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승마운동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선택속성, 구매만족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13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로서 승마의 저변확대를 위해 승마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선택속성 및 이용만족 간의 관계 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위치한 승마장 7곳의 승마운동 참여자 39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중복기재와 미기재를 포 함한 5개의 적절치 않은 표본을 제외한 385(99.0%)명의 표본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WIN Ver.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 참여자들의 참여동기 는 승마장의 선택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마 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이들의 승마장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마 참여자가 인식하는 승마장 선택속성은 이들의 승마장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기존 대다수의 관련연구들이 승마 참여 자들의 참여동기와 승마 체험을 통한 이용만족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본 연구에 서는 참여동기가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레저스포츠산업 영역의 연구들이 레저참여자들의 이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선택속성을 고려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후속연구의 토 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로서 승마의 저변확대를 위해 승마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선택속성 및 이용만족 간의 관계 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로서 승마의 저변확대를 위해 승마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선택속성 및 이용만족 간의 관계 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위치한 승마장 7곳의 승마운동 참여자 39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중복기재와 미기재를 포 함한 5개의 적절치 않은 표본을 제외한 385(99.0%)명의 표본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WIN Ver.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 참여자들의 참여동기 는 승마장의 선택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마 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이들의 승마장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마 참여자가 인식하는 승마장 선택속성은 이들의 승마장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기존 대다수의 관련연구들이 승마 참여 자들의 참여동기와 승마 체험을 통한 이용만족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본 연구에 서는 참여동기가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레저스포츠산업 영역의 연구들이 레저참여자들의 이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선택속성을 고려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후속연구의 토 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selection factors, and user satisfaction.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the horseback riders who visited one of seven horseback riding facilities located in Kyonggi and Chung-cheung provinces b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responses with excessive amount of missing data, 385(99%)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 descriptive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WIN Ver. 18.0 and AMOS 18.0.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and selection factor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an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selection factor of equestrian participants an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extend previous studies o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The author also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selection factors, and user satisfaction.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the horseback riders...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selection factors, and user satisfaction.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the horseback riders who visited one of seven horseback riding facilities located in Kyonggi and Chung-cheung provinces b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responses with excessive amount of missing data, 385(99%)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 descriptive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WIN Ver. 18.0 and AMOS 18.0.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and selection factor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an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selection factor of equestrian participants an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extend previous studies o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The author also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Ⅱ.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 2. 조사 도구
      • 3.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4. 자료처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구현, "여가활동으로서 승마의 참여 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64-75, 2014

      2 안병욱, "여가활동 참여자의 지각가치와 선택속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26-37, 2013

      3 조한범, "여가형 승마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선택속성, 구매 후 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124-136, 2014

      4 김연정, "여가로서의 캠핑 참여자의 활동유형, 캠핑장 선택속성, 이용만족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55-167, 2015

      5 양명환,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 인지적, 정서적 상태특정지 개발" 9 (9): 113-123, 1998

      6 박정은, "승마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참여가치, 그리고 참여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3) : 407-416, 2016

      7 박병훈, "승마참여 동기가 운동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575-585, 2015

      8 연합뉴스, "승마인구 늘면서 말산업도 쑥쑥"

      9 김호자, "승마운동의 참여정도가 동기와 몰입 그리고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10 박병훈, "승마운동 참여자의 심리적 욕구와 동기 및운동만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291-302, 2015

      1 정구현, "여가활동으로서 승마의 참여 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64-75, 2014

      2 안병욱, "여가활동 참여자의 지각가치와 선택속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26-37, 2013

      3 조한범, "여가형 승마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선택속성, 구매 후 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124-136, 2014

      4 김연정, "여가로서의 캠핑 참여자의 활동유형, 캠핑장 선택속성, 이용만족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55-167, 2015

      5 양명환,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 인지적, 정서적 상태특정지 개발" 9 (9): 113-123, 1998

      6 박정은, "승마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참여가치, 그리고 참여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3) : 407-416, 2016

      7 박병훈, "승마참여 동기가 운동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575-585, 2015

      8 연합뉴스, "승마인구 늘면서 말산업도 쑥쑥"

      9 김호자, "승마운동의 참여정도가 동기와 몰입 그리고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10 박병훈, "승마운동 참여자의 심리적 욕구와 동기 및운동만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291-302, 2015

      11 박병훈, "승마 참가자의 참여동기, 참여만족과 지속의도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1549-1560, 2009

      12 류재청, "승마 숙련도에 따른 기승자세 교정효과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2 (22): 83-94, 2012

      13 박금란, "승마 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0 (20): 349-358, 2011

      14 조우정, "스포츠이벤트 관광객들의 참여 동기와 선택 속성이 소비자 만족 및 재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5 (15): 49-60, 2006

      15 전선혜, "스크린골프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참여동기가 스크린골프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9 (9): 191-204, 2011

      16 김차용, "레저스포츠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참여동기 및 선택속성" 한국사회체육학회 (28) : 545-560, 2006

      17 정용각,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참여동기 및 지속의도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4) : 1591-1604, 2008

      18 김천서, "라이프 스타일이 레저스포츠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123-138, 2010

      19 김준성, "골프장 선택속성이 골프장 이미지와 여가만족 및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1-15, 2013

      20 Kim, S. S., "The influence of push and pull factors at Korean National Parks" 24 (24): 169-180, 2003

      21 Korpela, K., "Analyzing the mediators between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and emotion well-being" 37 : 1-7, 2014

      22 계수, "AMOS 18. 0 구조방적식 모형분석" 한나래출판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