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구언 수문 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I. 저염수의 조석동조 =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Due to Dike Gate Operation: III. Tidal Modulation of Low-salinity Wa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강하구언에서 낙조동안 인위적으로 방류된 담수의 하구 내 거동을 파악하고자 1997년 5월과 1998년 7월에 각각 수로방향으로 설정된 3개 지점에서 표층 염분변화를 관측하였으며, 1999년 7월...

      금강하구언에서 낙조동안 인위적으로 방류된 담수의 하구 내 거동을 파악하고자 1997년 5월과 1998년 7월에 각각 수로방향으로 설정된 3개 지점에서 표층 염분변화를 관측하였으며, 1999년 7월에는 군산-장항간 도선항로를 따라 18일간 표층염분과 수온을 관측하였다. 관측된 염분변화의 특징으로부터 방류된 담수가 하구 내에서 거동${\cdot}$소멸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담수가 방류되면 저염수는 하구 폭 전반에 걸친 강한 염분전선을 형성하며 담수거동은 기본적으로 조석운동에 동조되어 수로를 따라 왕래하고, 이 전선의 통과로 염분은 급격한 변화를 보인다. 수문개폐로부터 한 조석주기 이후의 하구 폭 평균염분의 시간적 변화로부터 해석된 수로방향의 공간적 분포는 전선역에 담수희석수가 응축되며 표층염분이 상류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염분의 전선역 분포는 두 시간정도의 하구언 수문 개방에 의한 급작스런 담수공급과 중단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매일 담수방류의 반복은 수문 개방시기에 의해 이전의전선과 새로운 전선의 분리(이중전선) 혹은 병합을 만들고, 담수공급이 2일 이상 중단되면 염분이 증가되며 전선이 소멸한다. 또한, 표층염분 변화에 나타나는 변동과 변이는 하구언에서 인위적으로 행해지는 담수 방류량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염분전선의 세기와 통과시기의 공간적 차이, 그리고 일시적인 하구수로 방향을 따른 염분전선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xamine the movement of the freshwater discharged artificially into the estuary during ebbing period in the Keum River dike we observed surface salinity variations in three stations along the estuary channel in May 1998 and July 1997 and surface te...

      To examine the movement of the freshwater discharged artificially into the estuary during ebbing period in the Keum River dike we observed surface salinity variations in three stations along the estuary channel in May 1998 and July 1997 and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along the ferry-route between Kunsan and Changhang during eighteen days in July 1999. Based upon the typical features of observed salinity variation, we analyzed the excursion and decay processes of the discharged water. When freshwater is discharged, the low-salinity water forms strong salinity front over the entire estuary width, which basically moves forth and back by tidal modulation along the channel, producing the sudden change of surface salinity with the front passage. Salinity distribution along the channel, which is deduced from time variation of mean salinity over the estuary width, after one tidal period from gate operation suggests that diluted low-salinity water is trapped to the front and surface salinity increases gradually toward the upstream region. This frontal distribution of salinity is interpreted to be produced by the sudden gate operation supplying and stopping of freshwater within about two hours. Daily repeat of freshwater discharge produces separation (double front) or merge between decaying and new-generated fronts depending on dike-gate opening time, and the front decays with salinity increasing if the freshwater supply is stopped more than two days. In addition, the observed fluctuations and deviations in surface salinity variation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fronts intensity, their transition time and temporal salinity front running along the channel, which can be generated due to artificial gate-operation for the discharging time and water volume in the estuary dik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