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사람들의 사치 · 허영과 검약 인식 = The Goryeo People’s Perception of Concepts such as Extravagance, Vanity and Frug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48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정된 농업생산에 기반하고 있던 고려사회에서도, 검약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고려 사람들이 반드시 검약과 사치 · 허영을 미덕과 악덕이라는 이분법적으로 도식화하여서만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고려 사람들에게 사치나 허영은 일견 모순되게 보이는 두 가지 관념이 상존하고 있었다. 과도하게 재화를 소비하거나 과시하는 것, 특히 신분이나 지위를 뛰어넘는 사치나 허영은 부정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동시에 일정한 권력이나 지위를 소유한 사람이 그 지위에 걸 맞는 사치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지위나 권력은 일정하게 대중에게 공포되어야만 하였고, 이를 나타내기 위한 일정한 부의 과시는 불가피한 것이었다. 지배계층의 이러한 사치는 일반 민에게도 당연한 것으로 수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배층의 사치나 허영은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하지만, 원간섭기 이래 심화된 사회경제적 모순은 사치와 검약에 대한 고려 사람들의 관념을 변화시켰다. 특정 권력자에 의한 과도한 권력과 재화의 집중, 일부 상인이나 賤人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은 당시 사람들에 의해 진지하게 고민되었다. 과도한 사치나 허영은 농민층의 수탈 위에서 진행되었고, 고려 국가 경제 체계의 순환 구조를 파단으로 몰고 갔다. 이러한 상황은 사 · 허영에 대한 고려 사람들의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키고 체계화시켰다. 반면 검약은 절대적인 긍정성을 획득해 나갔다.
      결국 고려말 신흥 사대부들은 農本主義 산업 구조의 강화 및 民本意識과 신분질서의 강화를 대의명분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이는 검약과 사치 · 허영을 미덕과 악덕이라는 이분법적인 관념으로 도식화하였다. 신흥 사대부들의 이러한 검약관은 사치 · 허영의 가장 큰 피해자였던 농민층들에 의해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절검 의식만의 강조는 적극적인 부의 축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번역하기

      한정된 농업생산에 기반하고 있던 고려사회에서도, 검약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고려 사람들이 반드시 검약과 사치 · 허영을 미덕과 악덕이라는 이분법적으로 도식화...

      한정된 농업생산에 기반하고 있던 고려사회에서도, 검약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고려 사람들이 반드시 검약과 사치 · 허영을 미덕과 악덕이라는 이분법적으로 도식화하여서만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고려 사람들에게 사치나 허영은 일견 모순되게 보이는 두 가지 관념이 상존하고 있었다. 과도하게 재화를 소비하거나 과시하는 것, 특히 신분이나 지위를 뛰어넘는 사치나 허영은 부정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동시에 일정한 권력이나 지위를 소유한 사람이 그 지위에 걸 맞는 사치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지위나 권력은 일정하게 대중에게 공포되어야만 하였고, 이를 나타내기 위한 일정한 부의 과시는 불가피한 것이었다. 지배계층의 이러한 사치는 일반 민에게도 당연한 것으로 수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배층의 사치나 허영은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하지만, 원간섭기 이래 심화된 사회경제적 모순은 사치와 검약에 대한 고려 사람들의 관념을 변화시켰다. 특정 권력자에 의한 과도한 권력과 재화의 집중, 일부 상인이나 賤人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은 당시 사람들에 의해 진지하게 고민되었다. 과도한 사치나 허영은 농민층의 수탈 위에서 진행되었고, 고려 국가 경제 체계의 순환 구조를 파단으로 몰고 갔다. 이러한 상황은 사 · 허영에 대한 고려 사람들의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키고 체계화시켰다. 반면 검약은 절대적인 긍정성을 획득해 나갔다.
      결국 고려말 신흥 사대부들은 農本主義 산업 구조의 강화 및 民本意識과 신분질서의 강화를 대의명분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이는 검약과 사치 · 허영을 미덕과 악덕이라는 이분법적인 관념으로 도식화하였다. 신흥 사대부들의 이러한 검약관은 사치 · 허영의 가장 큰 피해자였던 농민층들에 의해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절검 의식만의 강조는 적극적인 부의 축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머리말
      • 2. 惡德이 아닌 사치와 허영
      • 3. 신분 · 지위에 따른 사치 · 허영의 규제
      • 4. 검약으로의 진로
      • 〈국문 초록〉
      • 1. 머리말
      • 2. 惡德이 아닌 사치와 허영
      • 3. 신분 · 지위에 따른 사치 · 허영의 규제
      • 4. 검약으로의 진로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朝前期 奢侈禁壓考" 21 : 1964

      2 "遼의 三角貿易攷" 1973

      3 "우물이 있는 집" 18992005

      4 金庠基, "麗宋貿易小考" 7 : 1937

      5 "高麗來航 宋商人과 麗 宋의 貿易政策 大同文化硏究" 32 : 1997

      6 김인호, "高麗後期 經濟倫理와 奢侈禁止" 혜안 上 : 2000

      7 "高麗墓誌銘集成 (제3판), 柳墩墓誌銘" 翰林大出版部 2001

      8 金龍善 편, "高麗墓誌銘集成" 翰林大出版部 1993

      9 許興植 편, "韓國金石全文" 亞細亞文化社 中世上 : 1984

      10 "韓國金石全文" 亞細亞文化社 中世下 : 1984

      1 "李朝前期 奢侈禁壓考" 21 : 1964

      2 "遼의 三角貿易攷" 1973

      3 "우물이 있는 집" 18992005

      4 金庠基, "麗宋貿易小考" 7 : 1937

      5 "高麗來航 宋商人과 麗 宋의 貿易政策 大同文化硏究" 32 : 1997

      6 김인호, "高麗後期 經濟倫理와 奢侈禁止" 혜안 上 : 2000

      7 "高麗墓誌銘集成 (제3판), 柳墩墓誌銘" 翰林大出版部 2001

      8 金龍善 편, "高麗墓誌銘集成" 翰林大出版部 1993

      9 許興植 편, "韓國金石全文" 亞細亞文化社 中世上 : 1984

      10 "韓國金石全文" 亞細亞文化社 中世下 : 1984

      11 李樹健 편, "慶北地方古文書集成" 嶺南大出版部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