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적 가치와 행복에 대한 상대주의적 해석 = A Relativist Interpretation of the Early Wittgenstein’s View of Ethical Values and Happ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윤리학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상대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윤리적 가치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절대주의로 이해할 경우 윤리적 문장과 윤리학의 무의미성에 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코라 다이아몬드는 바로 이런 관점에서 무의미에 관한 엄격한 이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이는 질병의 원인은 그대로 놔둔 채 질병의 증상만 치료하려는 방법으로 보인다. 비트겐슈타인이 윤리학을 무의미하다고 본 이유는 윤리적 가치의 절대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적 가치에 대한 입장을 상대주의적으로 해석할 경우 윤리학의 유의미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도 좀 더 일관되게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나타난 언어의 절대주의적 사용에 대한 비판, 유아론, 그리고 행복론을 근거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을 상대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윤리학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상대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윤리적 가치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절대주의로 이해할 경우 윤리적 문...

      본 논문에서는 윤리학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상대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윤리적 가치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절대주의로 이해할 경우 윤리적 문장과 윤리학의 무의미성에 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코라 다이아몬드는 바로 이런 관점에서 무의미에 관한 엄격한 이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이는 질병의 원인은 그대로 놔둔 채 질병의 증상만 치료하려는 방법으로 보인다. 비트겐슈타인이 윤리학을 무의미하다고 본 이유는 윤리적 가치의 절대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적 가치에 대한 입장을 상대주의적으로 해석할 경우 윤리학의 유의미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도 좀 더 일관되게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나타난 언어의 절대주의적 사용에 대한 비판, 유아론, 그리고 행복론을 근거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을 상대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going against the main trend, I offer a relativist interpretation of the early Wittgenstein s view of ethical values. If we give an absolutist interpretation, we will have to take Wittgenstein’s claims on ethics at face-value, i. e., the claims that ethical sentences are nonsensical, and there is no subject called ‘ethics’. Cora Diamond, best known for her new, resolute reading of Wittgenstein’s Tractatus, adopts this line of approach. According to Diamond, the early Wittgenstein literally wants readers to take ethical sentences as a collection of nonsense. In my view, however, her approach is wrongheaded, because she fails to give due attention to the real cause of the nonsensicality of ethical sentences. According to Wittgenstein s diagnosis, it is the absolutist view of ethical value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nonsensicality of ethical sentences. This, I argue, leaves us room for interpreting the early Wittgenstein’s view of ethics from a relativist perspective. I also try to defend a relativist interpretation drawing on Wittgenstein’s views of solipsism and happiness.
      번역하기

      In this paper, going against the main trend, I offer a relativist interpretation of the early Wittgenstein s view of ethical values. If we give an absolutist interpretation, we will have to take Wittgenstein’s claims on ethics at face-value, i. e., ...

      In this paper, going against the main trend, I offer a relativist interpretation of the early Wittgenstein s view of ethical values. If we give an absolutist interpretation, we will have to take Wittgenstein’s claims on ethics at face-value, i. e., the claims that ethical sentences are nonsensical, and there is no subject called ‘ethics’. Cora Diamond, best known for her new, resolute reading of Wittgenstein’s Tractatus, adopts this line of approach. According to Diamond, the early Wittgenstein literally wants readers to take ethical sentences as a collection of nonsense. In my view, however, her approach is wrongheaded, because she fails to give due attention to the real cause of the nonsensicality of ethical sentences. According to Wittgenstein s diagnosis, it is the absolutist view of ethical value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nonsensicality of ethical sentences. This, I argue, leaves us room for interpreting the early Wittgenstein’s view of ethics from a relativist perspective. I also try to defend a relativist interpretation drawing on Wittgenstein’s views of solipsism and happi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기
      • II. 다이아몬드의 해석
      • III. 귀류법적 해석
      • IV. 언어의 절대주의적 사용과 상대주의적 사용
      • V. 의지와 유아론
      • I. 들어가기
      • II. 다이아몬드의 해석
      • III. 귀류법적 해석
      • IV. 언어의 절대주의적 사용과 상대주의적 사용
      • V. 의지와 유아론
      • VI. 행복한 사람의 세계, 행복하지 않은 사람의 세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건, "선험적 심리학과 선험적 언어학" 철학연구소 14 : 5-42, 2007

      2 김영건, "비트겐슈타인과 선험적 관념론" 철학연구소 31 : 119-153, 2012

      3 Wittgenstein, L., "논리 철학 논고" 책세상 2006

      4 강진호, "『논리철학 논고』의 ‘중대한 오류들’" 한국분석철학회 (15) : 127-158, 2007

      5 변영진, "『논리-철학 논고』의 무의미성: 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해석의 종합" 철학사상연구소 (51) : 201-225, 2014

      6 김이균, "『논리-철학 논고』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윤리학과 미학" 범한철학회 72 (72): 277-302, 2014

      7 Stokhof, M., "World and Life as One: Ethics and Ontology in Wittgenstein's Early Thought" 2002

      8 Wittgenstein, L., "Wittgenstein, Sources and Perspectives" 1979

      9 Coliva, A., "Was Wittgenstein an Epistemic Relativist?" 33 (33): 1-23, 2010

      10 Wittgenstein, L.,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TLP)" 2001

      1 김영건, "선험적 심리학과 선험적 언어학" 철학연구소 14 : 5-42, 2007

      2 김영건, "비트겐슈타인과 선험적 관념론" 철학연구소 31 : 119-153, 2012

      3 Wittgenstein, L., "논리 철학 논고" 책세상 2006

      4 강진호, "『논리철학 논고』의 ‘중대한 오류들’" 한국분석철학회 (15) : 127-158, 2007

      5 변영진, "『논리-철학 논고』의 무의미성: 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해석의 종합" 철학사상연구소 (51) : 201-225, 2014

      6 김이균, "『논리-철학 논고』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윤리학과 미학" 범한철학회 72 (72): 277-302, 2014

      7 Stokhof, M., "World and Life as One: Ethics and Ontology in Wittgenstein's Early Thought" 2002

      8 Wittgenstein, L., "Wittgenstein, Sources and Perspectives" 1979

      9 Coliva, A., "Was Wittgenstein an Epistemic Relativist?" 33 (33): 1-23, 2010

      10 Wittgenstein, L.,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TLP)" 2001

      11 Diamond, C., "Throwing Away the Ladder: How to Read the Tractatus" 63 : 5-27, 1988

      12 Stokhof, M., "The Quest for Purity" 11 (11): 275-294, 2011

      13 Diamond, C., "The New Wittgenstein" 149-173, 2000

      14 Crary, A., "The New Wittgenstein" 2000

      15 Carruthers, P., "The Metaphysics of Tractatus" 1990

      16 Wittgenstein, L., "Notebooks 1914-1916" 1961

      17 Wittgenstein, L., "I: A Lecture on Ethics" 74 (74): 3-12, 1965

      18 Anscombe, G. E. M., "An Introduction to Wittgenstein’s Tractatus" 1971

      19 Black, M., "A Companion to Wittgentein’s Tractatus"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1 1.27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