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종교환경변화와 대응전략 = Changes in Religious Environment and Response Strategies in the Post-COVID-19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27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which first began in China in December 2019 and spread to the world, ended with various traces of clear contrast before and after COVID-19, although a few years later. In terms of COVID-19 pandemic and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the first thing to look at is the changes in the times brought about by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and its social results.Since the 2000s, globalization has threatened the agend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as protectionism and selfishness have been expressed for the benefit of individual countries due to geopolitical conflicts, inflation, and the resulting deepening economic downtur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the midst of this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based on interdepend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be evaluated as a place of checks and conflicts for selfish national interests, along with the response to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charge of responses to diseases. The so-called "end of the globalization era" has emerged. The need for re-globalization beyond the existing concept of globalization is also mentioned.In today's social situation through COVID-19 pandemic,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eventually lead to encounters with religion and society.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ological interest in religion, which is raising many questions about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of religion. Entering the 2000s,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religion appeared. As in studies on the commercialization of neoliberalism and religious culture,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on religion and globalization in general sociological studies, ranging from the result that 'religious interest increases and economic growth decreases interest in religion during recessions'.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are affected in conjunction with aspects of globalization.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nges in various non-religious environments affecting religion.There is a limit to mentioning the discussion of Buddhism's social practice extensively.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Buddhism can also contribute to solving the suffering that humans have and the suffering or problems they face in reality, if we evoke it through interest in the social function of religion. After all, the most essential limitation of neoliberal globalization is that the logic for satisfying human desires has not deviated from the main logic that explains society and the economy.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find new possibilities and suggest alternatives through Buddhist reflection along with the essential crisis of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번역하기

      The COVID-19 pandemic, which first began in China in December 2019 and spread to the world, ended with various traces of clear contrast before and after COVID-19, although a few years later. In terms of COVID-19 pandemic and changes in the religious e...

      The COVID-19 pandemic, which first began in China in December 2019 and spread to the world, ended with various traces of clear contrast before and after COVID-19, although a few years later. In terms of COVID-19 pandemic and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the first thing to look at is the changes in the times brought about by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and its social results.Since the 2000s, globalization has threatened the agend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as protectionism and selfishness have been expressed for the benefit of individual countries due to geopolitical conflicts, inflation, and the resulting deepening economic downtur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the midst of this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based on interdepend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be evaluated as a place of checks and conflicts for selfish national interests, along with the response to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charge of responses to diseases. The so-called "end of the globalization era" has emerged. The need for re-globalization beyond the existing concept of globalization is also mentioned.In today's social situation through COVID-19 pandemic,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eventually lead to encounters with religion and society.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ological interest in religion, which is raising many questions about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of religion. Entering the 2000s,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religion appeared. As in studies on the commercialization of neoliberalism and religious culture,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on religion and globalization in general sociological studies, ranging from the result that 'religious interest increases and economic growth decreases interest in religion during recessions'.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are affected in conjunction with aspects of globalization.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nges in various non-religious environments affecting religion.There is a limit to mentioning the discussion of Buddhism's social practice extensively.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Buddhism can also contribute to solving the suffering that humans have and the suffering or problems they face in reality, if we evoke it through interest in the social function of religion. After all, the most essential limitation of neoliberal globalization is that the logic for satisfying human desires has not deviated from the main logic that explains society and the economy.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find new possibilities and suggest alternatives through Buddhist reflection along with the essential crisis of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되었던 COVID- 19 pandemic상황은 몇 년이 지나지 않았지만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명확하게 대비되는 다양한 흔적들을 남기며 마무리되었다. COVID-19 pandemic과 종교환경의 변화에 있어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은 정보화와 세계화가 가져온 시대변화와 그 사회적 결과이다.
      세계화는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차원에서의 지정학적인 갈등과 인플레이션, 이로 인한 경제침체의 심화로 인해 개별국가의 이익을 위한 보호무역주의와 이기주의가 표출됨으로써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국제적 협력과 관심의 어젠다는 위협 당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맞이한 COVID-19 pandemic 상황은 질병을 둘러싼 대응을 주관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역할에 대한 대응과 더불어 상호의존적인 국제협력에 기반한 세계화의 시대가 오히려 이기적인 국가이익을 위한 견제와 갈등의 장으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는 계기가 되었고, 이른바 ‘세계화시대의 종말’이라는 논의들까지 등장하였다. 또한 기존의 세계화의 개념을 넘어 재세계화(Re-globalization)의 필요성도 언급된다.
      COVID-19 pandemic을 거친 오늘날의 사회적 상황에서 종교와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결국 종교와 사회와의 만남으로 이어진다. 종교의 사회적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해서 많은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종교사회학적 관심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나타났다. 신자유주의와 종교문화의 상품화현상에 대한 연구들에서처럼 일반적인 종교사회학적 연구에서는 ‘불황기에는 종교적 관심이 늘어나고 경제성장이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감소시킨다’는 결과에 이르기까지 종교와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다. 종교환경의 변화는 세계화의 양상과 맞물리며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가 종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교외적인 환경의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불교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논의를 광범위하게 언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관심을 통해 환기해 본다면, 불교 역시 인간이 가진 고통과 인간이 처한 현실의 고통이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결국 신자유주적인 세계화의 가장 본질적인 한계는 바로 인간 욕망충족을 위한 논리가 사회와 경제를 설명하는 가장 주된 논리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서 현대자본주의 문명의 본질적인 위기와 함께 불교적 성찰을 통한 대안제시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나가야 하는 이유이다.
      번역하기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되었던 COVID- 19 pandemic상황은 몇 년이 지나지 않았지만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명확하게 대비되는 다양한 흔적들을 남기며 마무리되었다. COVID-1...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되었던 COVID- 19 pandemic상황은 몇 년이 지나지 않았지만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명확하게 대비되는 다양한 흔적들을 남기며 마무리되었다. COVID-19 pandemic과 종교환경의 변화에 있어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은 정보화와 세계화가 가져온 시대변화와 그 사회적 결과이다.
      세계화는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차원에서의 지정학적인 갈등과 인플레이션, 이로 인한 경제침체의 심화로 인해 개별국가의 이익을 위한 보호무역주의와 이기주의가 표출됨으로써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국제적 협력과 관심의 어젠다는 위협 당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맞이한 COVID-19 pandemic 상황은 질병을 둘러싼 대응을 주관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역할에 대한 대응과 더불어 상호의존적인 국제협력에 기반한 세계화의 시대가 오히려 이기적인 국가이익을 위한 견제와 갈등의 장으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는 계기가 되었고, 이른바 ‘세계화시대의 종말’이라는 논의들까지 등장하였다. 또한 기존의 세계화의 개념을 넘어 재세계화(Re-globalization)의 필요성도 언급된다.
      COVID-19 pandemic을 거친 오늘날의 사회적 상황에서 종교와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결국 종교와 사회와의 만남으로 이어진다. 종교의 사회적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해서 많은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종교사회학적 관심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나타났다. 신자유주의와 종교문화의 상품화현상에 대한 연구들에서처럼 일반적인 종교사회학적 연구에서는 ‘불황기에는 종교적 관심이 늘어나고 경제성장이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감소시킨다’는 결과에 이르기까지 종교와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다. 종교환경의 변화는 세계화의 양상과 맞물리며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가 종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교외적인 환경의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불교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논의를 광범위하게 언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관심을 통해 환기해 본다면, 불교 역시 인간이 가진 고통과 인간이 처한 현실의 고통이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결국 신자유주적인 세계화의 가장 본질적인 한계는 바로 인간 욕망충족을 위한 논리가 사회와 경제를 설명하는 가장 주된 논리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서 현대자본주의 문명의 본질적인 위기와 함께 불교적 성찰을 통한 대안제시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나가야 하는 이유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진원, "회심의 목회사회학적 이해" 열린출판사 2010

      2 배금란, "현대종교문화 현상으로서의 템플스테이" 29 : 23-44, 2011

      3 김광식, "한국현대불교사연구" 불교시대사 2006

      4 우리사회문화학회, "탈근대세계의 사회학" 정림사 2001

      5 김항섭, "종교와 경제의 관계의 연구사와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한 고찰" 3 : 339-359, 2001

      6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1990

      7 에밀 뒤르케임,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992

      8 홍태영,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출판부 2011

      9 이항우,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인 2011

      10 이종구,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M&B 1998

      1 장진원, "회심의 목회사회학적 이해" 열린출판사 2010

      2 배금란, "현대종교문화 현상으로서의 템플스테이" 29 : 23-44, 2011

      3 김광식, "한국현대불교사연구" 불교시대사 2006

      4 우리사회문화학회, "탈근대세계의 사회학" 정림사 2001

      5 김항섭, "종교와 경제의 관계의 연구사와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한 고찰" 3 : 339-359, 2001

      6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1990

      7 에밀 뒤르케임,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992

      8 홍태영,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출판부 2011

      9 이항우,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인 2011

      10 이종구,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M&B 1998

      11 울리히 벡(U. Beck), "위험사회" 새물결 1997

      12 전명수, "영성과 힐링의 사회적 의미: 종교사회학적 접근" 원불교사상연구원 (64) : 1-34, 2015

      13 조성렬, "실천불교의 이념과 역사" 행원 61-107, 2002

      14 우혜란, "신자유주의와 종교문화의 상품화" 한국종교문화연구소 13 (13): 91-130, 2008

      15 정대성, "세속사회에서 포스트세속사회로- 헤겔과 하버마스 철학에서 ‘신앙과 지식’의 관계 -" 대한철학회 119 : 323-346, 2011

      16 한국산업사회학회, "세계화란 무엇인가" 1998

      17 오갑환, "사회의 구조와 변동" 박영사 201-221, 1974

      18 Smelser, N. J,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경문사 1981

      19 학술단체협의회,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한울 2008

      20 "불설비유경(佛說譬兪經) 안수정등도岸樹井藤圖"

      21 권경임, "불교사회복지 사상과 실천체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22 페테르 빈터호프 슈푸르크, "바벨탑에 갖힌 세계화" 21세기 북스 2010

      23 전성우, "막스 베버의 유교론 - 비판적 재구성" 경남문화연구원 16 : 9-334, 2003

      24 홍승표, "동양사상과 탈현대의 여가" 220-221, 2006

      25 "華嚴五敎止觀, T45"

      26 성해영, "‘무종교의 종교(Religion of no Religion)’ 개념과 새로운 종교성 : 세속적 신비주의와 심층심리학의 만남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32) : 1-28, 2017

      27 Weber, Max, "The Sociology of Religion" Beacon Press 1-, 1922

      28 Lee. R, "Religion and Leisure in America: A Study in Four Dimensions" Abingdon Press 1963

      29 Simmel, Georg, "A Contribuition to the Sociology of Religion" 359-376, 1905

      30 앤드루 존스, "2세계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동녘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