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laton, "플라톤의 국가론" 집문당 1989
2 풍우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95
3 신창석, "인간이란 누구인가?" 새한철학회 2 (2): 339-358, 2004
4 이원택, "유교적 공론장으로서의 경연과 유교지식인의 정체성" 태동고전연구소 33 : 109-134, 2014
5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신약성서" 분도출판사 1991
6 박혜순,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생명문화연구소 47 : 105-150, 2018
7 김형효, "사유하는 도덕경" 소나무 2004
8 사마천, "사기열전" 민음사 2015
9 김형효, "마음 혁명" 살림 2010
10 박혜순, "도가적 관점에서 본 물에 관한 생태 철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1 Platon, "플라톤의 국가론" 집문당 1989
2 풍우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95
3 신창석, "인간이란 누구인가?" 새한철학회 2 (2): 339-358, 2004
4 이원택, "유교적 공론장으로서의 경연과 유교지식인의 정체성" 태동고전연구소 33 : 109-134, 2014
5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신약성서" 분도출판사 1991
6 박혜순,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생명문화연구소 47 : 105-150, 2018
7 김형효, "사유하는 도덕경" 소나무 2004
8 사마천, "사기열전" 민음사 2015
9 김형효, "마음 혁명" 살림 2010
10 박혜순, "도가적 관점에서 본 물에 관한 생태 철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11 신영복,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돌베개 2009
12 "道德經"
13 "論語"
14 "莊子"
15 김필수, "管子" 소나무 2006
16 "孟子"
17 "周易"
18 "中庸"
19 溝口雄三, "中國思想文化事典" 민족문화문고 2003
20 박병준, "‘용서’ 개념에 대한 철학상담적 접근 - 치유의 행복학을 위한 영적 실천의 모델 제시 -" 철학연구소 48 : 9-43,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