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통요인(common factors)을 통해 본 구조적 가족치료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IBCT)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 및 가족치료적 함의 = A Study on the Integrated Applicability of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Through Common Factors, With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0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상담 연구의 큰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공통요인의 관점으로써 구조적 가족치료모델과 통합적 행동부부치료모델을 고찰하여 두 이론적 모델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 가족치료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홍숙과 최한나(2016)가 제시한 부부상담의 치료적 요인들인 가족체계 다루기, 관계 변화의 주체로서 개인 다루기, 부부체계 평가하기,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기술 훈련하기, 부부 사이의 체험적 수용과 소통 촉진하기, 변화를 위한 구조와 안전감 제공하기를 가족치료의 공통요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모델 모두 공통요인에서 제시한 치료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구조적 가족치료의 부부․가족상담의 4단계 모델을 기본적인 상담 과정으로 설정하고 각 단계별로 치료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도록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의 기법들을 투입하는 방식의 통합적 적용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국내 가족치료 연구 및 임상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영역들을 재고하고, 아울러 두 모델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치료적인 시너지를 창출하고 상호보완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가족치료를 모색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상담 연구의 큰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공통요인의 관점으로써 구조적 가족치료모델과 통합적 행동부부치료모델을 고찰하여 두 이론적 모델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탐...

      본 연구는 최근 상담 연구의 큰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공통요인의 관점으로써 구조적 가족치료모델과 통합적 행동부부치료모델을 고찰하여 두 이론적 모델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 가족치료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홍숙과 최한나(2016)가 제시한 부부상담의 치료적 요인들인 가족체계 다루기, 관계 변화의 주체로서 개인 다루기, 부부체계 평가하기,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기술 훈련하기, 부부 사이의 체험적 수용과 소통 촉진하기, 변화를 위한 구조와 안전감 제공하기를 가족치료의 공통요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모델 모두 공통요인에서 제시한 치료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구조적 가족치료의 부부․가족상담의 4단계 모델을 기본적인 상담 과정으로 설정하고 각 단계별로 치료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도록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의 기법들을 투입하는 방식의 통합적 적용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국내 가족치료 연구 및 임상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영역들을 재고하고, 아울러 두 모델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치료적인 시너지를 창출하고 상호보완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가족치료를 모색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n factors, exploring the integrative applicability of the two theoretical models, thus attempting to derive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y.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common factors in family therapy of: “working with family system”, “working with the individual as a relationship change agent”, “evaluating couple system”, “training knowledge and skills for problem solving”, “facilitating experiential acceptance and communication within couples”, and “providing structure and safety for change”. Results: First, both models included common factors suggested in the study. Second, for the integration of the two models, a four-stage model of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in structural family therapy was set as a counseling process, and the techniques of integrated behavioral couple therapy were integrated to reinforce the therapeutic effect at each ste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the area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family therapy research and clinical sites.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two models will also enable more scientific and effective family therapy.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n factors, exploring the integrative applicability of the two theoretical models, thus attempting to d...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n factors, exploring the integrative applicability of the two theoretical models, thus attempting to derive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y.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common factors in family therapy of: “working with family system”, “working with the individual as a relationship change agent”, “evaluating couple system”, “training knowledge and skills for problem solving”, “facilitating experiential acceptance and communication within couples”, and “providing structure and safety for change”. Results: First, both models included common factors suggested in the study. Second, for the integration of the two models, a four-stage model of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in structural family therapy was set as a counseling process, and the techniques of integrated behavioral couple therapy were integrated to reinforce the therapeutic effect at each ste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the area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family therapy research and clinical sites.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two models will also enable more scientific and effective family therap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주, "협의이혼상담 사례연구: 변화유발요인과 효과 탐색"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67-91, 2009

      2 신혜종, "한국 가족치료 인력양성의 현황과 과제" 한국가족치료학회 13 (13): 29-60, 2005

      3 이선희,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449-476, 2013

      4 이선희,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5 최빛내, "커플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국내 상담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301-320, 2018

      6 Fishbane. M., "커플상담과 신경생물학" 학지사 2019

      7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8 강지현, "유아기 비순응 문제에 대한 근거기반 부모 상담의 효과: 고위험군 선별을 통한 맞춤식 인지행동치료" 한국상담학회 19 (19): 1-25, 2018

      9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센게이지러닝 2017

      10 정교영, "부부치료의 주요 이론적 접근과 최근 연구동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30, 2007

      1 전영주, "협의이혼상담 사례연구: 변화유발요인과 효과 탐색"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67-91, 2009

      2 신혜종, "한국 가족치료 인력양성의 현황과 과제" 한국가족치료학회 13 (13): 29-60, 2005

      3 이선희,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449-476, 2013

      4 이선희,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5 최빛내, "커플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국내 상담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301-320, 2018

      6 Fishbane. M., "커플상담과 신경생물학" 학지사 2019

      7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8 강지현, "유아기 비순응 문제에 대한 근거기반 부모 상담의 효과: 고위험군 선별을 통한 맞춤식 인지행동치료" 한국상담학회 19 (19): 1-25, 2018

      9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센게이지러닝 2017

      10 정교영, "부부치료의 주요 이론적 접근과 최근 연구동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30, 2007

      11 김중술, "부부치료의 새로운 접근: 관용과 수용" 2 (2): 1-13, 2002

      12 Jacobson, N. S., "부부치료에서의 수용과 변화" 학지사 2012

      13 이홍숙, "부부상담의 치료적 개입 요인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33-61, 2016

      14 박진희, "부부상담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부부상담의 치료적 요인연구" 한국상담학회 21 (21): 69-91, 2020

      15 박우철, "부부상담 임상연구에서 모델중심 성과연구와 공통요인 연구에 대한 개관" 한국상담학회 17 (17): 327-348, 2016

      16 Minuchin, S., "부부․가족 상담의 4단계 모델-증상에서 체계까지 상담사례의 적용" ㈜ 시그마프레스 2007

      17 정수경, "문제유지통합모델을 적용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9 : 153-175, 2000

      18 Minuchin, S.,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술" 하나의학사 2017

      19 이화자, "공황장애 아내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 및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573-598, 2016

      20 송미화, "가트먼 부부치료와 정서중심 부부치료에 대한 비교 및 이혼 전 상담에서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307-330, 2013

      21 정문자,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2018

      22 Nichols, M. P.,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 시그마프레스 2017

      23 김수지, "가족상담자의 상담관련 전문성이 부부관계와 가족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학회 11 (11): 1289-1303, 2010

      24 전영주, "가족상담 개념과 실제" 신정 2016

      25 Davis, S. D., "What clients of couple therapy model developers and their former students say about change, part I : Model-dependent common factors across three models" 33 : 318-343, 2007

      26 Halford, W. K., "Universal processes and common factors in couple therapy and relationship education: Guest Editors: W. Kim Halford and Douglas K. Snyder" 43 (43): 1-12, 2012

      27 Fife, S. T., "The therapeutic pyramid : A common factors synthesis of techniques, alliance, and way of being" 40 (40): 20-33, 2014

      28 Gottman, J. M., "The science of couples and family therapy: behind the scenes at the “love lab”" W. W. Norton & Company 2018

      29 Sprenkle, D. H., "The role of the therapist as the bridge between common factors and therapeutic change" 29 (29): 109-113, 2007

      30 Lebow, J., "The integrative revolution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36 (36): 1-17, 1997

      31 Sprenkle, D. H., "The heart of change: What works in therapy"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9-360, 1999

      32 Wampler, K. S., "The handbook of systemic family therapy: The profession of systemic family therapy(1)" Wiley 3-32, 2020

      33 Karam, E. A., "The handbook of systemic family therapy: The profession of systemic family therapy(1)" Wiley 147-169, 2020

      34 Wampold, B.,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The evidence for what makes psychotherapy work" Routledge 2015

      35 Thomas, M, L., "The contributing factors of change in a therapeutic process" 28 (28): 201-210, 2006

      36 Shadish, W. R., "Meta-analysis of MFT interventions" 29 (29): 547-570, 2003

      37 Fife, S. T., "Marriage and family therapy students’ experience with common factors training" 45 (45): 191-205, 2019

      38 Jacobson, N. S.,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 An acceptance based, promising new treatment for couple discord" 68 : 351-355, 2000

      39 Comas-Díaz, L., "History of psychotherapy: Continuity and chang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3-267, 2011

      40 Lebow, J., "Handbook of family therapy" Routledge 205-228, 2015

      41 Colapinto, J., "Handbook of Family Therapy" Routledge 120-133, 2016

      42 Norcross, J. C., "Evidence-based therapy relationships : Research conclusions and clinical practices" 48 (48): 98-102, 2011

      43 Shadish, W. R., "Effects of behavioral marital therapy :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73 (73): 6-14, 2005

      44 Christensen, A., "Couple and individual adjustment for two years following a randomized clinical trail comparing traditional versus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74 (74): 1180-1191, 2006

      45 Lebow, J., "Couple and family therapy: An integrative map of the territory" APA books 2014

      46 Goldman, A., "Comparison of integrated systemic and emotionally focused approaches to couples therapy" 60 : 962-969, 1992

      47 Benson, L. A., "Common principles of couple therapy" 43 (43): 25-35, 2012

      48 Davis, S. D., "Common factors of change in couple therapy" 43 (43): 36-48, 2012

      49 Sprenkle, D. H., "Common factors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The overlooked foundation for effective practice" Guilford Press 2009

      50 D’Aniello, C. D., "Common factors as a road map to MFT model integration: Implications for training therapists" 37 (37): 176-182, 2015

      51 Sprenkle, D. H., "Common factors and our sacred models" 30 (30): 113-129, 2004

      52 Blow, A. J., "Common factors across theories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 A modified Delphi study" 27 (27): 385-401, 2001

      53 Christensen, A.,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The Guilford Press 61-94, 2015

      54 Gurman, A. 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The Guilford Press 1-18, 2015

      55 Gottman, J. M.,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The Guilford Press 129-157, 2015

      56 Karam, E. A., "Bringing common factors to life in couple & family therapy" Routledge/Taylor Francis 2020

      57 Wimberly, J. D., "An outcome study of integrative couples therapy delivered in a group forma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ntana, 1997)" 58 (58): 6832B-, 1998

      58 D’Aniello, C. D., "A 20-year review of common factors research in marriage and family therapy : A mixed methods content analysis" 46 (46): 701-71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외국어명 : 미등록 -> Family and Family Therap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12 1.2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