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각장애인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을 파악하고, 여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여 안정적인 고용상태를 위한 직업재활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농인 113명, 난청인 54...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을 파악하고, 여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여 안정적인 고용상태를 위한 직업재활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농인 113명, 난청인 54명, 청인 115명을 대상으로,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관련된 7가지 요인을 26문항의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기술통계값, ANOVA, 회귀분석 등을 통해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고용의 질은 청인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농인, 난청인 순으로 나타났고, 농인은 승진가능성, 승진공평성, 참여와 발언, 직장 내 의사소통에서 고용의 질이 낮고, 난청인은 승진가능성, 승진공평성, 노동강도, 임금만족수준, 작업과정 주도성, 참여와 발언, 상사와의 친밀, 직장 내 의사소통, 장애로 인한 차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인보다 낮은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 향상을 위해 학력신장, 직종의 다양화, 임금 향상, 노동시장 접근 방법 다각화, 근무환경개선, 직장 내 청각장애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stable and successful employment amo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 of the 113 deaf, 54 persons wit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stable and successful employment amo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 of the 113 deaf, 54 persons with hard-of-hearing(the HoH) and 115 ordinary person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5 item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5 items about the properties of handicaps and 24 items about objective quality of employment designed for the 7 main factors and 26 sub-factors with a Likert scale. To analyze this data,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deaf and the HoH showd lower quality of employment in many aspects than other research participants groups. Second, the deaf group had the lower quality of employment in the areas of the promotion opportunities, equity in promotion, participating roles and statement of their opinions, communications in the work place, while the HoH in items such as promotion opportunities, equity in promotion, working intensity, level of satisfaction for wages, initiative in the working process, participating roles and statement of their opinions, intimacy with bosses, communication in the work place,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occupation areas, improved wages,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the diversification of approaches to labor marke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상, "취업한 청각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1 (21): 97-119, 2017

      2 장창엽,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촉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4

      3 이형열, "청각장애인의 잦은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7 (17): 141-164, 2007

      4 최현숙, "청각장애인의 고용관리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1996

      5 이정랑, "청각장애인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이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충남지역 고용가능 사업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2 (32): 87-114, 2016

      1 이준상, "취업한 청각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1 (21): 97-119, 2017

      2 장창엽,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촉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4

      3 이형열, "청각장애인의 잦은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7 (17): 141-164, 2007

      4 최현숙, "청각장애인의 고용관리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1996

      5 이정랑, "청각장애인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이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충남지역 고용가능 사업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2 (32): 87-11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