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회마을 택지(宅地)선정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11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치지형모델으로 구축된 공간속성데이터를 이용하여 하회마을 택지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마을공간구조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하회마을의 공간구조를 규명하기 위...

      본 연구는 수치지형모델으로 구축된 공간속성데이터를 이용하여 하회마을 택지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마을공간구조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하회마을의 공간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건축대지를 길경계와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하회마을과 같이 사계절 일사량이 확보되는 지형에서 표고와 경사도가 대지선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하회마을은 사계절 일사량의 영향과 홍수피해로부터 안전한 최소높이의 표고에 따라 마을이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re is a purpose of using the GIS DB built in DEM, by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ite Hahoe village, to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vill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argeted spatial structure ...

      In this study, there is a purpose of using the GIS DB built in DEM, by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ite Hahoe village, to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vill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argeted spatial structure of Hahoe Village, the building site was analyzed separately by type and boundary of the road. Through analysis it is clear the selection of building site relates to the elevation and slope that acquires the most solar radiation in Hahoe Village. We assume that the building site in hahoe village was formed by considering the slope and elevation to minimize flood damage and solar radiation of the four seas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2. 이론적 고찰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2. 이론적 고찰
      • 2.1 안동 하회마을의 입지
      • 2.2 안동 하회마을의 풍수
      • 3. 하회마을의 분석
      • 3.1 하회마을 건축대지의 자연적 입지 분석
      • 3.2 하회마을의 길 경계에 따른 영역별 건축대지 분포
      • 4. 하회마을 건축유형별 건축대지 특성
      • 4.1 하회마을 건축유형별 건축대지 분포 특성
      • 4.2 하회마을 길 경계에 따른 건축유형별 건축대지분포특성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학섭, "홍수와 근대 토목 치수사업으로 인한 취락의 경관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43-252, 2010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박의준, "한국 전통 취락입지의 지리학적 고찰" 29 : 286-326, 2000

      4 안동시, "하회마을 종합정비계획조사보고서" 1995

      5 조인철, "풍수향법의 논리체계와 의미에 관한 연구 : 건축계획론의 관점에서" 성균관대학교 2006

      6 현중영, "풍수지리의 시각적 구조의 과학적 분석과 해석" 25 : 124-134, 1997

      7 권선정, "취락입지에 대한 풍수적 해석" 18 : 1-20, 1991

      8 현중영, "조선시대 전통주택 풍수의 좌향" 16 (16): 55-63, 1997

      9 신상섭, "전통마을의 자리잡기와 옛 문헌에서 본 삶터의이상향" (297) : 128-137, 2006

      10 안동시,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 2010

      1 이학섭, "홍수와 근대 토목 치수사업으로 인한 취락의 경관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43-252, 2010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박의준, "한국 전통 취락입지의 지리학적 고찰" 29 : 286-326, 2000

      4 안동시, "하회마을 종합정비계획조사보고서" 1995

      5 조인철, "풍수향법의 논리체계와 의미에 관한 연구 : 건축계획론의 관점에서" 성균관대학교 2006

      6 현중영, "풍수지리의 시각적 구조의 과학적 분석과 해석" 25 : 124-134, 1997

      7 권선정, "취락입지에 대한 풍수적 해석" 18 : 1-20, 1991

      8 현중영, "조선시대 전통주택 풍수의 좌향" 16 (16): 55-63, 1997

      9 신상섭, "전통마을의 자리잡기와 옛 문헌에서 본 삶터의이상향" (297) : 128-137, 2006

      10 안동시,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 2010

      11 안동시, "안동 하회마을 보존관리 종합정비계획" 2013

      12 김준우, "GWR을 활용한 NDVI와 지형·태양광도의 상관성 평가 : 금강산 지역을 사례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1 (21): 73-8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