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왕릉건축을 통해 본 박자청(朴子靑)의 김사행(金師幸)건축 계승 = A Study on the Line of Succession to the Kim Sa-haeong of Park Ja-cheong through the Royal Tom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0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wo architectures 'Kim Sa-haeng' and 'Park Ja-cheong.' They were the architects whose architecture were established and well known however they were not acknowledged by the people. Because they were not re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wo architectures 'Kim Sa-haeng' and 'Park Ja-cheong.' They were the architects whose architecture were established and well known however they were not acknowledged by the people. Because they were not revealed under the large-scale national construction in complicated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im Sa-haeng who was an overseas architect in Yuan dynasty stood out in all areas of architecture. Particularly in making royal tombs; His works were recognized as the most beautiful royal tombs ever existed and was later on followed by the Joseon dynasty. Second, Park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Joseon's by faithfully reflecting on the discussed process of Neo-Confucian while coming after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Kim Sa-haeng. Third, although Kim Sa-haeng was a vassal of the Buddhist nation in Goryeo, he built the Moon-myo, a Confucian inspired temple of Joseon. Park Ja-cheong, who continued to build Kim Sa-haeng's architecture, reproduced Kim Sa-haeng's confucian's temple of Joseon dynasty while modifying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s of the two architects' monuments continues unabatedly. Their architecture has continued without massive chang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31-65, 2008

      2 문화재관리국, "헌릉(원경왕후릉)해체실측보고" 1989

      3 문화재청 정릉관리소, "포토에세이 정릉" 2008

      4 양관, "중국 역대 능침제도" 서경 2005

      5 "조선왕조실록"

      6 은광준, "조선왕조 석물복식" 민속원 2010

      7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1" 2009

      8 정해득, "조선왕릉제도연구" 신구문화사 2013

      9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2016

      10 김문규, "조선왕릉 장명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31-65, 2008

      2 문화재관리국, "헌릉(원경왕후릉)해체실측보고" 1989

      3 문화재청 정릉관리소, "포토에세이 정릉" 2008

      4 양관, "중국 역대 능침제도" 서경 2005

      5 "조선왕조실록"

      6 은광준, "조선왕조 석물복식" 민속원 2010

      7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1" 2009

      8 정해득, "조선왕릉제도연구" 신구문화사 2013

      9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2016

      10 김문규, "조선왕릉 장명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1 장경희, "조선 태조비 神懿王后 齊陵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63 (263): 5-38, 2009

      12 황정연, "조선 태조비 神德王后 貞陵의 조성과 封陵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46) : 241-266, 2016

      13 김버들, "조선 초기 修禪本寺 興天寺 사리각 영건에 관한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24 (24): 61-70, 2015

      14 김상협, "조선 왕릉 석실 및 능상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15 김민규, "조선 18세기 조각가 최천약(崔天若)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46 (46): 124-139, 2013

      16 안대회, "영조시대 기술자 최천약" (37) : 2006

      17 한성백제박물관, "영국사와 도봉서원" 2018

      18 권근, "양촌집"

      19 "승정원일기"

      20 김이순, "세종실록의 후릉(厚陵) 산릉제도 기록에 대한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92-116, 2013

      21 도윤수, "서울문묘 명칭 및 영역변화 고찰" 2009

      22 조위(曺偉), "매계집(梅溪集)"

      23 국립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의 능" 2017

      24 전나나,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조선시대사학회 (69) : 325-350, 2014

      25 서울특별시, "광통교 복원설계보고서" 2004

      26 장경희, "고려왕릉" 예맥 2013

      27 도요시마 유카, "고려시대의 문묘" 한국사상사학회 (40) : 411-452, 2012

      28 "고려사, 고려사절요"

      29 김버들, "고려 말 조선 초 건축가 金師幸 조명" 대한건축학회 30 (30): 125-134, 2014

      30 문화재관리국, "건원릉병풍석해체보수공사보고서" 1998

      31 임영애, "개성 공민왕릉 석인상 연구" 17 : 2001

      32 국립문화재연구소, "가 보고 싶은 왕릉과 그 기록-풀어 쓴 후릉수개도감의궤"

      33 김버들, "朴子靑의 궁궐건축 감역 연구 -창덕궁 및 이궁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26 (26): 93-104, 2017

      34 변계량, "春亭集"

      35 이규상, "崔天若傳, 一夢稿"

      36 서거정, "四佳文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