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표준 화재 모델에 따른 화재 확대방지 및 피난안전 설계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Fire Spread Protection and Escape Safety Design Technipue according to Standard Fire Mod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fire temperature and fire duration pre-estimation technique development by space for fire spread protection and refuge safety design technique deyelopment for standard fire model and regulation & technique related refuge according to domestic condition and feature of Korean for securing and guiding to the person to safety places in fire spot. So it would construct combustion characteristics DB for unit item and space and develop middle sized test method based computer simulation. It would investigate survey for standard development of occupants' density and set up for domestic refuge simulation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domestlc ana foreign refuge simulation. It would be contributed in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 and fire spread protection technique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fire temperature and fire duration pre-estimation technique development by space for fire spread protection and refuge safety design technique deyelopment for standard fire model and regulation & technique related refu...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fire temperature and fire duration pre-estimation technique development by space for fire spread protection and refuge safety design technique deyelopment for standard fire model and regulation & technique related refuge according to domestic condition and feature of Korean for securing and guiding to the person to safety places in fire spot. So it would construct combustion characteristics DB for unit item and space and develop middle sized test method based computer simulation. It would investigate survey for standard development of occupants' density and set up for domestic refuge simulation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domestlc ana foreign refuge simulation. It would be contributed in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 and fire spread protection technique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표준 화재 모델에 따른 화재확대방지 및 피난 안전 설계 기술 개발을 위하여 화재시 공간별 화재 온도와 화재 지속 시간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인명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화재현장에서 재실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지역까지 유도하기 위한 국내 고유의 사정 및 한국인 특성에 맞는 피난 과련 규정과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위 품목 및 단위 공간에 연소 특성 DB를 구축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검증을 바탕으로 중규모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건축물 재실자 밀도 기준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및 국내외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능적 화재안전 설계와 화재확대방지 기술에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표준 화재 모델에 따른 화재확대방지 및 피난 안전 설계 기술 개발을 위하여 화재시 공간별 화재 온도와 화재 지속 시간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인명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화...

      본 연구에서는 표준 화재 모델에 따른 화재확대방지 및 피난 안전 설계 기술 개발을 위하여 화재시 공간별 화재 온도와 화재 지속 시간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인명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화재현장에서 재실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지역까지 유도하기 위한 국내 고유의 사정 및 한국인 특성에 맞는 피난 과련 규정과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위 품목 및 단위 공간에 연소 특성 DB를 구축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검증을 바탕으로 중규모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건축물 재실자 밀도 기준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및 국내외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능적 화재안전 설계와 화재확대방지 기술에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2.1 최종 연구 목표
      • 2.2 연구내용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2.1 최종 연구 목표
      • 2.2 연구내용
      • 3. 연구수행 방법 및 추진 체계
      • 제2장 공간별 화재 온도 및 지속 시간 예측
      • 1. 단위 공간 모델 선정(주택 모델)
      • 2. 화재실 구성단위품목 DB 구축
      • 3. 화재성상예측 실물화재실험
      • 제3장 공간별 화재 크기 예측
      • 1. 화재확산 예측 기법(수치해석)
      • 1.1 화재 시뮬레이션 지배 방정식
      • 1.2 화재시뮬레이션 검증
      • 1.3 단위가연물별 화재시뮬레이션
      • 1.4 단위공간별 화재 시뮬레이션
      • 2. 가연물의 연소패턴과 위험성 분석
      • 3. 표준 중규모 화재시험평가법
      • 3.1 룸코너 시험기(Room Corner Tester)
      • 3.2 표준 중규모 화재시험평가법
      • 4. 연소 확대방지를 위한 법규 개정
      • 4.1 건축물 내부마감재료 중 바닥재료의 난연성능 기준 제시
      • 4.2 건축물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관통부 충전 시스템 KS 규격 신규 제정
      • 제4장 건축물 피난관련 이론적 고찰
      • 1. 건축물 피난 안전성 이론 고찰
      • 1.1 피난시간의 영향요소
      • 2. 건축물 피난성능 제고 방향 설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 조사
      • 2.1 전문가 설문 개요
      • 2.2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
      • 2.3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건축물 피난 안전성 제고방향 설정
      • 제5장 건축물 재실자 밀도 기준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 1. 재실자 밀도 개념 개요 및 설정방법
      • 1.1 재실자 밀도 계수의 정의
      • 1.2 국내외 재실자밀도 설정방법의 고찰
      • 1.3 국내외 재실자 밀도 조사의 한계성
      • 2. 주요 건축물 용도별 재실자 밀도 설정을 위한 실태조사
      • 2.1 복합건축물
      • 2.2 복합영화관 재실자 밀도 산정
      • 2.3 피난용량산정을 위한 군집형성시 피난 속도 조사
      • 2.4 소결
      • 제6장 국내외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분석
      • 1. 국내 피난관련 동향 분석
      • 1.1 국내 피난관련 연구 동향
      • 1.2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동향
      • 1.3 국외 피난시뮬레이션 이용 동향
      • 2. 국외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분석
      • 2.1 각 국의 피난시뮬레이션 개발 현황
      • 2.2 피난시뮬레이션 구성 항목 비교
      • 2.3 해외 피난시뮬레이션의 개발 동향 종합
      • 3. 주요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비교분석
      • 3.1 분석 대상 선정 및 개요
      • 3.2 피난 인자에 따른 프로그램 비교 분석
      • 3.3 향후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방향 설정
      • 제7장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