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영전>에 나타난 규범과 일탈의 변증법 = The dialectics of norms and departure on <Un Yong 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10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resolve the problem why "Un Yong" and her lover "Kim Jin Sa" were sad at the fall of "An Pyong Tae Kun" even though "An Pyong" was the assailant who suppressed their love.
      First reason, founded, is that "Un Yong" and "An Pyong" had the temperamental homogeneity because both of them had a will to depart from the norms of society and tried to realize the free will. The other is that "Un Yong" and "An Pyong" understanded each other well through the process of revolt against the social norms and got to know that themselves had been in having the same worries and problems on the same condition of life.
      When the result of analysis connected with the plot of <Un Yong Jeon>, one truth that "Un Yong" is the character who showed on behalf of An Pyong's life is revealed. Therefore <Un Yong Jeon> is the novel trying to talk about the life of "An Pyong" through the love story of "Un Yong".
      번역하기

      This paper is written to resolve the problem why "Un Yong" and her lover "Kim Jin Sa" were sad at the fall of "An Pyong Tae Kun" even though "An Pyong" was the assailant who suppressed their love. First reason, founded, is that "Un Yong" and "An Pyong...

      This paper is written to resolve the problem why "Un Yong" and her lover "Kim Jin Sa" were sad at the fall of "An Pyong Tae Kun" even though "An Pyong" was the assailant who suppressed their love.
      First reason, founded, is that "Un Yong" and "An Pyong" had the temperamental homogeneity because both of them had a will to depart from the norms of society and tried to realize the free will. The other is that "Un Yong" and "An Pyong" understanded each other well through the process of revolt against the social norms and got to know that themselves had been in having the same worries and problems on the same condition of life.
      When the result of analysis connected with the plot of <Un Yong Jeon>, one truth that "Un Yong" is the character who showed on behalf of An Pyong's life is revealed. Therefore <Un Yong Jeon> is the novel trying to talk about the life of "An Pyong" through the love story of "Un Yo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운영전>이 왜 운영과 김진사가 자신들의 사랑을 억압했던 안평대군의 몰락을 슬퍼하는 것으로 끝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집필되었다. 찾아낸 결과는 운영과 안평대군이 일탈적 성향을 갖고 자신의 자유의지를 실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기질적으로 동질성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억압과 이에 대한 저항의 관계를 거치면서 서로를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마침내 동일한 삶의 조건에서 동일한 문제와 고민을 갖고 있는 동반자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분석의 결과를 <운영전>의 액자소설의 구성방식과 연결시켜 본 결과, 운영은 안평대군의 삶과 인간 됨됨이를 보여주는 우의적인 인물이었다는 것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운영전>은 운영의 사랑 이야기를 표면으로 내세워 일탈적 성향을 갖고 있던 안평대군이 사회의 규범적 질서와 이념을 넘어서 자신의 자유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행동하다가 마침내 파멸하고 말았던 삶의 과정을 우의적으로 드러내려 한 작품이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운영전>이 왜 운영과 김진사가 자신들의 사랑을 억압했던 안평대군의 몰락을 슬퍼하는 것으로 끝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집필되었다. 찾아낸 결과는 ...

      이 글은 <운영전>이 왜 운영과 김진사가 자신들의 사랑을 억압했던 안평대군의 몰락을 슬퍼하는 것으로 끝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집필되었다. 찾아낸 결과는 운영과 안평대군이 일탈적 성향을 갖고 자신의 자유의지를 실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기질적으로 동질성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억압과 이에 대한 저항의 관계를 거치면서 서로를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마침내 동일한 삶의 조건에서 동일한 문제와 고민을 갖고 있는 동반자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분석의 결과를 <운영전>의 액자소설의 구성방식과 연결시켜 본 결과, 운영은 안평대군의 삶과 인간 됨됨이를 보여주는 우의적인 인물이었다는 것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운영전>은 운영의 사랑 이야기를 표면으로 내세워 일탈적 성향을 갖고 있던 안평대군이 사회의 규범적 질서와 이념을 넘어서 자신의 자유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행동하다가 마침내 파멸하고 말았던 삶의 과정을 우의적으로 드러내려 한 작품이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한국한문소설사의 전개와 전기소설, In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91-95, 1997

      2 박기석,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716-722, 1990

      3 안창수, "하생기우전의 문제 해결 방식과 작가의식"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51-192, 2006

      4 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In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 109-111, 1999

      5 심치열, "운영전의 서사체계와 주제의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89) : 39-42, 1996

      6 신재홍, "운영전의 삼각관계와 숨김의 미학"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11-138, 2004

      7 박일용, "운영전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In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72-173, 1993

      8 신경숙,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9 : 81-, 1990

      9 이상구, "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 한국고소설학회 5 : 150-151, 1998

      10 전성운, "<운영전>의 인물 성향과 비회(悲懷)의 정조" 민족어문학회 (56) : 115-143, 2007

      1 박희병, "한국한문소설사의 전개와 전기소설, In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91-95, 1997

      2 박기석,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716-722, 1990

      3 안창수, "하생기우전의 문제 해결 방식과 작가의식"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51-192, 2006

      4 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In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 109-111, 1999

      5 심치열, "운영전의 서사체계와 주제의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89) : 39-42, 1996

      6 신재홍, "운영전의 삼각관계와 숨김의 미학"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11-138, 2004

      7 박일용, "운영전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In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72-173, 1993

      8 신경숙,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9 : 81-, 1990

      9 이상구, "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 한국고소설학회 5 : 150-151, 1998

      10 전성운, "<운영전>의 인물 성향과 비회(悲懷)의 정조" 민족어문학회 (56) : 115-143, 2007

      11 정희정, "<운영전>의 액자기능과 서술 상황" 한국언어문학회 44 : 264-267, 2000

      12 김익환, "<雲英傳>에 나타난 공간 배경의 의미" 우리말글학회 33 : 103-125,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