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1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와 역량의 의미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인 궁극성의 의미를 심리학적 관점과 종교성의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궁극성의 의미는 인간만이 경험 할 수 있는 최상의 발달 상태로 자아실현적인 지고의 상태를 말한다. 종교성의 관점에서 궁극성은 인간 내면의 영성, 정신성, 종교성을 의미하며, 종교성도 인간의 본성으로 최대한 개발해야 함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 둘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에서 제시하는 역량과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여기서 제시하는 역량은 훌륭한 판단, 자유로워지는 능력, 가치 발견과 정제할 수 있는 능력, 메타학습, 사회적 능력이다. 이러한 역량들은 이론적으로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 아니라 경험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어서 역량의 결과나 성과보다는 학습과정을 중시하고 자기 발견법이나 의미 있는 학습이 되기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학습자와 교사에 대한 기본 가정을 고찰하였다. 학습자는 학습 동기와 학습 과정을 내재적으로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교육은 이러한 내재적 과정이 완전하게 발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는 의미 있는 세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적극적이고 창의적이며 자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주체이다. 교사는 학생, 교수 과정, 교육 관계, 자신의 자아 발달에 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궁극성을 위하여 역량 중심의 경험 중심 학습, 의미 있는 학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 내용과 방법뿐만 아니라 교육의 운영과 체제에서도 변화가 일어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와 역량의 의미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인 궁극성의 의미를 심리학적 관점...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와 역량의 의미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인 궁극성의 의미를 심리학적 관점과 종교성의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궁극성의 의미는 인간만이 경험 할 수 있는 최상의 발달 상태로 자아실현적인 지고의 상태를 말한다. 종교성의 관점에서 궁극성은 인간 내면의 영성, 정신성, 종교성을 의미하며, 종교성도 인간의 본성으로 최대한 개발해야 함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 둘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에서 제시하는 역량과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여기서 제시하는 역량은 훌륭한 판단, 자유로워지는 능력, 가치 발견과 정제할 수 있는 능력, 메타학습, 사회적 능력이다. 이러한 역량들은 이론적으로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 아니라 경험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어서 역량의 결과나 성과보다는 학습과정을 중시하고 자기 발견법이나 의미 있는 학습이 되기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학습자와 교사에 대한 기본 가정을 고찰하였다. 학습자는 학습 동기와 학습 과정을 내재적으로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교육은 이러한 내재적 과정이 완전하게 발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는 의미 있는 세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적극적이고 창의적이며 자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주체이다. 교사는 학생, 교수 과정, 교육 관계, 자신의 자아 발달에 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궁극성을 위하여 역량 중심의 경험 중심 학습, 의미 있는 학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 내용과 방법뿐만 아니라 교육의 운영과 체제에서도 변화가 일어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Ultimacy as a goal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Ultimacy in both perspectives of psychology and religiousness. In terms of psychological perspective, Ultimacy means a state of self-actualization, or a state of the best development a human being alone can experience. In terms of religiousness, Ultimacy refers to the spirituality and religiousness in a human. Second, this study addressed the meaning of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to attain Ultimacy in human nature. The competences holistic education presents are good judgment, ability to be free, ability to discover and refine values, meta-learning and social-ability. It is important that holistic education emphasize the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the products, outcomes, or accomplishments of competences because such competences can be only acquired through experiences, not from books. Third, this study dealt with the basic assumptions required for learners and teachers for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As a learner has inherently learning motivation and processes, education has to give opportunities so that the inherent learning process can be fully developed. In addition, the leaner is a subject who is active, creative and has an ability of self-regulation in constructing the meaningful world. Th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his/her students, pedagogic process,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self-development. As holistic education requires the meaningful, experiential competence- based learning to approach Ultimacy, it suggests that any reform should be made of the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s, administration and system of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Ultimacy as a goal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Ultimacy in both perspectives of psychology and relig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Ultimacy as a goal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Ultimacy in both perspectives of psychology and religiousness. In terms of psychological perspective, Ultimacy means a state of self-actualization, or a state of the best development a human being alone can experience. In terms of religiousness, Ultimacy refers to the spirituality and religiousness in a human. Second, this study addressed the meaning of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to attain Ultimacy in human nature. The competences holistic education presents are good judgment, ability to be free, ability to discover and refine values, meta-learning and social-ability. It is important that holistic education emphasize the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the products, outcomes, or accomplishments of competences because such competences can be only acquired through experiences, not from books. Third, this study dealt with the basic assumptions required for learners and teachers for competence-based holistic education. As a learner has inherently learning motivation and processes, education has to give opportunities so that the inherent learning process can be fully developed. In addition, the leaner is a subject who is active, creative and has an ability of self-regulation in constructing the meaningful world. Th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his/her students, pedagogic process,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self-development. As holistic education requires the meaningful, experiential competence- based learning to approach Ultimacy, it suggests that any reform should be made of the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s, administration and system of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
      • 1.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궁극성
      • 2. 종교성 관점에서의 궁극성
      • 요약
      • Ⅰ. 서론
      • Ⅱ.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목표
      • 1.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궁극성
      • 2. 종교성 관점에서의 궁극성
      • Ⅲ.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의 의미
      • 1. 역량의 개념
      • 2.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
      • Ⅳ. 역량 중심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기본 가정
      • 1. 내재적으로 역량을 지닌 학습자
      • 2.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자기 조절의 주체인 학습자
      • 3. 교사의 역할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우, "핵심 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3-48, 2009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이광우, "초.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3-53, 2008

      4 송병순, "지구윤리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20 : 1-20, 2005

      5 박범석, "종교성 함양의 교육학적 의미" 한국종교교육학회 14 : 57-69, 2002

      6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7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 2006

      8 박성혜, "새로운 파라다임의 홀리스틱 교육에 관한 고찰" 2 (2): 87-95, 1998

      9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73-197, 2008

      10 朴範晳, "교육종교학 성립의 필요성과 전망" 한국종교교육학회 15 : 247-261, 2002

      1 이광우, "핵심 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3-48, 2009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이광우, "초.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3-53, 2008

      4 송병순, "지구윤리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20 : 1-20, 2005

      5 박범석, "종교성 함양의 교육학적 의미" 한국종교교육학회 14 : 57-69, 2002

      6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7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 2006

      8 박성혜, "새로운 파라다임의 홀리스틱 교육에 관한 고찰" 2 (2): 87-95, 1998

      9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73-197, 2008

      10 朴範晳, "교육종교학 성립의 필요성과 전망" 한국종교교육학회 15 : 247-261, 2002

      11 "tttp://en.wikipedia.org/wiki/Humanistic_psychology"

      12 "http://en.wikipedia.org/wiki/Transpersonal_psychology"

      13 "http://en.wikipedia.org/wiki/Psychological_resilience"

      14 "http://en.wikipedia.org/wiki/Meta_learning"

      15 "http://en.wikipedia.org/wiki/Holistic_education"

      16 "http://en.wikipedia.org/wiki/Holism"

      17 Forbes, S, "What holistic education claims itself? An analysis of holistic schools’ literature" 2004

      18 Miller, Ron, "What are schools for?: Holistic education in American culture (2nd Ed.)" Holistic Education Press 1992

      19 Forbes, S, "Values in holistic education" 1996

      20 James, W,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Collier-Macmillan 1969

      21 Biggs, J. B, "The role of meta-learning in study process" 55 : 185-212, 1985

      22 Lechner, F, "The globalization reader (2nd Ed.)" Blackwell Publishing 2004

      23 Rogers, C, "The facilitation of significant learning. In Some contemporary viewpoints of instruction" Chandler Publishing Co 1967

      24 Frobel, F, "The education of man: The origins of nursery education" Routledge 2001

      25 Pestalozzi, H, "The education of man" Philosophical Library 1951

      26 Krishnamurti, J, "The collected works of J. Krishnamurti"

      27 Jung, C. G,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Routledge & Kegan Paul 1960

      28 Holding, C. S,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4 : 1-23, 1973

      29 Maslow, A, "Religions, values, and peak-experience" Arkana 1994

      30 Bernstein, B, "Pedagogic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critique. In Critical perspectives on literacy and education" Taylor & Francis 1996

      31 Miller, Ron, "New directions in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Press 1991

      32 Holt, J, "How children fail (2nd Ed.)" Penguin Books 1982

      33 Forbes, S, "Holistic education: An analysis of its intellectual precedents and nature"

      34 Forbes, S, "Holistic education: An analysis of its ideas and nature" A Solomon Press Book 2003

      35 Forbes, S, "Freedom and education" 1999b

      36 Miller, Ron, "Free schools, free people: Education and democracy after the 1960’s" SUNY Press 2002

      37 Rousseau, J, "Emile: or on education. Translated by Allan Bloom" Penguin Books 1979

      38 Tillich, P, "Dynamics of faith" Harper & Row 1957

      39 Dewey, J, "A common faith. New Hav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