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용서, 화해 그리고 생명 = Forgiveness, Reconciliation and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ith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and how they impact three different statuses of relationships: maintained, expanded and halted. I argue that these statuses are dependent on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of certain events, as the breakdown of the relationship directly leads to the collapse of the relational vitality (“vitality”). The implications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n the relational context can
      be broken down into three. Firstly, reconciliation can not be achieved without forgiveness. In this cas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ies is halted, vitality is coming to an end. Secondly, although forgiveness has been granted, relationships can not be necessarily restored unless reconciliation is accompanied. As a result, no vitality can be created between the parties in this case either. Thirdly and finally, if forgiveness is followed by reconciliation,
      relationships can be restored, and new vitality can bloom indefinitely. There are clear boundaries between what we can and cannot forgive, as well as what we must not forgive.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the rationales and consequences of forgiveness and inadmissibility, and take a close look at a few examples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as to what the criteria are and what rights we are entitled to. As a result,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tru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are strongly dependent on self-liberation and self-salvation of human beings, all of which becomes possible when there is acknowledgement.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ith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and how they impact three different statuses of relationships: maintained, expanded and halted. I argue that these statuses are dependent on forgiveness and recon...

      This article examine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ith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and how they impact three different statuses of relationships: maintained, expanded and halted. I argue that these statuses are dependent on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of certain events, as the breakdown of the relationship directly leads to the collapse of the relational vitality (“vitality”). The implications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n the relational context can
      be broken down into three. Firstly, reconciliation can not be achieved without forgiveness. In this cas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ies is halted, vitality is coming to an end. Secondly, although forgiveness has been granted, relationships can not be necessarily restored unless reconciliation is accompanied. As a result, no vitality can be created between the parties in this case either. Thirdly and finally, if forgiveness is followed by reconciliation,
      relationships can be restored, and new vitality can bloom indefinitely. There are clear boundaries between what we can and cannot forgive, as well as what we must not forgive.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the rationales and consequences of forgiveness and inadmissibility, and take a close look at a few examples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as to what the criteria are and what rights we are entitled to. As a result,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tru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are strongly dependent on self-liberation and self-salvation of human beings, all of which becomes possible when there is acknowled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용서와 화해를 관계성 안에서 살펴본다. 모종의 사건에 대해서 용서와 화해 여부에 따라 관계가 유지·확장되기도 하고 단절되기도 한다. 관계성의 붕괴는 곧장 생명력의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관계적 맥락에서 용서와 화해가 갖는 함의는 크게 세 가지라고 생각한다. 첫째, 용서하지못하면 화해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때 양자 사이의 관계는 단절되고 생명력도 거기서 끝난다. 둘째, 용서는 했지만, 화해로 발전하지 않으면 관계성은 회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사이에서 생명력은 창출될 수 없다. 셋째, 용서가 선행되고 화해로 이행되면 관계성이 회복되고, 새로운 생명력이 무한히 꽃필 수 있다. 그런데 세상
      에는 용서할 수 있는 일과 용서할 수 없는 일이 있고, 용서해서는 안 되는 일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기준은 무엇이며 그런 권리가 우리에게 있는지에 대해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용서와 불용의 근거와 결과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 결과, 다음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우선 진정한 용서와 화해는 인간의 자기 해방, 자기 구원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깨달음이 전제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용서와 화해를 관계성 안에서 살펴본다. 모종의 사건에 대해서 용서와 화해 여부에 따라 관계가 유지·확장되기도 하고 단절되기도 한다. 관계성의 붕괴는 곧장 생명력의 붕괴로 이...

      이 글은 용서와 화해를 관계성 안에서 살펴본다. 모종의 사건에 대해서 용서와 화해 여부에 따라 관계가 유지·확장되기도 하고 단절되기도 한다. 관계성의 붕괴는 곧장 생명력의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관계적 맥락에서 용서와 화해가 갖는 함의는 크게 세 가지라고 생각한다. 첫째, 용서하지못하면 화해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때 양자 사이의 관계는 단절되고 생명력도 거기서 끝난다. 둘째, 용서는 했지만, 화해로 발전하지 않으면 관계성은 회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사이에서 생명력은 창출될 수 없다. 셋째, 용서가 선행되고 화해로 이행되면 관계성이 회복되고, 새로운 생명력이 무한히 꽃필 수 있다. 그런데 세상
      에는 용서할 수 있는 일과 용서할 수 없는 일이 있고, 용서해서는 안 되는 일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기준은 무엇이며 그런 권리가 우리에게 있는지에 대해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용서와 불용의 근거와 결과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 결과, 다음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우선 진정한 용서와 화해는 인간의 자기 해방, 자기 구원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깨달음이 전제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문헌에서의 용서와 화해
      • III. 용서와 선(善)
      • Ⅳ. 용서와 불용(不容)
      • Ⅴ. 용서와 화해
      • I. 들어가며
      • II. 문헌에서의 용서와 화해
      • III. 용서와 선(善)
      • Ⅳ. 용서와 불용(不容)
      • Ⅴ. 용서와 화해
      • Ⅵ. 나가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laton, "플라톤의 국가론" 집문당 1989

      2 풍우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95

      3 신창석, "인간이란 누구인가?" 새한철학회 2 (2): 339-358, 2004

      4 이원택, "유교적 공론장으로서의 경연과 유교지식인의 정체성" 태동고전연구소 33 : 109-134, 2014

      5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신약성서" 분도출판사 1991

      6 박혜순,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생명문화연구소 47 : 105-150, 2018

      7 김형효, "사유하는 도덕경" 소나무 2004

      8 사마천, "사기열전" 민음사 2015

      9 김형효, "마음 혁명" 살림 2010

      10 박혜순, "도가적 관점에서 본 물에 관한 생태 철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1 Platon, "플라톤의 국가론" 집문당 1989

      2 풍우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95

      3 신창석, "인간이란 누구인가?" 새한철학회 2 (2): 339-358, 2004

      4 이원택, "유교적 공론장으로서의 경연과 유교지식인의 정체성" 태동고전연구소 33 : 109-134, 2014

      5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신약성서" 분도출판사 1991

      6 박혜순,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생명문화연구소 47 : 105-150, 2018

      7 김형효, "사유하는 도덕경" 소나무 2004

      8 사마천, "사기열전" 민음사 2015

      9 김형효, "마음 혁명" 살림 2010

      10 박혜순, "도가적 관점에서 본 물에 관한 생태 철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11 신영복,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돌베개 2009

      12 "道德經"

      13 "論語"

      14 "莊子"

      15 김필수, "管子" 소나무 2006

      16 "孟子"

      17 "周易"

      18 "中庸"

      19 溝口雄三, "中國思想文化事典" 민족문화문고 2003

      20 박병준, "‘용서’ 개념에 대한 철학상담적 접근 - 치유의 행복학을 위한 영적 실천의 모델 제시 -" 철학연구소 48 : 9-43,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1 1.27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