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푸드스타일링에 수사학을 적용하여 새로운 시각적 표현 접근 모색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푸드스타일링의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것으로 계획된 설득 전략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12060
2014
Korean
푸드 스타일링 ; 수사학 ; 디자인 수사학 ; 프로세스 ; 커뮤니케이션 ; Food styling ; Rhetoric ; Design rhetoric ; process ; Communication
658
학술저널
14-24(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푸드스타일링에 수사학을 적용하여 새로운 시각적 표현 접근 모색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푸드스타일링의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것으로 계획된 설득 전략이...
본 연구는 푸드스타일링에 수사학을 적용하여 새로운 시각적 표현 접근 모색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푸드스타일링의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것으로 계획된 설득 전략이라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사학의 도입은 푸드스타일리스트와 소비자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다양한 창의적 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사학이 사용된 시각 표현의 사례를 분석해보고 기존의 수사학 사용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수사학 메시지 고안 5단계에 디자인 프로세스를 접목시킨 디자인 수사학 프로세스를 고안하였다. 이후 본인이 작업했던 2009~2014년도의 푸드스타일링의 작업을 디자인 수사 학 프로세스를 통하여 분석하여 푸드스타일링에서 수사적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구현 및 활용가능성과 향 후 방향성을 알아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food styling by applying design rhetoric to find new approaches for visual representation. Food styling has the purpose of stimulating desire by consumers with the intention to persuade them to purchase. In this process, design r...
This study focuses on food styling by applying design rhetoric to find new approaches for visual representation. Food styling has the purpose of stimulating desire by consumers with the intention to persuade them to purchase. In this process, design rhetoric is introduced to enable the food stylist and the consumer to engage i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a wide variety of creative ex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rhetoric used in design. Problems with the use in rhetoric are discussed to overcome the design process that needs to devise a message through a five-step rhetorical design process. During 2009-2014, the food styling analysis was organized into a design process, where food styling can be implemented using rhetorical design, and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possibility to taking advantage of such tools to establish a future direction.
<디자인과 마케팅>융합을 통한 사찰음식 "BARU" 브랜드 개발 -그래픽 디자인, 제품 디자인,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자인과 마케팅>융합을 통한 콘돔브랜드 "YOU" 개발 -그래픽 디자인, 제품 디자인,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사진을 통해 재구성한 공간의 개념과 입체화 과정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숙명여대 르네상스 프라자 "윰(U;ME)" 브랜드 개발 -<디자인+마케팅> 융합을 중심으로-
과학관 경영과 커뮤니케이션 Part 1 : 구글을 이용한 협업 프로세스
이화여자대학교 정창권재난커뮤니케이션 (Disaster Communication)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재난커뮤니케이션 (Disaster Communication)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K-FOOD코디네이션(테이블코디네이션+푸드스타일링)
K-MOOC 전주대학교 김수인K-FOOD코디네이션(테이블코디네이션+푸드스타일링)
K-MOOC 전주대학교 김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