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이 보는 동아시아 안보질서 구조의 변화와 전망 = Changes in and Prospects for the Structure of Regional Stability in East Asia : Korean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scholars here in South Korea view differently the prospects for East Asian order,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dominant views in three levels of analyses as following. First, in the global level, U.S. superiority will continue for the time...

      Although scholars here in South Korea view differently the prospects for East Asian order,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dominant views in three levels of analyses as following. First, in the global level, U.S. superiority will continue for the time but with the rise of China, the gap is expected to reduce. On a regional level, the U.S. and China will sharply project their strategic interests particularly in East Asia. South Korea in essential does not want a China-centric world to reposition in East Asia as in the past, thereby infringing upon South Korea's autonomy. Most of the studies on views toward the U.S. in terms of the East Asian security order seem to accept the ongoing U.S hegemony. On the Korean Peninsula dimension, the majority of studies in South Korea agrees with the principles ofmaintaining relations with the U.S. based on the ROK-U.S. alliance and developing a strategic relationship with China. However, if South Korea is faced with the worst situation in which it has to choose between the U.S. and China, there is considerable claim that priorit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its alliance with the U.S. In general, prospects for the East Asian security order from the South Korean perspective do not seem bright. "Asia’s Paradox" will not be easily fade away. Therefore, South Korea needs to push efforts toward overcoming them by minimizing conflicts and maximizing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북아 안보질서는 불안정하고 이를 바라보는 한국내 시각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가장 보편적인 시각을 세계, 지역, 한반도 차원에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차원에서 미국의 우위가...

      동북아 안보질서는 불안정하고 이를 바라보는 한국내 시각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가장 보편적인 시각을 세계, 지역, 한반도 차원에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차원에서 미국의 우위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지만, 중국의 부상으로 격차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미중 관 계는 협력과 갈등의 요소를 다 포함하고 있고 시기와 상황에 따라 한쪽이 더욱 부각되는 복 합적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한다. 지역 차원의 경우 미국과 중국은 특히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전략적 이해를 첨예하게 투영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은 중국이 부상하더라도 이전 과 같이 중국 중심의 세계가 동아시아에 재구축되어 한국의 자율성이 침해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동아시아 안보질서와 관련된 미국에 대한 시각은 대부분의 연구가 현 미국의 패권 을 수용하는 입장을 보인다. 한반도 차원에서 대다수의 한국 연구는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자 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원칙 론에 동의한다. 그러나 한국이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최악의 상황이 도래한다면 미국과의 동맹을 우선시해야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종합할 때 한국이 바라보는 동아 시아 안보질서의 전망은 밝지 않다. “아시아 패러독스”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한국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협력을 극대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재성, "한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 동아시아 연구원 2015

      2 하영선, "한국외교정책 분석들의 모색" 28 (28): 1988

      3 홍규덕, "통일한국 시대의 동북아 전략구도와 우리의 안보전략" 한국국방연구원 30 (30): 9-45, 2014

      4 박한규, "탈냉전 이후 미중관계와 향후 전망: 갈등과 협조의 이중주(二重奏)"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27-147, 2014

      5 서정경,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 :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225-257, 2015

      6 오경택, "중국의 기후변화 외교: 미·중 협력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47-74, 2014

      7 이원우, "중국․미국의 군사전략 변화와 동아시아 안보 전망:지역안보복합체(RSC) 관점에서" 21세기정치학회 23 (23): 251-276, 2013

      8 김재철, "중국, 미국 그리고 동아시아" 한울 출판사 2015

      9 이성우, "아시아와 중국의 아시아: 아시아로 회귀와 신형대국관계의 충돌"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243-272, 2014

      10 손열, "아베 정권의 정치, 외교 지형도" 90 (90): 2014

      1 전재성, "한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 동아시아 연구원 2015

      2 하영선, "한국외교정책 분석들의 모색" 28 (28): 1988

      3 홍규덕, "통일한국 시대의 동북아 전략구도와 우리의 안보전략" 한국국방연구원 30 (30): 9-45, 2014

      4 박한규, "탈냉전 이후 미중관계와 향후 전망: 갈등과 협조의 이중주(二重奏)"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27-147, 2014

      5 서정경,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 :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225-257, 2015

      6 오경택, "중국의 기후변화 외교: 미·중 협력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47-74, 2014

      7 이원우, "중국․미국의 군사전략 변화와 동아시아 안보 전망:지역안보복합체(RSC) 관점에서" 21세기정치학회 23 (23): 251-276, 2013

      8 김재철, "중국, 미국 그리고 동아시아" 한울 출판사 2015

      9 이성우, "아시아와 중국의 아시아: 아시아로 회귀와 신형대국관계의 충돌"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243-272, 2014

      10 손열, "아베 정권의 정치, 외교 지형도" 90 (90): 2014

      11 김흥규, "시진핑 시기 미중 새로운 강대국 관계 형성 전망과 대한반도 정책"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27-54, 2013

      12 이정남, "세력 전환기 동아시아의 국가 정체성과 지역 인식" 아연출판부 2014

      13 서동구, "북핵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딜레마" 통일연구원 23 (23): 85-113, 2014

      14 하영선, "복합화 시대의 동아시아 신질서 구축"

      15 정재호, "변화하는 동북아 안보지형과 한국의 딜레마" 110 (110): 2015

      16 김일수, "미중의 패권경쟁과 박근혜 정부의 대외정책" 대한정치학회 22 (22): 79-100, 2014

      17 강병환,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 중국의 대응- 해상패권경쟁과 갈등을 중심으로 -"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75-120, 2014

      18 신종호,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위기관리 행태 및 영향 요인"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15-45, 2014

      19 김관옥, "미국과 중국의 군사전략 대결의 구성주의적 분석"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114-136, 2014

      20 유상범, "미국 아시아태평양 중시정책의 내용과 함의 - 미중 대결 가능성과 일본의 책임전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한일군사문화학회 18 : 77-105, 2014

      21 박근혜,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문 전문"

      22 이태환, "미.중 신형 대국관계와 한반다" 21 (21): 2014

      23 조동준, "동아시아의 역내문제 해결방식의 특수성" 21 : 2014

      24 임현진,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나남 2013

      25 이용욱,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복합 변환과 한국의 전략" 아연출판부 2014

      26 김태호, "동아시아 주요 해양 분쟁과 중국의 군사력 군사력" 해양전략연구소 2015

      27 하영선, "동아시아 공동체: 신화와 현실" 동아시아 연구원 2008

      28 김영희, "동북아 국제정치 질서, 어디로 가나" 푸른 역사 2015

      29 하영선, "네트워크 세계정치: 은유에서 분석으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30 박병광, "국제질서 변환과 전략적 각축기의 미중관계: 중국의 전략적 입장과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7 (57): 115-143, 2014

      31 김관옥, "경쟁을 위한 협력: 미·중 지역무역기구 경쟁" 한국동북아학회 19 (19): 5-26, 2014

      32 이춘근, "격동하는 동북아, 한국의 책략" 백년 동안 2014

      33 Charles W. Kegley, "World Politics: Trend and Transformation" Cengage Learning 2015

      34 Garrett, Barnning, "US-China Relation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error: a framework for analysis" 15 (15): 2006

      35 Ikenberry, John G., "The Rise of China and the Future of the West" 2008

      36 Kristof, Nicholas, "The Rise of China" 72 (72): 1994

      37 Walt, Stephen M., "The Origins of Allianc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38 Subramanian Arvind, "The Inevitable Superpower: Why China’s Dominance Is a Sure Thing" 90 (90): 2011

      39 Huntington, Samuel P., "The Clash of Civilizations?" 72 (72): 1993

      40 Brookes, Peter T. R., "Strategic Realism: The Future of U.S.-Sino Security Relations" (Summer) : 1999

      41 Tammen, Ronald L., "Power Transition and China-US Conflicts" (1) : 2006

      42 Christensen, Thomas J., "Posing Problems without Catching up; China's Rise and Challenges for U.S. Security Policy" 25 (25): 2001

      43 Doyle, Michael W., "Liberalism and World Politics" 80 (80): 1986

      44 Nye, Joseph, "Is the American Century Over?" Cambridge Polity Press 2015

      45 Roy, Denny, "Hegemone on the Horizon? China's Threat to East Asian Security" 19 (19): 1994

      46 Kang, David C., "East Asia: Before the Wes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47 Berstein, Richard, "Coming Conflict with America" 76 (76): 1997

      48 Brzezinski, Zbigniew, "Clash of Titans" 146 : 2005

      49 Bergsten, C. Fred, "China: The Balance Sheet" Public Affairs 2006

      50 Betts, Richard K., "China: Getting the Qeustion Rights"

      51 Shambaugh, David, "China Goes Global: The Partial Pow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2 Mearsheimer, John, "Better to Be Gozilla than Bambi" 146 : 2005

      53 하영선,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 동아시아 연구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