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2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와 그 특성-고려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In 과거" 일조각 1981
3 하현강, "지방통치조직의 정비와 그 구조, In 한국사 13" 국사편찬위원회 1993
4 김광수, "중간계층, In 한국사 5" 국사편찬위원회 1976
5 노명호, "나말여초 호족세력의 경제적 기반과 전시과체제의 성립" 진단학회 74 : 1992
6 김광수, "나말여초 호족과 관반, In 한국사연구 23" 한국사연구회 1979
7 김광철, "권문 세족의 용례, In 고려후기세족층연구" 동아대출판부 1991
8 이공범, "구품중정제도" 고려대 사학회 1 : 1958
9 나각순, "고려향리의 신분제 특성과 그 변화" 한국사학회 45 : 1992
10 이우성, "고려조의 「吏」에 대하여" 역사학회 23 : 1964
1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2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와 그 특성-고려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In 과거" 일조각 1981
3 하현강, "지방통치조직의 정비와 그 구조, In 한국사 13" 국사편찬위원회 1993
4 김광수, "중간계층, In 한국사 5" 국사편찬위원회 1976
5 노명호, "나말여초 호족세력의 경제적 기반과 전시과체제의 성립" 진단학회 74 : 1992
6 김광수, "나말여초 호족과 관반, In 한국사연구 23" 한국사연구회 1979
7 김광철, "권문 세족의 용례, In 고려후기세족층연구" 동아대출판부 1991
8 이공범, "구품중정제도" 고려대 사학회 1 : 1958
9 나각순, "고려향리의 신분제 특성과 그 변화" 한국사학회 45 : 1992
10 이우성, "고려조의 「吏」에 대하여" 역사학회 23 : 1964
11 윤경진, "고려전기 향리제의 구조와 호장의 직제"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0) : 1998
12 채웅석,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 서울대출판부 2000
13 이혜옥, "고려시대의 家와 家意識" 국학연구원 (129) : 1-48, 2005
14 노명호, "고려시대 향촌사회의 친족관계망과 가족" 서울대 국사학과 19 : 1988
15 노명호, "고려시대 향리집단 속의 호장 李裕, In 한국사 시민강좌 39" 일조각 2006
16 이순근, "고려시대 사심관의 기능과 성격, In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17 박용운, "고려시기 科擧에서의 行卷과 家狀" 한국사연구회 (148) : 49-73, 2010
18 채웅석, "고려시기 ‘본관제’의 시행과 지방지배질서" 서울대 1995
19 박경자, "고려 향리신분의 변동, In 고려 조선전기 중인연구" 신서원 2001
20 이기백,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In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77
21 김용선, "고려 귀족사회 성립론, In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22 박은경, "高麗時代 地方貴族의 위상" 진단학회 (100) : 25-52, 2005
23 旗田巍, "高麗の事審官, In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72
24 宮崎市定, "九品官人法の硏究" 同朋舍 1956
25 이태진, "15세기 후반기의 거족과 명족의식" 서울대 국사학과 4 :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