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滄溟 南翧의 술 擬人化 假傳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7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은 새로 소개하는 술을 의인화한 가전 작품이다. 조선 중기의 문인이었던 창명 南?이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인 ??滄溟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남선은 일찍이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으며 소북 팔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名聲이 자자했다. 본고에서는 南?이 지은 술 의인화 가전을 텍스트로 삼아 構成的 특징과 작가의식, 문학사적 의미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는 전표의 형식을 취하면서 사륙변려문체로 지어졌다. 그러므로 기존의 가전 작품들과 비교해 보면 문제체의 특징으로 인해 표현과 내용 전개 등에서 차이점이 발견되는데, 구성적인 면에서는 후손부분을 제외하고 전통적인 가전의 구성 요소를 잘 간직하고 있었다. 그리고 내용에 표출된 작가의식을 통해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충신의 모습을 具現하고자 했음도 看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문학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운문체로 기술되어 있지만 산문체인 가전의 구성 방식을 잘 受容하고 있으며, 술로 근심을 잊게 할 수 있다는 의식을 계승하면서 心性 假傳에 주로 등장하는 愁城이라는 소재를 패러디하고 있다. 그리고 유교주의에서 표방하는 이상적인 신하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은 17세기 술 의인화 가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한 특별한 작품이라고 하겠다.
      번역하기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은 새로 소개하는 술을 의인화한 가전 작품이다. 조선 중기의 문인이었던 창명 南?이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인 ??滄溟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남선...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은 새로 소개하는 술을 의인화한 가전 작품이다. 조선 중기의 문인이었던 창명 南?이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인 ??滄溟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남선은 일찍이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으며 소북 팔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名聲이 자자했다. 본고에서는 南?이 지은 술 의인화 가전을 텍스트로 삼아 構成的 특징과 작가의식, 문학사적 의미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는 전표의 형식을 취하면서 사륙변려문체로 지어졌다. 그러므로 기존의 가전 작품들과 비교해 보면 문제체의 특징으로 인해 표현과 내용 전개 등에서 차이점이 발견되는데, 구성적인 면에서는 후손부분을 제외하고 전통적인 가전의 구성 요소를 잘 간직하고 있었다. 그리고 내용에 표출된 작가의식을 통해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충신의 모습을 具現하고자 했음도 看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문학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운문체로 기술되어 있지만 산문체인 가전의 구성 방식을 잘 受容하고 있으며, 술로 근심을 잊게 할 수 있다는 의식을 계승하면서 心性 假傳에 주로 등장하는 愁城이라는 소재를 패러디하고 있다. 그리고 유교주의에서 표방하는 이상적인 신하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은 17세기 술 의인화 가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한 특별한 작품이라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ongju Jongsa(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 is a Gajeon recorded in a literary collection, 『Changmyoung Yougo 滄溟遺稿』, by Changmyoung Namseon in the mid Joseon Dynasty. Cheongju Jongsa in which Changmyoung personified a booze is first introduc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d a descriptiv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value of Cheongju Jongsa as a Gajeon literature, based on the text by Changmyoung Namseon, a Gyeongsang provincial governor with fame as one of eight distinguished writers in the Sobook Party. Cheongju Jongsa took the form of Jeonpyo(箋表), written in ‘a verse form of antithesis in four-and-six words’ (사륙변려체). Compared to other Gajeon literatures composed of essays,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matter of its point of view, substance and structure. Considering those characteristics, except the part of Post-clue it is generally appropriate to the structure of Gajeon literature, Beginning (서두)- Pre-clue (선계)- Vestige (사적)- Ending (종말)-Post-clue (후손)- Concluding (평결). It sustained a structure of booze-personifying Gajeon literature, also trying a new descriptive technique using verses. It also succeeded to a traditional idea of Gajeon Literature that a booze can make people forget worldly anxiety, and it parodied a subject matter of Sooseong (the world of anxiety) which was often appeared in Symseong Gajeon. It described a typical type of an ideal faithful retainer emphasized in a Confucian culture In these senses, Cheongju Jongsa is a characteristic work in 17th century which sought for a new paradigm in booze-personifying Gajeon literature.
      번역하기

      Cheongju Jongsa(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 is a Gajeon recorded in a literary collection, 『Changmyoung Yougo 滄溟遺稿』, by Changmyoung Namseon in the mid Joseon Dynasty. Cheongju Jongsa in which Changmyoung personified...

      Cheongju Jongsa(靑州從事麴生 謝拜歡伯將軍 以攻愁城) is a Gajeon recorded in a literary collection, 『Changmyoung Yougo 滄溟遺稿』, by Changmyoung Namseon in the mid Joseon Dynasty. Cheongju Jongsa in which Changmyoung personified a booze is first introduc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d a descriptiv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value of Cheongju Jongsa as a Gajeon literature, based on the text by Changmyoung Namseon, a Gyeongsang provincial governor with fame as one of eight distinguished writers in the Sobook Party. Cheongju Jongsa took the form of Jeonpyo(箋表), written in ‘a verse form of antithesis in four-and-six words’ (사륙변려체). Compared to other Gajeon literatures composed of essays,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matter of its point of view, substance and structure. Considering those characteristics, except the part of Post-clue it is generally appropriate to the structure of Gajeon literature, Beginning (서두)- Pre-clue (선계)- Vestige (사적)- Ending (종말)-Post-clue (후손)- Concluding (평결). It sustained a structure of booze-personifying Gajeon literature, also trying a new descriptive technique using verses. It also succeeded to a traditional idea of Gajeon Literature that a booze can make people forget worldly anxiety, and it parodied a subject matter of Sooseong (the world of anxiety) which was often appeared in Symseong Gajeon. It described a typical type of an ideal faithful retainer emphasized in a Confucian culture In these senses, Cheongju Jongsa is a characteristic work in 17th century which sought for a new paradigm in booze-personifying Gajeon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作家의 生涯와 著述活動
      • Ⅲ. 作品의 構成과 作家意識
      • Ⅳ. 문학사적 의미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作家의 生涯와 著述活動
      • Ⅲ. 作品의 構成과 作家意識
      • Ⅳ. 문학사적 의미
      • Ⅴ.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