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중고기의 왕실 계보와 불교 이념 = 『석가보』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02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 중고기 진평왕은 석가모니의 혈통을 차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진평왕대 석가모니의 혈연적 관념을 참고했을 불전으로 양나라 승우가 저술한 『석가보』에 주목하였다. 『석가보』는 석가모니의 시조와 생애를 기록한 책으로 다양한 경전들에서 관련 내용들을 발췌하여 서술하였다. 『석가보』는 중국 최초의 불전으로 석가모니의 생애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그 사료적 가치도 적지 않다. 『석가보』는 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찬술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에는 진흥왕대에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진평왕대 『석가보』를 바탕으로 찰제리 관념을 강하게 표방하면서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할 수 있었던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가보』에 나타난 석가모니의 혈연은 전륜성왕과 관련이 있다. 한편 신라에서도 중고기 전륜성왕의 정치 이념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진흥왕대는 전륜성왕 이념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면서 왕권을 강화한 시기였다. 이후 진평왕이나 선덕왕대 혈통적인 측면에서는 찰제리관념을 표방하면서도 여전히 전륜성왕 이념을 강조하고 있었는데, 당시 황룡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불교 정책이나 불사는 이와 관련된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전륜성왕 이념은 중고기 왕실의 정치 이념이나 왕실 계보의 혈연적 정당성을 강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신라 중고기 진평왕은 석가모니의 혈통을 차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진평왕대 석가모니의 혈연적 관념을 참고했을 불전으로 양나라 승우가 저술한 『...

      신라 중고기 진평왕은 석가모니의 혈통을 차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진평왕대 석가모니의 혈연적 관념을 참고했을 불전으로 양나라 승우가 저술한 『석가보』에 주목하였다. 『석가보』는 석가모니의 시조와 생애를 기록한 책으로 다양한 경전들에서 관련 내용들을 발췌하여 서술하였다. 『석가보』는 중국 최초의 불전으로 석가모니의 생애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그 사료적 가치도 적지 않다. 『석가보』는 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찬술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에는 진흥왕대에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진평왕대 『석가보』를 바탕으로 찰제리 관념을 강하게 표방하면서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할 수 있었던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가보』에 나타난 석가모니의 혈연은 전륜성왕과 관련이 있다. 한편 신라에서도 중고기 전륜성왕의 정치 이념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진흥왕대는 전륜성왕 이념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면서 왕권을 강화한 시기였다. 이후 진평왕이나 선덕왕대 혈통적인 측면에서는 찰제리관념을 표방하면서도 여전히 전륜성왕 이념을 강조하고 있었는데, 당시 황룡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불교 정책이나 불사는 이와 관련된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전륜성왕 이념은 중고기 왕실의 정치 이념이나 왕실 계보의 혈연적 정당성을 강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Jinpyeong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adopted a lineage from Buddha, based on which he put emphasis on the sacredness of royal authority.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Sakyabo』(『釋迦譜』) written by Seungwu in Liang Dynasty as a Buddhist literature, in which he might have referred to the concept of blood relation with Sakyamuni. 『Sakyabo』 is 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origin and life of Sakyamuni that extracted relevant contents from a variety of scriptures. 『Sakyabo』 is the China’s first Buddhist literature with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s it was based on the life of Sakyamuni as well as an extensive amount of relevant data. 『Sakyabo』 is estimated to have been compiled in around 500AD, and is likely to have been passed down during the King Jinheung’s reign period. After that, 『Sakyabo』, during the King Jinpyeong’s reign, is deemed to have contributing to strongly expressed the thought of Kshatriya while putting emphasis on the sacredness of royal authority.
      The blood ties of Sakyamuni shown in 『Sakyabo』 have to do with Chakravartin. Meanwhile, the political ideology of Chakravarti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as well. King Jinheung was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while aggressively adopting the ideology of Chakravartin. After that, King Jinpyeong or King Seondeok still emphasized the ideology of Chakravartin while claiming to advocate the idea of Kshatriya from the perspective of lineage, which was related to a variety of Buddhism promotion policies or immortality with Hwangnyongsa as its center. All of which indicates the implications of the ideology of Chakravartin in that it played a key role in stressing the political ideology and legitimacy of lineage of royal family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번역하기

      King Jinpyeong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adopted a lineage from Buddha, based on which he put emphasis on the sacredness of royal authority.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Sakyabo』(『釋迦譜』) written by Seungwu in Liang Dynasty ...

      King Jinpyeong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adopted a lineage from Buddha, based on which he put emphasis on the sacredness of royal authority.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Sakyabo』(『釋迦譜』) written by Seungwu in Liang Dynasty as a Buddhist literature, in which he might have referred to the concept of blood relation with Sakyamuni. 『Sakyabo』 is 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origin and life of Sakyamuni that extracted relevant contents from a variety of scriptures. 『Sakyabo』 is the China’s first Buddhist literature with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s it was based on the life of Sakyamuni as well as an extensive amount of relevant data. 『Sakyabo』 is estimated to have been compiled in around 500AD, and is likely to have been passed down during the King Jinheung’s reign period. After that, 『Sakyabo』, during the King Jinpyeong’s reign, is deemed to have contributing to strongly expressed the thought of Kshatriya while putting emphasis on the sacredness of royal authority.
      The blood ties of Sakyamuni shown in 『Sakyabo』 have to do with Chakravartin. Meanwhile, the political ideology of Chakravarti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as well. King Jinheung was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while aggressively adopting the ideology of Chakravartin. After that, King Jinpyeong or King Seondeok still emphasized the ideology of Chakravartin while claiming to advocate the idea of Kshatriya from the perspective of lineage, which was related to a variety of Buddhism promotion policies or immortality with Hwangnyongsa as its center. All of which indicates the implications of the ideology of Chakravartin in that it played a key role in stressing the political ideology and legitimacy of lineage of royal family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석가보』의 찬술과 전래
      • III. 중고기 왕실 계보와 불교 이념
      • IV. 맺음말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석가보』의 찬술과 전래
      • III. 중고기 왕실 계보와 불교 이념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현숙, "梁 武帝의 佛敎政策"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 : 125-165, 2009

      2 소현숙, "梁 武帝와 同泰寺" 불교문화연구원 (54) : 153-186, 2010

      3 박광연, "한국테마불교2" 동국대출판부 2014

      4 고현아, "진지왕의 즉위과정과 정책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58) : 5-36, 2015

      5 이자랑, "제정일치적 天降관념의 신라적 변용 ─인도 아쇼까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2 : 351-394, 2012

      6 윤세원, "전륜성왕의 개념형성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17) : 173-202, 2008

      7 정영식, "자장의 불교시책과 그 성격-隋文帝 불교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8) : 307-343, 2012

      8 주경미, "양 무제의 아육왕 전승 구현과 고대 동남아시아" 인문학연구원 (67) : 3-47, 2012

      9 김복순, "신라의 백고좌법회" 신라문화연구소 (36) : 81-112, 2010

      10 고현아, "신라 진흥왕계 왕실의 구축과 정치 이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6

      1 소현숙, "梁 武帝의 佛敎政策"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 : 125-165, 2009

      2 소현숙, "梁 武帝와 同泰寺" 불교문화연구원 (54) : 153-186, 2010

      3 박광연, "한국테마불교2" 동국대출판부 2014

      4 고현아, "진지왕의 즉위과정과 정책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58) : 5-36, 2015

      5 이자랑, "제정일치적 天降관념의 신라적 변용 ─인도 아쇼까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2 : 351-394, 2012

      6 윤세원, "전륜성왕의 개념형성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17) : 173-202, 2008

      7 정영식, "자장의 불교시책과 그 성격-隋文帝 불교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8) : 307-343, 2012

      8 주경미, "양 무제의 아육왕 전승 구현과 고대 동남아시아" 인문학연구원 (67) : 3-47, 2012

      9 김복순, "신라의 백고좌법회" 신라문화연구소 (36) : 81-112, 2010

      10 고현아, "신라 진흥왕계 왕실의 구축과 정치 이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6

      11 李晶淑,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 혜안 2012

      12 金哲埈, "신라 상대사회의 Dual Organization(下)" 2 : 1952

      13 임경미, "도선율사와 율종계보에 대한 논의" 한국정토학회 (13) : 201-225, 2010

      14 梁正錫, "黃龍寺의 造營과 王權" 서경문화사 2004

      15 "高僧傳"

      16 李基白, "韓國史新論" 一潮閣 1976

      17 高翊晋, "韓國古代 佛敎思想史" 동국대 출판부 1989

      18 "阿育王經"

      19 송성수, "釋迦譜 外" 동국대역경원 2013

      20 "釋迦譜"

      21 "釋迦氏譜"

      22 "續高僧傳"

      23 "經律異相"

      24 李晶淑, "眞平王代의 王權强化와 帝釋信仰" 16 : 1999

      25 "月印釋譜"

      26 金德原, "新羅中古政治史硏究" 혜안 2007

      27 申東河, "新羅 骨品制의 形成過程" 5 : 1979

      28 金英泰, "新羅 眞興大王의 信佛과 그 思想硏究"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67

      29 金杜珍, "新羅 眞平王代의 釋迦佛信仰" 10 : 1988

      30 李基白, "新羅 初期 佛敎와 貴族勢力" 40 : 1975

      31 Pankaj Mohan, "新羅 ‘中古’期의 轉輪聖王 理念 : 印度 Asoka王과 新羅 眞興王의 政治理念의 비교" 서울대 1994

      32 南東信, "慈藏의 佛敎思想과 佛敎治國策" 76 : 1992

      33 "宋高僧傳"

      34 염중섭, "善德王의 轉輪聖王적인 측면 고찰" 한국사학회 (93) : 1-48, 2009

      35 章義和, "僧祐大師傳" 佛光文化事業有限公司 1997

      36 鎌田茂雄, "中國佛敎史" 장승 1992

      37 "三國遺事"

      38 鄭璟喜, "三國時代 事會와 佛經의 硏究" 63 : 1988

      39 "三國史記"

      40 안순형, "『十誦律』의 傳來와 江南에서 繁榮" 중국사학회 (85) : 1-36, 2013

      41 김기종, "「釋譜詳節」의 저경과 저경 수용 양상" 한국서지학회 (30) : 151-182, 2005

      42 박미선, "「慈藏定律」조로 본 慈藏의 생애와 ‘定律’의 의미" 33 : 2012

      43 Pankaj Mohan, "6세기 신라에서의 아소카상징(Asokan Symbolism)의 수용과 그 의의" 한국사상사학회 (23) : 195-222, 2004

      44 윤세원, "4〜5세기 동아시아의 사상적 동향과 정치사상으로서의 전륜성왕- 삼국 불교공인의 정치사상적 이해를 위한 예비적 시론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1 (11): 47-6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