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요자 중심의 대학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Activating Strategies of Demand-Oriented extra curriculum related to the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1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대학에서 ‘글쓰기’ 교과를 교양필수로 지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 교과만으로는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높이기는 어렵다. 따라서 ‘글쓰기’ 교과와 같...

      최근 대학에서 ‘글쓰기’ 교과를 교양필수로 지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 교과만으로는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높이기는 어렵다. 따라서 ‘글쓰기’ 교과와 같은 정규 교과뿐만 아니라 정규 교과 과정을 보완할 수 있는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호남 지역 3개 대학의 898명 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육 및 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응답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지만, 소속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에 대한 지원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 스스로도 글쓰기 학습에 대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 않았다. 특히 학생들은 자신이 쓴 글에 대해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고 인식하고 피드백을 받고 싶어하지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대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글쓰기’ 교과와 연계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쓰기’ 교과의 강의 범위와 수준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과의 연장선상에서 학생들에게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글쓰기’ 담당 강사들의 인력풀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피드백 중심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 강의 위주가 아닌 실습과 피드백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쓴 글에 대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각 대학에서 ‘글쓰기’ 교과가 교양필수화가 되고 있는 현상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글쓰기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정규 교과 과정뿐만 아니라 비정규 교육 과정에서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사례 및 관련 교수법 등에 관한 연구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are designating Composition as a compulsory subject. Nonetheless, it is hard to expect the subject of Composition to enhance students’ writing abilities alone. As a result, many extra curriculum programs connected ...

      Rec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are designating Composition as a compulsory subject. Nonetheless, it is hard to expect the subject of Composition to enhance students’ writing abilities alone. As a result, many extra curriculum programs connected with Composition should be design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regular curriculums which address i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epare a database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extra curricular programs related to Composition. This paper researched the recognition given to students regarding writing education and study involved 898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ree universities in Kwangju and Jeonnam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udents have generally felt the necessity for education regarding writing skills at university. However, they have recognized the lack of financial and educational support for writing education. Moreover, there were few students who spent much time on writing. Although most student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feedback and they have wanted their written work to be edited, they have hardly had the opportunities to do so.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university provide ongoing extra writing programs for the students for improving their’ writing abilities. For the sake of providing effective programs, thre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ly,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Composition” subject. Secondly, the scope and the level of the subjects’ major should be reflected. Lastly, many opportunities for feedback should be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Hands-on projects and feedback-centered programs should be offered, so that students should can receive a great deal of feedback.
      The change of “Composition” into a compulsory subject is a desirable situation. However,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extra and regular curriculums should be developed for furthering students' writing education. Furthermore, examples of concrete development of the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extra curriculum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should be continuously explo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부생 연구논문 작성법 워크숍"

      2 김경원, "창조적 사고 개성적 글쓰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3 김현정, "전남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4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7 연차보고서"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8

      5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인문학과 글쓰기"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6 서인석, "인문계열 직업세계와 맞춤형 글쓰기"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7 서강대학교 교양국어 교재편찬위원회, "인문·사회계열 움직이는 글쓰기" 서강대학교출판부 2006

      8 "우수 리포트 공모전"

      9 이인영, "연세대학교 교육개발지원센터 글쓰기교실 현황 및 발전 방향"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10 정병기, "서울대학교 글쓰기교실의 현황과 과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1 "학부생 연구논문 작성법 워크숍"

      2 김경원, "창조적 사고 개성적 글쓰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3 김현정, "전남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4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7 연차보고서"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8

      5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인문학과 글쓰기"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6 서인석, "인문계열 직업세계와 맞춤형 글쓰기"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7 서강대학교 교양국어 교재편찬위원회, "인문·사회계열 움직이는 글쓰기" 서강대학교출판부 2006

      8 "우수 리포트 공모전"

      9 이인영, "연세대학교 교육개발지원센터 글쓰기교실 현황 및 발전 방향"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10 정병기, "서울대학교 글쓰기교실의 현황과 과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11 "보고서 작성법 집중 강좌"

      12 "리포트 작성법 워크숍"

      13 심보경, "대학생의 글쓰기 실태조사와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39) : 31-50, 2006

      14 김신정,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글쓰기 센터(Writing Center)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4) : 117-144, 2007

      15 정희모 외, "대학 글쓰기" 삼인 2008

      16 염민호, "대학 교수학습센터의 이해와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회 46 (46): 219-248, 2008

      17 이명실, "대학 '읽기-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 요구도 조사" 한국독서학회 (19) : 279-306, 2008

      18 염민호, "논술중심 전공 교과' 시범운영의 평가 : 전남대학교 사례"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51-278, 2008

      19 김종회,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인문계열 글쓰기" 경희대학교출판부 2004

      20 김현정,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10

      21 윤금희, "글쓰기 교실의 역할과 전망 - 경북대학교 글쓰기도움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09

      22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글쓰기" 학이당 2007

      23 "공지사항: 5월 특강 ‘유형별 리포트 작성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