및 역할 뿐 아니라 교사자신의 역할에 대한 사고가 변화됨을 볼 수 있었다. 관계형성을 위한 교사의 실천 또한 연령에 따라 차원별, 요소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령별 서로 다른 관계차원의 양상과 요소 간 관계를 지원하는 현장교사를 위한 실천 tip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community T kindergarten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s on re-conceptualization of relationships by looking through the lens of relationships. The teachers who had been involved Dr. Kim's research(2008) to study the essential meaning of relationships. With 11 teach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 the community T kindergarten, this researcher had reflected weekly the situation and contents of dimensional and elemental relationships,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based on the matrix of relationships composed of the dimensions and elements (8 x 5) over the period of 6 weeks by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documentation, sharing, and interviews. The interpretation and coding of the data from documentation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materials of interviews, daily journals, weekly journals, teacher's assembly records, and teacher's records were ongoing and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analysis of contents. This process gave opportunities for the teach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improve the part of insufficient formation of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could investigate the essential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they could be aware of the change in their thinking of the teacher's role. The results of the teacher's practices of relationship form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upon children's age in dimensional and element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provided practical tips for classroom teachers who support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 aspects and elements in dimensional relationships in each age group of childre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community T kindergarten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s on re-conceptualization of relationships by looking through the lens of relationships. The teachers who had been ...

      This study wa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community T kindergarten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s on re-conceptualization of relationships by looking through the lens of relationships. The teachers who had been involved Dr. Kim's research(2008) to study the essential meaning of relationships. With 11 teach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 the community T kindergarten, this researcher had reflected weekly the situation and contents of dimensional and elemental relationships,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based on the matrix of relationships composed of the dimensions and elements (8 x 5) over the period of 6 weeks by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documentation, sharing, and interviews. The interpretation and coding of the data from documentation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materials of interviews, daily journals, weekly journals, teacher's assembly records, and teacher's records were ongoing and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analysis of contents. This process gave opportunities for the teach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improve the part of insufficient formation of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could investigate the essential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they could be aware of the change in their thinking of the teacher's role. The results of the teacher's practices of relationship form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upon children's age in dimensional and element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provided practical tips for classroom teachers who support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 aspects and elements in dimensional relationships in each age group of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Ⅴ.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Ⅴ.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